$\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도의 식생
Vegetation of Jangdo Island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6 no.4, 2012년, pp.512 - 527  

최병기 (계명대학교 생물학과) ,  김종원 (계명대학교 생물학과) ,  김성열 (계명대학교 생물학과) ,  임정철 (계명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서단(西端)에 위치하는 장도(면적 $1.54km^2$)는 고층습원의 발달과 국가적 생물다양성 중점지역(hotspot)으로 주목받고 있는 생태지역(ecoregion)이다. 본 연구는 장도에 발달하고 있는 식물군락의 다양성을 규명하고, 보전생태학적 식생관리전략을 제안하고자 진행되었다. 장도 식생은 10개 상관형(physiognomic types)에 총 22개 단위식생(syntaxa: 3개 군집, 15개 군락, 4개 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현존 습지식생(actual wetland vegetation)은 갈대군강(Phragmitetea)과 벼군강(Orizetea)에 귀속되는 비교적 낮은 자연도(naturalness)의 식물군락들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고층습원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동백나무군강(Camellietea japonicae)의 난온대 상록활엽수림 가운데 구실잣밤나무-가는쇠고사리군집은 장도가 새로운 최북단 분포지(northernmost distribution site)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역 및 국가 특산식생형(regional and nation-wide endemic vegetation type)으로 소사나무-흑산비비추군락을 특기하였으며, 토지적 지역식생형(regional edaphic vegetation type)으로 해안 절벽에서 섬향나무-밀사초군락이 기재되었다. 장도는 험준한 섬 지형에도 불구하고 집약적인 인간간섭(방목, 벌채, 산불, 개간 등)이 대부분의 식생형에서 종조성으로부터 밝혀졌다. 그러나 장도는 난온대 속에서의 높은 무상일수와 연평균 최대 안개 일수를 가지고 있는 지역생물기후 특성, 차별침식에 의하여 형성된 함몰 분지에서의 대수층 발달과 같은 토지적 수리수문체계를 반영하는 독특한 식생자원이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장도습지는 보전생태학적 관점에서 그 존재의 가치가 지대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장도습지는 습지 지표면의 근본적인 수리수문 체계의 변질을 야기하는 인간간섭에 노출되어 있음으로써 이에 대한 즉각적인 습지생태계관리 매뉴얼 구축이 요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Jangdo Island (area $1.54km^2$) located in the western end of Dadohae Haesang National Park has been recognized as an prominent ecoregion possessing high moor and national biodiversity hotspot. In terms of the Z$\ddot{u}$rich-Montpellier School's phytosociology, we investigate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도는 지리학적으로 어디에 위치하는가? 섬의 산간지역에 습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서(島嶼) 습지 고유(unique)의 수문체계(hydrological system) 특이성과 이동철새, 양서파충류, 포유류 등 서식생물종의 높은 다양성 및 독특성으로부터 우리나라 세 번째의 람사르협약(Ramsar convention)습지로 등재되어 있다(Ramsar Convention, 2012). 장도는 식생지리학적(syngeographically)으로 난온대(warmtemperate zone) 상록활엽수림역(evergreen broad-leaved forest region)에 위치한다. 상록활엽수림역은 기후 특성상 한랭한 기후에서 형성되는 고층습원(high moor)이 형성되기 어려운 환경이다.
장도란? 장도는 한반도 서남단에 위치하는 작은 섬(1.54㎢)이다.
이차습원식생일지라도 장도습지는 보전생태학적 그 존재의 가치가 높게 평가되는 이유는? 한편 이차습원식생일지라도 장도습지는 보전생태학적 그 존재의 가치가 높게 평가된다. 그 이유는 첫째, 내륙으로 부터 이격된 지리적 위치로부터 이동철새 및 난온대 식생자원의 경유서식처로서의 서식처 연결성을 높여주는 징검다리(stepping stone)이면서, 둘째 비교적 면적이 좁은 도서(島嶼)임에도 풍부한 대수층을 기반으로 하여 유지되는 습지와 습지식생의 지리적 옹달샘이며, 셋째 지역생물종의 피난처(refugee) 역할 등과 같은 야생 생물 서식공간으로서의 가치가 인정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현재의 장도습지에서는 습지생태계 관리 측면에서 크게 세 가지 위협요소가 확인되고 있다: 1) 버드나무-기장대풀군락과 이대군락의 점유 면적 확장으로 습지 지표 환경의 근본적인 수리수문 체계의 변화와 건생화(乾生化) 또는 육역화, 2) 습지 연구자 및 불특정 탐방객에 의한 답압으로부터의 지형변화, 3) 방목(특히 염소)에 의한 선택적 초식과 토양의 부영양화.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Becking, R.W.(1957) The Zurich-Montpellier School of phytosociology. Bot. Rev. 23: 411-488. 

  2. Braun-Blanquet, J.(1965) Plant Sociology. The Study of Plant Communities.(Transl. by G.D. Fuller and H.S. Conard). New York, xii + 439pp. 

  3. Choi, B.K and J.W. Kim(2011) Vegetation diversity and syntaxonomical review of Jangdo. Pro. Kor. Soc. Env. Eco. Con. 21(2): 25-29. (in Korean) 

  4. Choi, K.H. and T.B. Choi(2010) Geomorphological and Sedime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Jangdo Wetland in Shinan-gun, Korea. Journal of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7(2): 63-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Fujiwara, K.(1996) Classification of Plant communities in the "Vegetation of Japan 1981-1989" 2nd edition. Contribution from the Department of Vegetation Science, Institute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Yokohama Natinal Univ. 22: 23-80. (in Korean with English synopsis) 

  6. Heo, C.H. and S.Y. Kim(2005) Geology and Soil Environment of Jangdo Wetland, Heuksan-myoun, Sinan-gun, Cheollanamdo- province: A Preliminary Study.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6(7): 661-66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Heuksando Weather Station(2007) The Climatic Characteristics in Heuksan Island District. Heuksando Weather Station, 147pp. (in Korean) 

  8. Jung, Y.K. and J.W. Kim(1998) A comparative study on mantle communities in south Korea and Japan. Korean J. Ecol. 21(1): 81-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ang, B.H., S.I. Shim and K.H. Ma(2003) Floristic composition of plant community in set-aside fields with regard to seral stage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2(1): 53-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ang, Y.J., T.H. Kim, O.E. Hwang and J.C. Nam(2001) The Heat Flux of Ocean/Air about Sea Fog Conditions on the Southern area of the Yellow Sea(Heuksando). The Atmosphere 11(3): 529-531. (in Korean) 

  11. Kim, C.S. and J.G. Oh(1995) The Vegetation of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Daewon Press, Seoul, 374pp. (in Korean) 

  12. Kim, J.W. and E.J. Lee(1997) Multicriterion Matrix Technique of Vegetation Assessment - A New Evaluation Technique on the Vegetation Naturalness and Its Application -. Korean J. Ecol. 20(5): 303-3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J.W. and H.K. Nam(1998) Syntaxonomical and Syn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rice field vegetation.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1(3): 203-2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J.W. and J.H. Kim(2003) Vegetation of Moojechi Moor in Ulsan: Syntaxonomy and Syndynamics. Korean J. Ecol. 26(5): 281-2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J.W. and S.U. Han(2005) Moor vegetation of Mt. Shinbul in Yangsan. Korean J.Ecol. 28(2): 85-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im, J.W. and Y.I. Manyko(1994) Syntaxonomical and synch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l-temperate mixed forest in the southern Sikhote Alin, Russian Far East. Kor. J. Ecol. 17: 391-413. 

  17. Kim, J.W. and Y.K. Lee(2006)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Worldscience Press, Seoul, 240pp. (in Korean) 

  18. Kim, J.W. S.W. Ryu, J.K. Lee, J.W. Park, Y.K. Lee, J.H. Shim, Y.H. Kang, S.K. Kim, G.J. Joo, G.Y. Kim, Y.H. Do, C.W. Lee and J.D. Yoon.(2009) Stream Ecology and the Nakdong River. Keimyung Univ. Press, Daegu, 545pp. (in Korean) 

  19. Kim, J.W.(1992)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s-. Ph.D. thesis,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314pp. (in English with Korean and Japanese abstract) 

  20. Kim, J.W.(2006) Vegetation Ecology. (2nd edition). Worldscience Press, Seoul, 340pp. (in Korean) 

  21. Kim, J.W., K.H. Ahn, C.W. Lee and B.K. Choi(2011) Plant Communities of Upo Wetland. Keimyung Univ. Press, Daegu, 333pp. (in Korean with English) 

  22. Kim, M.H.(2000) Phytosociological studies on the vegetation of Cheju island, Korea. Ph. D. thesis, Univ. of Jeju, Korea, 187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Kim, M.S.( 2007) Outcrop vegetation in central-northern Youngnam region. Master thesis, Univ. of Keimyung, Korea, 46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Kitamura, S. and G. Murata(2002) Colored Illustrations of Woody Plants of Japan Vol.II (ed. 18th). Hoikusha, Japan, 545pp. (in Japanese) 

  25.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2012) Meteorological data. http://www.kma.go.kr/ (in Korean) 

  26. Lee, E.J.(1999) Phytosociological study of dry field vegetation in Kyoungpook province. Master thesis, Univ. of Keimyung, Korea, 168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Lee, P.H.(2000) Growth characteristics and community dynamics of riparian Salix in South Korea. Ph.D.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 Korea, 186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Lee, T.B.(2003) Colored Flora of Korea. Vol. I , II . Hyangmunsa, Seoul, I: 914pp; II: 910(in Korean) 

  29. Lee, W.T.(1996a)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ress, Seoul, 624pp. (in Korean) 

  30. Lee, W.T.(1996b) Sat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2383pp. (in Korean) 

  31. Lee, Y.K. and J.W. Kim(2005) Riparian Vegetation of South Korea. Keimyung univ. press, Daegu. 293pp. (in Korean) 

  32. Lee, Y.K.(2004) Syntaxonomy and synecology of the riparian vegetations in South Korea. Ph. D. thesis, Univ. of Keimyung, Korea, 168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3. Miyawaki, A., S. Okuda and R. Fujiwara(1994) Handbook of Japanese Vegetation. Shibundo, Tokyo, 910pp. (in Japanese) 

  34. Miyawaki, A., S. Okuda, K. Ohno, K. Fujiwara, Y. Nakamura and Y. Murakami(1990) Vegetation of Japan Illustrated. Shibundo Co, Tokyo , 800pp. (in Japanese) 

  3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2004) Research report of natural ecosystem of Jangdo wetl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157pp. (in Korean) 

  36.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2007) 2007 Detailed investigation on wetland protected area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pp. 353-380. (in Korean) 

  37. Oh, J.G.(1995) Comparative studies o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of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in Korea and Nagasakigen in Japan. Ph. D. thesis, Univ. of Mokpo, Korea, 181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8. Ramsar Convention(2012) Ramsar sites database. http://ramsar.org/(Accessed 20. May. 2012) 

  39. Ryu, S.H.(2004) Studies on vegetation and successive dynamics of moors in Montane zone, Korea. Ph. D. thesis, Univ. of Chungnam, Korea, 168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0. Song, H.K., G.S. Park, H.R. Park, S.K. So, H.J. Kim and M.Y. Kim(2006)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of a Forest Wetland in Jangdo, Sinan-Gun. Kor.J.Env.Eco. 20(4): 407-4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1. Song, J.S.(1997) A phytosocilogical study on the weed communities in the cultivated and abandoned fields of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0(3): 191-2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2. Suzuki, T. and K. Suzuki(1971) Der Index des Japanischen Meers und der Setouchi-Index. Jap. J. Ecol. 20(6): 252-255. (in Japanese with German abstract) 

  43. The Korean National Council for Conservation of Nature(1996) Report on the Survey of Natural Environment in Korea -No. 10 The Uleung and Dogdo Islands-. Chonggu Group, Seoul, pp. 139-20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4. Weber, H.E., J. Moravec and J.P. Theurillat(2000) International code of phytosociological nomenclautre. 3rd ed.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11(5): 739-768. 

  45. Westhoff, V. and van der Maarel, E.(1973) The Braun-Blanquet Approach. In R.H. Whittaker (ed.),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Communities . Dr. W. Junk b.v., Hague, pp. 167-726. 

  46. Yang, H.K. and T.B. Choi(2009) Management Considering Water Balance of Jangdo Island High Moor.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6(4): 61-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7. Yeongsan River Basin Environmental Office(2006) Conservation strategies of Jangdo wetland protected areas in Sinan-Gun, Gwangju, 35pp.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