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기효능증진 금연프로그램이 청소년 흡연자의 흡연량, 호기 일산화탄소, 소변 내 코티닌 수치 및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on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the Amount of Smoking, CO, Urine Cotinine Level and Self-Efficacy for Adolescent Smoker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4 no.2, 2012년, pp.103 - 111  

최은영 (동군산병원) ,  정성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on of the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the amount of smoking, carbon monoxide level, urine cotinine level and the smoking cessation self-efficacy of adolescent smokers. Methods: The subjects composed of 24 for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자기효능증진 금연프로그램이 흡연 청소년의 흡연량,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 소변 코티닌 농도, 금연관련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자기효능증진 금연프로그램은 흡연 중학생의 흡연량을 줄이고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와 소변 코티닌 농도를 낮추며 금연관련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자기효능증진 금연프로그램이 흡연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흡연량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2010년 10월 13일부터 11월 18일까지 금연 교실에 참석한 G시 중학교 3학년 학생 중 실험군 24명, 대조군 2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에 게는 2시간씩 주 1회의 프로그램을 6주 동안 제공하였으며 대조군 에게는 일반적인 금연 프로그램을 같은 방식으로 제공하였다.
  • 본 연구는 청소년 흡연자들의 금연을 위해 실험군에게 자기효능 증진 금연프로그램을 6회 실시하고 대조군은 일반 금연프로그램을 6회 시행 한 후 두 집단 간 흡연량,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 소변 코티닌 농도, 금연관련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흡연 청소년의 금연 실천 의지를 증진시키고 금연을 돕기 위한 목적으로 성취경험과 대리경험 및 설득으로 구성된 자기 효능증진 금연프로그램을 흡연 중학생에게 2시간씩 주 1회로 총 6 회 제공한 후 대상자들의 흡연량,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 소변 코티닌 농도, 금연관련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 이는 니코틴이 체내 잔존여부를 알려주는 흡연의 부산물로 흡연의 노출 여부, 흡연량, 금연여부, 간접흡연의 정도를 알려준다(Shin, 1997). 본 연구에 서는 채뇨 2 mL를 시약과 혼합하여 SmokeScreen을 이용한 소변 가운데 코티닌 양을 말하며, 수치가 높을수록 니코틴 섭취량과 흡연량이 많음을 의미한다.
  • 본 연구와는 다르지만 흡연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5&6 금연 프로그램”의 효과를 연구한 Lim (2007)의 연구에서도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소변 코티닌 농도가 더 많은 감소를 보였으며 Jee (2008)의 자기조절 학습전략을 이용한 금연 프로그램 연구에서도 소변 코티닌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검사 시 연구대상자가 소변 검사 내용물을 속이는 행위를 막기 위하여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학교 선생님의 관리감독을 받음으로써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소변 코티닌 농도의 경우 호기 일산화탄소보다 정확하고 정성검사가 아닌 정량검사를 통해 수치를 제공함으로써 대상자들에게 금연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 주는 역할을 한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흡연자들의 금연 실천에 대한 의지와 자신감 증진을 통해 금연을 유도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기효능증진 금연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흡연 청소년들의 흡연량, 호기 일산화 탄소 농도, 소변 코티닌 농도, 금연관련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 연구 결과, 자기효능증진 금연프로그램은 흡연 중학생의 흡연량을 줄이고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와 소변 코티닌 농도를 낮추며 금연관련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금연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흡연량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고찰하고 본 연구의 간호학적 의의를 논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자기효능증진 금연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금연관련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자기효능증진 금연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소변 코티닌 농도가 낮을 것이다.
  • 자기효능증진 금연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가 낮을 것이다.
  • 자기효능증진 금연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흡연량이 적을 것이다.
  • 제1가설: 자기효능증진 금연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군은 일반 금연프로그램을 실시한 대조군에 비해 흡연량이 적을 것이다.
  • 제2가설: 자기효능증진 금연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군은 일반 금연프로그램을 실시한 대조군에 비해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가 낮을 것이다.
  • 제3가설: 자기효능증진 금연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군은 일반 금연프로그램을 실시한 대조군에 비해 소변 코티닌 농도가 낮을 것이다.
  • 제4가설: 자기효능증진 금연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군은 일반 금연프로그램을 실시한 대조군에 비해 금연관련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국 중 ·고등학교 학생 흡연 실태조사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전국 중 ·고등학교 학생 흡연 실태조사 결과, 2005년에서 2008년까지의 흡연율이 여중생은 3.3%에서 2.2%로, 여고생은 6.5%에서 3.5%로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남학생의 경우에는 중학생이 4.2%에서 5.7%로, 고등학생은 15.7%에서 18.1%로 흡연율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Korean Association of Smoking & Health, 2008). 이와 같이 국내 청소년 흡연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2000년대 초반에 비해 청소년 흡연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다소 감소되는 추세이며 관련 연구논문 수도 줄어들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Kim & Jeong, 2010).
청소년이 흡연할 경우에 피해가 더욱 큰 이유는 무엇인가? 청소년기는 신체적, 정서적, 도덕적, 사회적으로 성인이 되기 위해 성장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이때에 청소년이 흡연을 하게 될 경우 세포, 조직, 장기가 미성숙하기 때문에 피해가 더욱 크며, 신체적, 심리적 니코틴 중독증에 더욱 깊이 빠지게 되고(Ryu, 2001), 사회적, 정서적 발달이 잘 이루어지 않아 많은 부작용이 나타난다. 특히, 청소년 흡연의 90%가 성인 흡연으로 이행되는 점을 감안한다면(Korean Association of Smoking & Health, 2010), 청소년 흡연자의 조기 금연을 유도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하겠다.
효과적인 청소년 금연 교육프로그램이 요구되는 상황인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금연프로그램이 산발적으로 진행되고 있긴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보편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 않으며 금연학교나 보건복지 관련 기관 등 금연교육을 시행하는 시설의 숫자가 매우 적고 대부분의 시설이 서울이나 수도권에 편중되어 있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몇몇 금연 프로그램(Kang, 2005; Lee, 2004)의 경우, 대상자가 직접 신청하거나 단체에서 의뢰를 해야 되는데 거리상의 문제로 인해 이용하기 번거롭다는 단점을 지닌다. 접근하기 쉬운 프로그램 중 하나는 보건소에서 운영 중인 금연프로그램인데, 이는 특별한 프로그램 매뉴얼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대부분의 경우 흡연의 유해성에 대한 단순 지식전달과 금연방법제공 위주의 단기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어 실효성이 낮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로 인해 효과적인 청소년 금연 교육프로그램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며.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oi, S. H. (2006). Stage of change in smoking cessation and barriers related to re-smok-ing a er coronary artery bypass gra surgery.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Nursing Society Conference for Scholarly Publishing, Seoul. 

  2.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2nd ed.). New Jersey, NJ: Lawrence Erlbaum. 

  3. DiClemente, C. C., Prochaska, J. O., & Gibertini, M. (1985). Self-effcacy and stage of self-change of smoking. Cognitive erapy and Research, 9, 181-200. 

  4. Jee, Y. J. (2008). The effe?ects of smoking cessation program using self -regulated learning strategy in middle-school boy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5. Kang, B. H. (2005). A study on education program for prohibiting smoking of teenag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6. Kim, H. J. (2001). The eff?ect of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self-e?cacy promotion on the self- e?cacy and smoking of smoker students in middle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7. Kim, S. J. (1999). The e?ffectiveness on the high school boys smoking behavior and psychosocial factors of the smoking cessation program based on transtheoretical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Seoul. 

  8. Kim, S. (2001). The development of school-based pre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 smoking. Health Promotion Fund Research Report. 

  9. Kim, Y. S., & Jeong, B. R. (2010). An analysis of articles related to smoking and smok-ing cessation of Korean adolescents. The Journal Korean Community Nursing, 21, 53-62. 

  10. Korean Association of Smoking & Health. (2008, September 19). 2009 Youth tobacco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trieved April 4, 2010, from http://www.kash.or.kr 

  11. Korean Association of Smoking & Health. (2010, January 6). Smoking survey of 201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trieved April 29, 2010, from http://www.kash.or.kr 

  12. Lee, J. H., Kang, E. S., & Lee, Y. E. (2001). The effect of smoking self -efficacy promotion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2, 716-731. 

  13. Lee, Y. J. (2004). 5&6 Smoking Cessation Program. Korean Association of Smoking & Health, Seoul. 

  14. Lim, E. S. (2007). The e?ffects of 5&6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adolescent's smoking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5. Mathias, B. J. (2006). Youth smoking cessation- a healthy challenge. A meta-analysis. 13th World Conference on Tobacco or Health, Washington DC, USA. 

  16.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National smoking prevention & no smoking business. 

  17. Oh, B. C. (2002). Related factors with the stage of change of smoking cessation in adolescent-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8. Pallonen, U. (2006). Knowing how to help tobacco users: Dentists' familiarity and compliance with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The Journal of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137, 170-179. 

  19. Park, M. K., Kang, K. S., & Kim, N. Y. (2007). Effects of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amount of smoking and nicotine dependence and self-efficacy of smoking cessation for smoking wor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1073-1079. 

  20. Park, S. S. (2007). Validity of expired carbon monoxide and urine cotinine using dipstick method to assess smoking statu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1. Rhu, H. S. (2004). E?ects of exercise-based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the smoking behavior, psychosocial variables and weigh in high school girl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2. Ryu, K. H. (2001).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rogram to aid adolescents in giving up smoking. Journal of Human Ecology, 6, 1-18. 

  23. Shin, S. R. (1997).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elf-regulatory e?cacy promoting program and it's e?ect on adolescent smok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4. Shin, Y. H. (2003). The Eff?ect of anti-smoking program for girl's middle school smo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