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스트레스 간호중재가 부인암 환자의 디스트레스, 면역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Psychosocial Distress Nursing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Gynecological Cancer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4 no.3, 2012년, pp.219 - 231  

박정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오윤정 (경남도립거창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distress nursing intervention for relieving psychosocial distress. Methods: We developed a twelve-week non-pharmacological distress nursing intervention to decrease distress. This intervention includes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상자의 보호를 위해 해당 기관의 자료수집 승인을 받은 후 암센터, 간호부서와 산부인과 담당의사의 협조를 얻어 진행되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을 포함한 본 연구에 참여하는 대상자들은 자발적으로 부인종양 전담간호사에게 신청을 하였으며, 이들 모두에게 연구내용, 연구목적, 연구자료 분석의 익명성, 사생활 보장 및 연구참여 중도 포기 가능성을 설명한 후 동의서에 서명을 받았다.
  • 본 연구는 부인암 환자들을 위한 총 12주 디스트레스 간호 중재를 적용하여 부인암 환자의 디스트레스 정도, 디스트레스 문제, 면역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부인암 환자들이 질병 과정에서 경험하는 디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면역기능을 증진시켜 질병 회복 및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부인암 환자를 위한 디스트레스 간호중재를 개발 적용한 후 디스트레스 정도, 디스트레스 문제, 면역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최종 개발된 부인암 환자를 위한 디스트레스 간호중재는 인지행동요법, 마음챙김명상, 지지요법 및 심리교육을 기본 틀로 하여 구성하였으며, 총 12주로 이루어져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부인암 환자들을 위한 디스트레스 간호중재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러한 종양 관련 간호사들이 암 환자의 디스트레스를 해소시키는 체계적인 디스트레스 간호중재를 수행하여 암 환자의 치료 효과를 높이고 삶의 질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인암 환자를 위한 디스트레스 간호중재를 적용한 후 디스트레스 정도, 디스트레스 문제, 면역 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부인암 환자의 회복과 삶의 질 증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들이 경험하는 디스트레스의 수준이 높을수록 환자들은 어떤 영향을 받게되는가? Kim (2009)의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 전원이 암 진단에서부터 치료, 재발과 전이, 치료 종료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서 정서적 어려움을 표현하였는데, 혼돈과 당황에서부터 불안, 두려움, 분노, 우울, 죄책감과 부담감, 허무와 무력감, 절망, 소외감 등 매우 다양한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한다고 하였다. 환자들이 경험하는 디스트레스의 수준이 높을수록 통증, 피로, 메스꺼움, 수면장애, 숨 가쁨, 건망증, 식욕부진, 졸음, 입 마른 느낌, 구토, 무감각/저린 느낌 등의 지각된 증상이 더 심각해지며,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Kim, 2009; Kwon, 2009).
디스트레스란 무엇을 말하는가? 투병과정에서 암 환자는 여러 가지 심리사회적 고통을 겪게 되고 일시적으로 이러한 감정을 경험하는 것은 자연스런 반응일 수 있으나, 상당수의 환자들은 투병에 지장이 있을 정도의 정서적 고통인 디스트레스(distress)를 겪게 된다(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NCCN, 2011). 디스트레스는 암, 신체 증상, 치료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능력을 방해하는 심리적, 사회적, 영적 특성을 포함하는 불유쾌한 정서적 경험을 의미한다(Kim, 2009). Kim (2009)의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 전원이 암 진단에서부터 치료, 재발과 전이, 치료 종료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서 정서적 어려움을 표현하였는데, 혼돈과 당황에서부터 불안, 두려움, 분노, 우울, 죄책감과 부담감, 허무와 무력감, 절망, 소외감 등 매우 다양한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한다고 하였다.
부인암 환자들은 연구를 통해 어떤 감정을 경험한다고 밝혀졌는가? 디스트레스는 암, 신체 증상, 치료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능력을 방해하는 심리적, 사회적, 영적 특성을 포함하는 불유쾌한 정서적 경험을 의미한다(Kim, 2009). Kim (2009)의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 전원이 암 진단에서부터 치료, 재발과 전이, 치료 종료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서 정서적 어려움을 표현하였는데, 혼돈과 당황에서부터 불안, 두려움, 분노, 우울, 죄책감과 부담감, 허무와 무력감, 절망, 소외감 등 매우 다양한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한다고 하였다. 환자들이 경험하는 디스트레스의 수준이 높을수록 통증, 피로, 메스꺼움, 수면장애, 숨 가쁨, 건망증, 식욕부진, 졸음, 입 마른 느낌, 구토, 무감각/저린 느낌 등의 지각된 증상이 더 심각해지며,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Kim, 2009; Kwon,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 E. A., & Oh, H. E. (2011).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depression, quality of life, resilience and immune responses in breast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 (3), 285-293. 

  2. Choi, K. J. (2008). Enhanced anti-tumor effect of oncolytic adenovirus expressing IL-12 and GM-CSF.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3. Chun, N. M. (2011). Effectiveness of PLISSIT model sexual program on female sexual function for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 (4), 471- 480. 

  4. Clark, M. M., Bostwick, J. M., & Rummans, T. A. (2003). Group and individual treatment strategies for distress in cancer patients. Mayo Clinic Proceedings, 78, 1538-1543. 

  5. Daniels, J., & Kissane, D. W. (2008).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cancer patients. Current Opinion in Oncology, 20, 367-371. 

  6. Dunn, G. P., Bruce, A. Y., Ikeda, H., Old, L. J., & Schreiber, R. D. (2002). Cancer immunoediting: From immunosurveillance to tumor escape. Nature Immunology, 3 (11), 991-998. 

  7. Fawzy, F. I., & Fawzy, N. W. (1994). A structured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for cancer patients. General Hospital Psychiatry, 16 (3), 149-192. 

  8. Glas, R., Reavley, N., Mrazrk, L., & Sali, V. A. (2001). Psychosocial intervention and cancer patients: Psychological and immune responses may depend on cancer type. Medical Hypotheses, 56 (4), 480-482. 

  9. Kim, B. S. (2007). The effects of hand massage on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anxiety response of operative gynecological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Incheon. 

  10. Kim, C. J., Hur, H. K., Kang, D. H., & Kim, B. H. (2006). The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to improve stress and coping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1), 169-178. 

  11. Kim, J. H. (2009). Development of recommendations for distress management toward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12. Kim, J. N. (2005). Efficacy of an integrated group psychotherapy on the quality of life and immune funct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13. Koo, B. J. (2007).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logotherapybased resilience promotion program for gynecologic cancer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1). Korea national health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 Retrieved June 1, 2011, from Web site: http://www.knhanes.cdc.go.kr 

  15. Kwon, E. J. (2009). Distress and quality of life after completion of cancer treatment in breast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6. Larson, M. R., Duberstein, P. R., Talbot, N. L., Caldwell, C., & Moynihan, J. A. (2000). A presurgical psychosocial intervention for breast cancer patients: Psychological distress and the immune respons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48, 187-194. 

  17. Lee, E. H. (2007).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quality of life scale for Korean patients with cancer(C-QO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3), 324-333. 

  18. Lee, E. M. (2009). A study of medical service utilization in patient with depression undergoing mastectomy and hysterectom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9. Lee, H. K., Yang, Y. H., Gu, M. O., & Eun, Y. (2009). Nursing research. Seoul: Hyunmonsa. 

  20. Min, H. S., Park, S. Y., Lim, J. S., Park, M. O., Won, H. J., & Kim, J. I. (2008). A study on behaviors for prevention recurrence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surviv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2), 187-194. 

  21.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2011).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in oncology: Distress management. Retrieved June 7, 2011, from Web site: http://www.nccn.org/professionals/physician_gls/PDF/distress.pdf 

  22. Nelson, E. L., Wenzel, L. B., Osann, K., Dogan-Ates, A., Chantana, N., Reina-Patton, A., et al. (2008). Stress, immunity, and cervical cancer: Biobehavioral outcomes of a randomized clinical trail. Clinical Cancer Research, 14 (7), 2111-2119. 

  23. Nho, J. H. (2008). Informational needs and quality of life i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4. Park, J. H., Bae, S. Y., Jung, Y. S., & Kim, K. S. (2012). Quality of life and symptom experience in breast cancer survivors after participating in a psychoeducational support program. Cancer Nursing, 35 (1), 34-41. 

  25. Park, J. S., & Oh, Y. J. (2012). Factors influencing on quality of life in gynecological 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4 (1), 52-63. 

  26. Park, Y. S., Han, K. J., Hah, Y. S., Song, M. S., Kim, S. J., Chung, C. W., et al. (2008). Effects of telephone counseling on health and service satisfac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4 (2), 294-304. 

  27. Power and Precision. (2012). Power analysis. Retrieved June 4, 2012, from the Power and Precision Web site: http://www. power-analysis.com 

  28. Rehse, R., & Pukrop, R. (2003).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on quality of life in adult cancer patients: Meta analysis of 37 published controlled outcome studies. Patient Education & Counseling, 50, 179-186. 

  29. Smyth, M. J., Cretney, E., Kershaw, M. H., & Hayakawa, Y. (2004). Cytokines in cancer immunity and immunotherapy. Immunological Reviews, 202, 275-293. 

  30. Tae, Y. S., & Youn, S. J. (2006). Effects of a forgiveness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hope and quality of life in woman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6 (2), 111-1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