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지재활 프로그램이 뇌졸중환자의 인지기능, 우울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mong Patients with Stroke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4 no.3, 2012년, pp.305 - 316  

장윤정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  전성숙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a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for the patients having an acute stroke. The variables evaluated were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급성기 뇌졸중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인지재활 프로그램이 대상자의 인지기능, 우울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실험군은 인지재활 프로그램 실시 후 뇌졸중환자의 인지기능이 대조군보다 더 향상되어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급성기 뇌졸중환자의 인지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뇌졸중환자의 인지기능, 우울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결과 급성기 뇌졸중환자에게 Kim (2001)과 Oh 등(2005)의 연구를 참조하여 지남력, 주의력, 기억력, 문제 해결력의 인지기능 4가지 영역을 포함한 통합적인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실시 후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인지기능과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우울 정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 본 연구는 인지재활 프로그램이 뇌졸중환자의 인지기능, 우울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Figure 1).
  • 이에 본 연구자는 Oh 등(2005)이 제시한 통합적 인지재활 프로그램과 Kim (2001)의 프로그램을 토대로 하여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이를 뇌졸중환자에게 적용하여 인지기능, 우울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간호사들이 보다 간편하게 환자의 인지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훈련을 실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시함으로써 간호 실무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 인지재활(Cognitive rehabilitation)이란 주의력, 기억력, 개념 형성 능력 등의 인지기능에 대해 체계적으로 개입하여 정보처리를 방해하는 인지기능 결함을 호전시키는 것(Berrol, 1990)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남력, 주의력, 기억력으로 구성된 Kim (2001)의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토대로 Oh 등(2005)이 개발한 통합적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하여, 간호사가 직접 환자에게 적용하거나, 환자 보호자 교육에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주의력, 기억력, 문제해결력 등의 내용으로 본 연구자가 재구성한 프로그램을 1회 1시간, 주 2회, 총 3주 동안 제공하는 재활간호 프로그램을 말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환자를 대상으로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인지기능, 우울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준비 단계에서 각 회기마다 인사를 하고 지난 회기에 메모한 숙제를 확인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2.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우울정도가 감소될 것이다.
  • 가설 1.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인지기능이 향상될 것이다.
  • 가설 3.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Kim & Han, 2004에 따르면, 뇌졸중은 환자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우리나라에서 흔히 ‘중풍(中風)’이라 불리는 뇌졸중(Stroke)을 경험하는 환자의 1/3은 발병 후 한 달 이내에 사망하며, 생존자의 50% 이상이 뇌손상 부위에 따라 편마비, 언어장애, 감각장애 및 인지장애를 포함한 기능장애가 발생하고, 신체적,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으로 경험한다(Kim & Han, 2004). 기능장애가 남은 환자는 재활치료의 대상이 되는데, 인지기능이 심하게 떨어져 있거나 우울증이 있으면 신경학적 회복이 충분하더라도 기능적 회복이 어렵다(Lee & Kwon, 2003).
기억력 훈련 중 언어 기억력 훈련은 어떻게 진행되었는가? 언어 기억력에서 단어는 첫째, 단어목록을 보여주고, 생각 나는 대로 말하도록 하였고, 상호연관성을 찾게 하여 기억하기 쉽게 하였다. 둘째, 단어목록을 들려주고 생각나는 대로 말하라고 하였고, 상호연관성을 찾게 하여 기억하기 쉽게 하였다. 셋째, 단어목록들을 읽게 하고 생각나는 대로 말하라고 하였고, 상호연관성을 찾게 하여 기억하기 쉽게 반복 훈련을 하였다. 그리고 문장은 첫째, 시간을 주어 문장을 보게 한 후 질문에 대답하게 하였다. 둘째, 문장들을 들려주고 질문에 대답하게 하였다. 셋째, 문장들을 읽게 하고, 질문에 대답하게 하여 반복 훈련을 하였다. 흥미 유발을 위해 애창곡을 외워서 부르게 하였고, 어제 인상 깊었던 일이나 선호하는 TV 프로그램, 식사메뉴 등 일상적인 이야기를 하여 기억력을 향상시켰다.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장애 개선을 위한 재활치료가 매우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기능장애가 남은 환자는 재활치료의 대상이 되는데, 인지기능이 심하게 떨어져 있거나 우울증이 있으면 신경학적 회복이 충분하더라도 기능적 회복이 어렵다(Lee & Kwon, 2003). 특히, 인지기능장애는 뇌졸중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심각하게 제한하고, 사회복귀에 있어서 중요한 장애요소가 되므로 인지기능개선을 위한 재활치료는 매우 중요하다(Han, Kim, Seong, & Chun, 199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rrol, S. (1990). Issues in cognitive rehabilitation. Archives Neurology, 47 (2), 219-220. 

  2. Cho, M. J., & Kim, K. H. (1993).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2 (3), 381-398. 

  3. Choi, E. J. (2002). Effects of rehabilitation program based on self-efficacy on poststroke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4. Choi-Kwon, S. (1992). A study of patients with head injur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2 (4), 464-475. 

  5. Cicerone, K. D., Dahlberg, C., Malec, J. F., Langenbahn D. M., Felicetti, T., Kneipp, S., et al. (2005). Evidence-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updated review of the literature from 1998 through 2002.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6, 1681-1692. 

  6. Folstein, M. F., Folstein, S. E., & McHugh, P. R. (1975). Mini- 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Psychiatry Research, 12, 189-198. 

  7. Granger, C. V., Hamilton, B. B., Keith, R. A., Zielesky, M., & Sherwin, F. S. (1986). Advances in functional assessment for medical rehabilitation. Topic in Geriatric Rehabilitation, 1 (3), 59-74. 

  8. Han, T. R., Kim, J. H., Seong, D. H., & Chun, M. H. (1992). The correlat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 and functional outcome in the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16 (2), 123- 133. 

  9. Kang, H. S. (1984). Stress and coping for patients with hemiplegia during the rehabilitation proc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4 (1), 18-32. 

  10. Kang, Y. W., Na, D. L., & Hahn, S. H. (1997). A validity study on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MMSE) in dementia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15 (2), 300-308. 

  11. Kim, J. H., & Han, T. R. (2004). Principle of rehabilitation medicine. Seoul: Koonja Publishing. 

  12. Kim, M. Y. (2001). The effect of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in traumatic brain injured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 University, Seoul. 

  13. Kim, Y. H. (2000).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the patients with vascular dementia. Korean Journal of Stroke, 2 (2), 154-157. 

  14. Kong, H. K., & Lee, H. J. (2008). Effect of empowerment program on rehabilitation motivation, depress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mong the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 (3), 406-417. 

  15.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2005). Textbook of neuropsychiatry (2nd ed.). Seoul: Joonganmoonhwasa. 

  16.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0). Cause of death statistics in 2009, Retrieved June 30, 2011, from http:// kostat.go.kr/portal/korea/kor_nw/2/6/2/index.board? bmodedownload&bSeq&aSeq179505&ord4 

  17. Kwon, J. H., Yuk, J. H., & Byun, E. M. (2009). The effects of a home-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ccupational therapy, 17 (1), 39-48. 

  18. Lee, D. J., & Ko, T. S. (2010). Relationships between symptoms of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physical function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49 (4), 159-178. 

  19. Lee, J. S., & Seo, N. S. (2010). Effects of the meridian massage on the hand edema,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2 (2), 171-181. 

  20. Lee, K. S., Cheong, H. K., Oh, B. H., & Hong, C. H. (2009). Comparison of the validity of screening tests for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of the elderly in a community: K-MMSE, MMSE-K, MMSE-KC, and K-HD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8 (2), 61-69. 

  21. Lee, S. A., Cheong, M. S., & Chai, K. J. (2001). The Effect of the 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on cognition, percep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on traumatic head injury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9 (1), 123-133. 

  22. Lee, S. R., & Kwon, H. C.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cognitive score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University Trained Physical Therapists, 10 (3), 41-51. 

  23. Murry, R. B., Huelskotter, M. M. W., & O'Driscoll, D. L. (1980). The nursing process in later maturity. New Jersey: Prentice Hall. 

  24. Narushima K., Chan K. L., Kosier J, T., & Robinson R, G. (2003). Does cognitive recovery after treatment of poststroke depression last? A 2 year follow-up cognitive function associated with poststroke depression.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0, 1157-1162. 

  25. Oh, H. S., Kim, Y. R., Seo, W. S., & Seo, Y. O. (2005). Development of an integrative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for brain injured patients in the post-acute stag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2), 270-282. 

  26. Robinson, R. G., Starr, L. B., Lipsey, J. R., Rao, K., & Price, T. R. (1983). A two-year longitudinal study in poststroke mood disorders: Dynamic changes in associated variables over the first six months over the first six months of follow-up. Stroke: A Journal of Cerebral Circulation, 15 (3), 150-157. 

  27. Shin, S. H., Kim, J. S., & Kim, Y. K. (2008). The effects of a computer- assisted cognition training program (RehaCom) in stroke patients. Brain & Neuro Rehabilitation, 1 (2), 181-189. 

  28. Shin, S. H., Ko, M. H., & Kim, Y. H. (2002). Effect of computer- 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brain inju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 (1), 1-8. 

  29. Song, K. H., & Park, H. S. (2001). The effect of exercise for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in stroke patients. Korean Academic Society of Rehabilitation Nursing, 4 (2), 146-154. 

  30. Trombly, C. A. (1983).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2nd ed). Baltimore: Williams and Willkin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