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장인 스트레스 반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Employee's Stress Response Scale 원문보기

Anxiety and mood = 대한불안의학회지, v.8 no.2, 2012년, pp.153 - 160  

이정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최보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정영은 (현대사랑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송광헌 (다인C&M) ,  강민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채정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mployee's stress response scale (ESRS) and examin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s :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 item generation, and test of validity and reliability. Items were developed via literature review, review of ins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직장인 상담 현장에서 직장인의 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스트레스 반응 척도 개발 및 척도의 타당화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검토 및 직장인 상담 전문가에 대한 조사, 전문가를 통한 내용타당도 검증, 예비조사를 거쳐 예비문항을 선정하는 단계와 수도권에 근무하는 직장인 400명을 대상으로 타당도 및 신뢰도를 평가하는 단계의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직장인의 스트레스 반응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직장인 스트레스 반응 척도를 개발하고, 개발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를 야기하는 개인적, 환경적 요인보다는 반응에 초점을 맞추고, 스트레스 관련된 질환을 진단하려는 목적이 아닌 일반적인 스트레스 반응의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며, 직장인의 업무와 관련하여 나타날 수 있는 반응까지도 포괄하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0을 사용하여 자료분 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스트레스 반응을 선행연구들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신체적, 심리적, 행동적 반응의 세 측면으로 구분하여 문항을 구성하였으나, 실제 문항구성 차원에서 하위 요인이 어떻게 구성될지 불명확하기 때문에 자료의 분석을 통해 도출되는 요인을 찾고자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이유로는 첫째, 심리적, 행동적 반응에는 개인적 측면의 반응 뿐 아니라 조직적 측면의 반응 또한 포함되어 있는데, 스트레스 반응이 개인적 측면과 조직적 측면 둘 다에 속할 수가 있고 어느 쪽에 속하는지 분류하는 것은 주관적인 결정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 본 연구는 직장인의 스트레스 반응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직장인 스트레스 반응 척도를 개발하고, 개발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를 야기하는 개인적, 환경적 요인보다는 반응에 초점을 맞추고, 스트레스 관련된 질환을 진단하려는 목적이 아닌 일반적인 스트레스 반응의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며, 직장인의 업무와 관련하여 나타날 수 있는 반응까지도 포괄하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트레스의 반응에는 무엇이 있는가? 스트레스는 현대인에게 중요한 화두가 되었으며, 특히 모든 근로자가 경험하는 보편적인 정신건강의 문제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스트레스의 반응은 두통, 소화장애, 근육긴장 등 신체적 증상부터 우울, 불안, 공격성 등 심리적 반응, 기억력 저하, 수면장애 등 행동적 증상까지 다양하다. 스트레스가 누적되면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궤양, 당뇨병, 그리고 피부 및 호흡기 질환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1,2 인지와 정동 상태에 심각한 변화를 일으켜 다양한 정신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스트레스가 누적되면 어떤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가? 스트레스의 반응은 두통, 소화장애, 근육긴장 등 신체적 증상부터 우울, 불안, 공격성 등 심리적 반응, 기억력 저하, 수면장애 등 행동적 증상까지 다양하다. 스트레스가 누적되면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궤양, 당뇨병, 그리고 피부 및 호흡기 질환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1,2 인지와 정동 상태에 심각한 변화를 일으켜 다양한 정신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스트레스는 높은 수준으로 보고되고 있으며3 근로자에게 있어서 스트레스는 개인적인 차원뿐만 아니라 조직적 차원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스트레스를 정량화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스트레스에 대한 평가는 매우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환경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자극에 초점을 두는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평가, 개인에게 심리적 갈등이나 긴장을 주는 환경에 대한 반응에 초점을 두는 스트레스 반응에 대한 평가, 그리고 개인과 환경간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인지행동적 요소에 초점을 두는 상호작용으로서의 스트레스에 대한 평가로 구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통상적이다.8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연구는 스트레스 요인이 되는 자극의 빈도와 성질, 혹은 생활변화 단위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 대부분 이었다.9 그러나 이런 결과가 그대로 개인의 스트레스 수준을 나타내지는 않으며, 동일한 자극을 주는 사건이나 환경에서도 개인에 따라 스트레스를 느끼는 정도는 차이가 있다. 스트레스성 사건의 경험이 바로 동일한 스트레스로 인식되지 않으며, 사회경제적 상태나 성격이 유사하더라도 스트레스의 발생과 관련된 중재장치-사회적 지지나 대응능력 등-의 차이에 따라 달리 인식될 수 있다.10 따라서 개인의 스트레스 수준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는 개인에게 심리적 갈등이나 긴장을 주는 환경에 대한 반응에 초점을 두는 반응으로서의 스트레스를 정량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House JS. Occupational stress and coronary heart disease: A review and theoretical integration. J Health Soc Behav 1974;15:12-27. 

  2. Matthew KA, Cottington EM, Talbott E, Kuller LH, Siegel JM. Stress-ful work conditions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among blue collar factory workers. Am J Epidemiol 1987;126:280-291. 

  3. Park KC, Lee KJ, Park JB, Min KB, Lee KW.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symptoms among white-collar male workers in an automotive company.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8;20:215-224. 

  4. Beehr TA, Newman JE. Job stress, employee health and organizational effectives: a facet analysis, model and literature review. Personal Psychology 1978;31:665-699. 

  5. Cohen S. Aftereffect of stress on human performance and social behavior: review of research and theory. Psychol Bull 1980;88:82-108. 

  6. Lee CM, Song DH, Park HK, Song BI. A Model Testing Study on the Job Stress Organizational Outcomes.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991;4:1-21. 

  7. Kang DM, Koh SB, Kim SA, Kim SY, Kim YJ, Park JS, et al. Job Stress. Seoul: KOMB;2005. 

  8. Lazarus RS, Folkman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1984. 

  9. Koh KB, Park JK, Kim CH. Development of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0;39:707-719. 

  10. Chang SJ.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psychosocial distress among white collar workers.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1992. 

  11. Choi SM, Kang TY, Woo J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odified Form of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for Worker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6;45:541-553. 

  12. Cohen S, Kamarck T, Mermelstein R.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 Health Soc Behav 1983;24:385-396. 

  13. Levenstein S, Prantera C, Varvo V, Scribano ML, Berto E, Luzi C, et al. Development of the perceived stress questionnaire: a new tool for psychosomatic research. J Psychosom Res 1993;37:19-32. 

  14. Schlebusch L. The development of a stress symptom checklist. South African Journal of Psychology 2004;34:327-349. 

  15. Cooper CL, Marshall J. Occupational sources of stress: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lating to coronary heart disease and mental ill health. J Occup Psychol 1976;49:11-28. 

  16. Jex SM, Crossley CD. Organizational consequences. In Barling J, Kelloway EK, Frone MR (eds). Handbook of Work Stress. California: Sage Publications;2005. p.575-599. 

  17. Zigmond AS, Snaith RP.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cta Psychiatr Scand 1983;67:361-370. 

  18. Oh SM, Min KJ, Park DB.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for Koreans: a comparison of normal, depressed and anxious group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9;38:289-296. 

  19. Chang SJ. Stress,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Standardization for collection and measurement of health statistics data. Seoul:Gyechuk;2000. 

  20. Kim CH. Stress & chronic fatigue. Korean J Str Res 2007;15:99-105. 

  21. Lim SK, Woo JM. The need for employee assistance programs (E-APs) among health and human resources administrators in Korea. Korean J Str Res 2001;19:123-128. 

  22. Choi YS, Woo JM, Kim W, Song G, Kang MJ, Jung YE, et al. A development of multi- dimensional general index of "MP (Mental Pres-sure)" for job stress evaluation and management; pilot study. J Korean Soc Occup Stress 2009;2:26-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