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 고대 복식에 미친 백제복식의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Baekje costumes on Japanese costumes in ancient times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2 no.5, 2012년, pp.96 - 107  

김문자 (수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ncient times, immigrants from Baekje wore various kinds of costumes that provided technological and aesthetic guidance for the Japanese costume, which has been modified and changed in Japan. The clothing and ornaments were strongly influenced directly by costumes of the Baekje period; therefor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대 일본 복식문화는 어떤 국가와 연결되어 있는가? 한편 고대 일본 복식문화에 있어서도 우리나라 삼국시대 고구려, 백제, 고신라, 가야 모든 국가들에 연결되어 있다. 다만 다른 나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백제 관련 자료들은 그 수가 상대적으로 많지 않아서 일본속의 백제계 자료를 찾으려 해도 그 비교자료가 많지 않아서 주로 삼국시대 전체와 일본 복식 자료를 비교하는 연구들6)이 이루어져 왔으며, 백제와 일본복식을 비교 연구하는 경우도 주로 의복부분만을 다루는 연구7)가 있었다.
백제가 고대 일본1)과는 어떠한 형태로든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는 근거는 무엇인가? 한반도의 삼국은 고대 일본1)과는 어떠한 형태로든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백제는 왜(倭)2)와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였는데 사료상 양국 사이에 문화적, 정치적 교류가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는 점은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해 준다. 일본 학계에서는 왜 왕권에 백제가 종속되었다고 보았지만 우리 학계에서는 양쪽의 이해관계가 일치되어 백제가 선진문물을 왜에 전해주고 왜는 백제에 대하여 군사적인 지원을 하는 형태로 이루어졌다고 보고 있다.
日本書紀의 기록을 볼 때, 왜의 한반도 군사파견의 특징은? 우선 『日本書紀』내에 기록되어 있는 왜의 한반도 군사 파견기록을 분석하면, 모두 왜가 주체가 되어 활동한 것이 아니라 백제가 주체가 되어 수행한 전쟁에 지원군의 형태로 왔던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같은 기간 내에 있었던 백제에서 일본열도로 간 인적 교류의 현황을 고찰하면 4세기말 이래 지속적으로 백제의 왕족과 귀족의 파견이 이루어진 정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왜의 군원이 파견될 때마다 백제에서는 반대급부로 박사(博士) 및 승려 등 전문지식인의 파견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7)

  1. 자료검색일 2011. 11. 2, http://100.naver.com/100.nhn?docid117551 

  2. 김현수 (2010), 6세기 백제의 대왜외교 양상과 의미, 한국학논총, 34, p. 166. 

  3. 吉井秀夫(1999), 일본(日本) 속의 백제(百濟), 백제 특별전, 국립중앙박물관 편, 서울: 통천문화사, p. 242. 

  4. 홍성화 (2010), 4-6세기 百濟와 倭의 관계, 한일관계사연구, 36, pp. 3-4. 

  5. 김문자 (1980), 한일 고대복식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金基雄(1981), 裝身具, 日本文化의 源流로서의 比較韓國文化, 東北亞細亞硏究會編, 서울: 三省出版社. 

  7. 김문자 (1996), 古代韓日裝身具比較硏究, 복식, 29, pp. 99-115. 

  8. 김미자 (1993), 우리나라 삼국시대 의복과 일본 의복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임영미 (2003), 일본 고분시대(450-650)복식과 백제복식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복식, 53(2), pp. 17-33. 

  10. 정효운 (2006), 百濟와 倭의 문화 교류 양상에 관한 일 고찰, 日語日文學, 31, pp. 283-284. 

  11. 정효운 (2006), 百濟와 倭의 문화 교류 양상에 관한 일 고찰, 日語日文學, 31, p. 287. 

  12. 정효운 (2006), 百濟와 倭의 문화 교류 양상에 관한 일 고찰, 日語日文學, 31, pp. 286-287. 

  13. 박천수 (2006), 3-6世紀韓半島와 日本列島의 交涉, 한국고고학보, 61, p. 23. 

  14. 이근우 (2010), 일본서기(日本書紀)에 보이는 오경박사(五經博士)와 오음(吳音), 일본역사연구, 31, p. 6. 

  15. 土田純子(2011), 일본(日本) 출토(出土) 백제(百濟)(계(系))토기(土器): 출현(出現)과 변천(變遷), 백제연구, 54, p. 48. 

  16. 유재병 (2006), 5-6世紀百濟住居.煖房.墓制文化의 倭國傳播와 그 背景, 한국사학보, 23, p. 63. 

  17. 이호형 (2008), 公州丹芝里橫穴墓群을 통해 본 古代 韓日交流, 한국고대사연구, 50, p. 255. 

  18. 권오영 (2010), 연구 동향: 일본 나라분지 남부의 최신 발굴조사 성과, 백제학보, 10(3), pp. 104-105. 

  19. 서현주 (2004), 4-6세기 백제지역과 일본열도(日本列島)의 관계, 호서고고학, 11, p. 50. 

  20. 국립중앙박물관 편 (1999), 백제 특별전, 서울: 통천문화사, p. 108. 

  21. 西谷正(2008), 일본속의 백제계(百濟系) 유적과 유물, 백제문화, 38, p. 37. 

  22. 권태원 (2004), 백제의 의복과 장신구, 서울: 주류성, pp. 96-97. 

  23. 자료검색일 2011. 11. 12, http://www.hyangno.net/digital/popup.htm?L_IMG_File../L_VR_image/L_VR_53_I_2.gif 

  24. 자료검색일 2011. 11. 15, http://kyuhaku.jmc.or.jp/index.php?gd_frame.php&index&PCD40&KNO25&SEQNO7 

  25. 자료검색일 2011. 12. 13, http://kyuhaku.jmc.or.jp/index.php/1/-/-/-/-/-/-/m_frame.php 

  26. 김문자 (1980), 한일 고대복식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2. 

  27. 윤양노 (2011), 백제금동대향노 주악상 복식재현을 위한 연구, 국악원논문집, 23, pp. 102-103. 

  28. 자료검색일 2011. 12. 19, http://www.tnm.jp/uploads/r_collection/LL_69.jpg 

  29. 이한상 (2008), 百濟金銅冠帽의 製作과 所有方式, 한국고대사연구, 51, p. 92. 

  30. 유적조사연구실 (1989), 익산 입점리 고분 발굴조사보고서, 서울: 문화재연구소, pp. 29-30. 

  31. 이호관 (1997), 한국의 금속공예, 서울: 민예출판사, pp. 102-103. 

  32. 이남석 (2007), 백제 금동관모 출토 무덤의 검토, 先史와 古代, 26, pp. 223-224. 

  33. 서정은 (2009), 고흥길두리 안동고분출토 금동관모의 수습과 보존처리(II), 보존과학연구, 30, p. 18. 

  34. 서정은 (2008),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출토 금동관모의 수습과 보존처리(I), 보존과학연구, 29, p. 96. 

  35. 김문자 (2008), 삼국시대 관모 및 관식 유물 감정을 위한 기준 설정, 복식, 58(5), p. 16. 

  36. 이남석 (2008), 百濟金銅冠帽의 製作과 所有方式, 한국고대사연구, 51 p. 89. 

  37. 자료검색일 2011. 12. 10, http://www.tnm.jp/modules/r_collection/index.php?controllerother_img&sizeL&colidJ786&img_id2&ttype&id1 

  38. 자료검색일 2011. 12. 22, http://www.tnm.jp/modules/r_collection/index.php?controllerdtl&colidJ786&ttype&id1 

  39. 서현주 (2004), 4-6세기 백제지역과 일본열도(日本列島)의 관계, 호서고고학, 11, pp. 48-49. 

  40. 김성욱 (2011), 한반도 마형대구의 편년과 지역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1. 

  41. 자료검색일 2011. 12. 12, http://museum.nonsan.go.kr/html/museum/sub02/pop_02_03_t05.html 

  42. 정상기 (2009), 백제와 고대일본의 문화교류, 대전선사박물관 제5회 열린강좌 10강 강의자료, p. 29 

  43. 자료검색일 2011. 11. 12, http://museum.daejeon.go.kr/home.do?stsgun&methodnotice_viw&bbsdata&d_no5373&mnodata_04 

  44. 자료검색일 2011. 11. 14, http://www.museum.go.kr/program/relic/relicDetail.jsp?menuID01005002001&relicID679&relicDetailID2713&keyWord%ED%97%88%EB%A6%AC%EB%9D%A0&searchSelectNAME¤tPage1&pageSize10&backrelicSearchList 

  45. 자료검색일 2011. 11. 19, http://www.city.suzaka.nagano.jp/enjoy/shisetsu/hakubutsukan/shiryou/#top 

  46. 정상기 (2009), 백제와 고대일본의 문화교류, 대전선사박물관 제5회 열린강좌 10강 강의자료, p. 30. 

  47. 이영훈, 신광섭 (2004), 고분미술 1, 서울: 솔출판사, p. 244. 

  48. 자료검색일 2011. 11. 19, http://www.heritage.go.kr/culture_2008/kor/search/pop_search_view.jsp?pkPS01001004001000686000AE 

  49. 자료검색일 2011. 11. 19, http://www.tnm.jp/modules/r_collection/index.php?controllerdtl_img&sizeL&colidJ801&ttype&id1 

  50. 자료검색일 2011. 11. 20, http://www.tnm.jp/modules/r_collection/index.php?controllerdtl&colidJ801&ttype&id1 

  51. 町田章(1997), 日本の美術4, 古墳時代の裝身具, 東京: 至文堂, 第36? 

  52. 정상기 (2009), 백제와 고대일본의 문화교류, 대전선사박물관 제5회 열린강좌 10강 강의자료, p. 20. 

  53. 吉井秀夫(1999), 일본(日本) 속의 백제(百濟), 백제 특별전, 국립중앙박물관 편, 서울: 통천문화사, p. 248. 

  54. 자료검색일 2011. 12. 22, http://bcrc.kongju.ac.kr/other/BCRC_2/remains2/remain1_26a.htm 

  55. 정상기 (2009), 백제와 고대일본의 문화교류, 대전선사박물관 제5회 열린강좌 10강 강의자료, p. 21. 

  56. 町田 章(1997), 日本の美術4, 古墳時代の裝身具, 東京: 至文堂, 第36?, pp. 58-59. 

  57. 백제문화개발연구원 (1992), 백제.조각공예도록, p. 214. 

  58. 문화재관리국 편 (1974), 武寧王陵, 서울: 삼화출판사, p. 25. 

  59. 자료검색일 2011. 12. 20, http://bcrc.kongju.ac.kr/other/BCRC_2/remains/remain1_31.htm 

  60. 町田 章(1997), 日本の美術4, 古墳時代の裝身具, 東京: 至文堂, 第36?, pp. 54-55. 

  61. 이한상 (2000), 백제이식에 대한 기초적 연구-편년.제작기법.분포-, 호서고고학, 3, p. 30. 

  62. 자료검색일 2011. 12. 12, http://nonta-space.net/kodai/kodai5.htm 

  63. 서현주 (2004), 4-6세기 백제지역과 일본열도(日本列島)의 관계, 호서고고학, 11, pp. 48. 

  64. 국립부여박물관 편 (2006), 백제의 미, 서울: 한길사, 도판 28. 

  65. 국립부여박물관 편 (2006), 백제의 미, 서울: 한길사, 유물해설 28. 

  66. 자료검색일 2011. 11. 12, http://bcrc.kongju.ac.kr/other/BCRC_2/remains/remain1_33a.htm 

  67. 자료검색일 2011. 11. 12, http://bcrc.kongju.ac.kr/other/BCRC_2/MainFrame4.ht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