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지기능활성을 가진 생약복합물을 첨가한 두유젤리의 제조 및 품질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oy Milk Jelly using Medicinal Herb Composites with Cognitive Effe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9, 2012년, pp.1281 - 1287  

김희숙 (한국국제대학교 외식조리학과) ,  강진순 (한국국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지기능 활성을 가진 생약복합물을 선정하여 최적조성물을 조제한 다음 생약복합물의 첨가비율을 달리하여(0%, 5%, 10%, 15%, 20%) 제조한 두유 젤리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인지기능 생약복합물을 일정비율로 첨가하여 제조한 두유 젤리 제품의 수분활성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생약복합물 첨가군이 더 증가하였으며 생약복합물이 많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pH는 대조군에 비해 생약복합물 첨가한 젤리에서와 생약복합물의 첨가량에 증가함에 따라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당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생약복합물을 첨가한 젤리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 색도는 두유젤리에 대한 생약복합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젤리의 L값은 낮아졌으나 적색도(a)값과 황색도(b)값은 높아졌다. 텍스쳐 측정 결과 경도, 검성, 씹힘성은 생약복합물 15%,20% 첨가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부서짐성, 탄력성, 응집성, 복원성은 전군에서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관능평가 결과 전반적으로 유의적인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첨가량 20% 범위 이내에서는 인지기능 활성을 고려하여 첨가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soy milk jellys with medicinal herbs (MH) composites showing cognitive effects were prepared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Eight kinds of medicinal herbs were extracted with hot water and added to soy milk based on their contents. Medicinal herbs showed cognitive effects,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지난 수년간 muscarin성 acetyl-choline receptor(M1 type), NMDA(N-methyl D-aspartate) receptor의 glycine binding site 및 AChE 등 치매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각종 약물작용점(효소, 수용체)에 대한 저해효과(16,17)를 120여종의 식물추출물(주로 약용식물)을 대상으로 하여 폭넓게 검색한 바 있다. 그 결과를 토대로 활성이 높은 생약재를 선발하여 최적조성물을 조제한 다음 뇌세포 퇴화에 의해 발생되는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보여주는 생약 복합물을 활용하여 고령화 대응용 간식제품의 개발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소화흡수율이 높으며 우수한 단백질급원식품으로 잘 알려져 있는 대두(Glycine max L.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지기능 활성이 있는 산약, 하수오, 황기, 당귀 등 8가지 생약복합물을 조제한 다음 대두에서 두유액을 추출하여 젤리제조에 첨가하여 젤리의 품질을 손상시키지 않고 상용할 수 있는 배합조건을 찾아내어 제품화된 젤리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 본 실험에서는 본 연구에서 조제된 최적복합물이 AChE에 대한 복합물의 저해활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아래와 같이 조사함으로써 인지기능 증강용 식품소재로서의 활용가치가 있는가를 검증하였다. AChE 저해활성 측정은 acetylcholine iodide를 기질로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1과 같다. 알츠하이머성 치매로부터 유발되는 기억력상실 및 학습력 저하 등 각종 인지장애는 주로 대뇌기저부의 acetylcholine 성 신경세포의 손상으로부터 기인된다는 가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생약복합물의 치매에 대한 예방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먼저 AChE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AChE는 acetylcholine을 분해하는 효소로써 이 효소로 인한 acetylcholine 부족 시 기억력 감퇴와 인지능력 부족 등 뇌기능 문제를 일으킨다.
  • 이와 같이 치매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다각도의 신약개발 연구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품의약(nutraceutical) 또는 기능성식품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범세계적인 연구추세에 부응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식물에 기원을 둔 치매 등 각종 퇴행성뇌질환에 수반되는 인지기능 손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기능성 젤리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지난 수년간 muscarin성 acetyl-choline receptor(M1 type), NMDA(N-methyl D-aspartate) receptor의 glycine binding site 및 AChE 등 치매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각종 약물작용점(효소, 수용체)에 대한 저해효과(16,17)를 120여종의 식물추출물(주로 약용식물)을 대상으로 하여 폭넓게 검색한 바 있다.
  • AChE는 acetylcholine을 분해하는 효소로써 이 효소로 인한 acetylcholine 부족 시 기억력 감퇴와 인지능력 부족 등 뇌기능 문제를 일으킨다. 현재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치료제로 미국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공인 받은 tacrine이 acetylcholine 분해 효소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인지기능을 항진시키는 AChE inhibitors로서의 기능이 있는바 본 실험은 tacrine 을 대조군으로 생약복합물의 AChE의 저해활성을 비교해보았다. 본 실험에서 tacrine은 0.

가설 설정

  • (b)값은 높아졌다.
  • 2)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후식과 간식으로 이용이 증대되고 있는 젤리는 어떻게 제조되는가? 최근에 식생활의 다양화, 고급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디저트 식품으로서 젤리의 소비가 늘고 있고 제조 원료도 훨씬 다양해져 유자와 키위 등의 새로운 과실 및 이들의 착즙액을 첨가하여 관능 특성 및 건강 기능적 특성을 향상시킨 젤리 제조에 관한 연구들(1-5)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후식과 간식으로 이용이 증대되고 있는 젤리는 당류와 겔화제를 혼합하여 농축 성형하여 굳힌 후 제조되며 겔화제의 종류에 따라 펙틴 젤리, 한천 젤리, 젤라틴 젤리, 전분 젤리 등으로 구분되어 다양한 조직감을 부여하므로 제조공정에 따라서도 다양한 제품을 기대할 수 있다(6). 조직상으로 펙틴 젤리는 잘 끊어지고 약간의 씹힘성이 있으며 젤라틴 젤리는 질기고 씹힘성이 뛰어나고 전분 젤리는 다른 종류들에 비해 단단한 조직감을 특성으로 가지고 있어 다양한 소비자의 기호를 충 족시켜주고 있다(7,8).
디저트 식품으로서 젤리의 소비가 늘고 있는 이유는? 최근에 식생활의 다양화, 고급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디저트 식품으로서 젤리의 소비가 늘고 있고 제조 원료도 훨씬 다양해져 유자와 키위 등의 새로운 과실 및 이들의 착즙액을 첨가하여 관능 특성 및 건강 기능적 특성을 향상시킨 젤리 제조에 관한 연구들(1-5)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후식과 간식으로 이용이 증대되고 있는 젤리는 당류와 겔화제를 혼합하여 농축 성형하여 굳힌 후 제조되며 겔화제의 종류에 따라 펙틴 젤리, 한천 젤리, 젤라틴 젤리, 전분 젤리 등으로 구분되어 다양한 조직감을 부여하므로 제조공정에 따라서도 다양한 제품을 기대할 수 있다(6).
젤리의 겔화제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는데 그중 다른 종류들에 비해 단단한 조직감을 특성으로 가진 젤리는? 또한 후식과 간식으로 이용이 증대되고 있는 젤리는 당류와 겔화제를 혼합하여 농축 성형하여 굳힌 후 제조되며 겔화제의 종류에 따라 펙틴 젤리, 한천 젤리, 젤라틴 젤리, 전분 젤리 등으로 구분되어 다양한 조직감을 부여하므로 제조공정에 따라서도 다양한 제품을 기대할 수 있다(6). 조직상으로 펙틴 젤리는 잘 끊어지고 약간의 씹힘성이 있으며 젤라틴 젤리는 질기고 씹힘성이 뛰어나고 전분 젤리는 다른 종류들에 비해 단단한 조직감을 특성으로 가지고 있어 다양한 소비자의 기호를 충 족시켜주고 있다(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im IC. 2009. Manufacture of citron jelly using the citron-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96-402. 

  2. Yoon HS, Oh MS.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mixed polysaccharide gels with various kiwifruit contents. Kor J Soc Food Cookery Sci 19: 511-520. 

  3. Lyu HJ.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Omija jelly prepared with various starches by the addition of oil and chitosan. J Food Cookery Sci 21: 877-887. 

  4. Sim YJ, Paik JE, Joo NM, Chun HJ. 1995. Influence of carrageenan and pectin addition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Omija extract jelly. Korean J Soc Food Sci 11: 362-364. 

  5. Heo HY, Joo NM, Han YS. 2004. Optimization of jelly with addition of green tea powder using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H Soc Food Cookery Sci 20: 112-118. 

  6. Kim AJ, Yuh CS, Bang IS. 2007. A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dongchunghacho jelly with assorted increment of Paecilomyces japonica powder. Korean J Food Nutr 20: 40-46. 

  7. Lee TH, Lee YH, Yoo MS, Rhee KS. 1991. Instrument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jelly.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336-340. 

  8. Jeong HK, Song ES, Choi JY. 1994. A study of textual properties and preferences of fruit pectin jelly. Korean J Dietary Culture 9: 259-266. 

  9. Alfredo AS. 1988. Assessing vision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West J Med 148: 693. 

  10. Nationwide study on the prevalence of dementia in Korean elders. 2008. Korea Institute and Social Affairs. 

  11. David D, Shelley JA. 2007. Neurobiology of Alzheimer's disease. Oxford University press, London, UK. p 2-36. 

  12. Leathwood PD, Heck E, Mauron J. 1982. Phosphatidyl choline and avoidance performance in 17 month-old SEC/1ReJ mice. Life Sci 30: 1065-1071. 

  13. Wang Y, Kikuchi T, Sakai J, Wu L, Sato K, Okumura F. 1999. Aged-related modifications of effects of ketamine and propofol on rat hippocampal acetylcholine release studied by in vivo brain microdialysis. Acta Anaesthsiol Scand 44: 112-117. 

  14. Ellman GL, Courtney KD, Andres V Jr, Feathe-rstone RM. 1961. A new and rapid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acethylcholinesterase activity. Biochem Pharmacol 7: 88-95. 

  15. Kim DI, Lee SH, Hur EY, Cho SM, Park HJ. 2005. Screening of natural plant resources with acethylcholinesterase inhib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427-432. 

  16. Kim YS, Kim JS, Kim SK, Heor JH, Lee BE, Ryu SY. 2001. Binding affinity of some herbal extracts on the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 subtype 1 $(mAChR-M_1)$ . Kor J Pharmacogn 32: 219-225. 

  17. Kim JS, Kim YS, Kim SK, Heor JH, Lee BH, Choi BW, Ryu GS, Park EK, Zee OP, Ryu SY. 2002. Inhibitory effects of some herbal extracts on the acethylcholinesterase(AChE) in vitro. Kor J Pharmacogn 33: 211-218. 

  18. Kim JS. 1996. Current research trends on bioactive function of soybean. Korea Soybean Digest 13: 17-24. 

  19. Myung JE, Hwang IY. 2008. Func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oybean extract. Korea Soybean Digest 25: 23-29. 

  20. Shon DH. 1997. Nutritional and bioactive components of soy milk and cow's milk (a review). Korea Soybean Digest 14: 66-76. 

  21. Kang JS, Kang SK, Kim HS. 2009.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bread by medicinal herb composites with cognitive func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131-1138. 

  22. Lee MR, Sun BS, Gu LJ, Wang CY, Fang ZM, Wang Z, Mo EK, Ly SY, Sung CK. 2009. Effects of the deer antler extract on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and its related enzyme activi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409-414. 

  23. Messer WA Jr, Rajeswaran WG, Cao Y, Zhang HJ, el- Assadi AA, Dockery C, Liske J, O'Brien J, Williams FE, Huang XP, Wroblewski ME, Nagy PI, Peseckis SM. 2000. Design and development of selective muscarinic agonists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characterization of tetrahydropyrimidine derivatives and development of new approaches for improved affinity and selectivity for M1 receptors. Pharm Acta Helv 74: 135-140. 

  24. Kim AJ, Rho JO. 2011.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added with black garlic concentrate. Kor J Human Ecology 20: 467-473. 

  25. Cho Y, Choi MY.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containing added turmeric (Curcuma longa L.) and beet (Beta vulgaris L.).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481-489. 

  26. Moon JN, Lee SW, Moon HK, Yoon SJ, Lee WY, Lee S, Kim GY.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ma (Gastrodia elata Blume) jelly with added Gastrodia elata Blume concentrate. Korean J Food Cookery Sci 27: 545-556. 

  27. Kim AJ, Yuh CS, Bang IS, Park HY, Lee GS. 2007. An investigation the prepar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ddi jelly using mulberry fruit pow. Korean J Food Nutr 20: 27-33. 

  28. Son MJ, Whang K, Lee SP. 2005. Development of jelly fortified with lactic acid fermented prickly pear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408-4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