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파 잎의 추출용매별 항산화성 검증과 활성물질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Compounds of Various Solvents Extracted from Eriobotrya japonica Leave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2 no.9 = no.149, 2012년, pp.1166 - 1172  

함현숙 (부산대학교식품공학과) ,  이세열 (부산대학교식품공학과) ,  이동완 (부산대학교식품공학과) ,  성종환 (부산대학교식품공학과) ,  김한수 (부산대학교식품공학과) ,  김동섭 (부산대학교식품공학과) ,  이영근 (부산대학교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비파 잎의 항산화 활성을 탐색하고 활성물질을 분리하여 규명하기 위하여, 동결 건조한 비파 잎을 마쇄하여 n-hexane, ethyl acetate (EtOAc)와 methanol (MeOH)로 용매 분획하였다. 각 추출물에 대하여 정량적으로 DPPH 소거활성,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고, 페놀 화합물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각 용매에 따른 추출물 중 비교적 활성이 강한 EtOAc 추출물과 MeOH 추출물에 대하여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얻은 분획물들 중 강한 활성을 보인 각 1개의 분획물에서 3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GC/MS 분석에서 phytol, ${\beta}$-sitosterol 및 (-)-Loliolide으로 동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potential medicinal or functional uses of Eriobotrya japonica, this study focused on th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compounds from Eriobotrya japonica leaves. Various solvents were extracted from the leaves, and their scavenging effect on 2,2-diphenyl-1-picrylhydrazy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건강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가능성을 가진 비파 잎의 용매별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을 탐색하고 추출물의 분획과 분리 등으로 활성물질을 규명함으로써 비파의 산업적 이용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페놀성 화합물 중 특히 각종 기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flavonoid 함량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일정한 농도로 정용된 시료 1 ml와 diethyleneglycol 2 ml, 1N-NaOH를 20 μl를 혼합하여 37℃에서 60분 동안 반응시킨 후 UV/VIS spectrophotometer (U-2000, Hitachi, Japan)로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파 잎의 각 용매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농도에 따라 측정한 결과는 구체적으로 어떤 수치를 보였는가? 비파 잎의 각 용매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농도에 따라 측정한 결과는 Table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BHA와 BHT는 각각 52.84~59.06%와 61.53~63.58%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n-hexane 추출물의 경우 1.0 mg/ml의 농도에서, EtOAc와 MeOH 추출물은 0.3 mg/ml의 농도에서 50% 이상의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EtOAc 추출물의 경우 특히 시료 농도에 따라 DPPH의 증가 정도가 컸으며 0.7 mg/ml에서는MeOH 추출물에 비해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1.0 mg/ml의 농도에서는 n-hexane과 MeOH 추출물에비해 EtOAc 추출물이 93.15%로 매우 뛰어난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배 등[2]의 연구에서 비파 부위별 용매추출물에서 EtOAc 추출물의 DPPH 활성이 가장 높았다는 보고와 비슷하였다. MeOH 추출물은 시료 농도에 따른DPPH 활성 정도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0.3 mg/ml에서 n-hexane 추출물과 EtOAc 추출물에 비하여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비파는 민간요법으로 어디에 효능이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는가? 중국, 일본, 인도, 스페인 등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제주도, 경남 및 전남지방 등 온화한 기후조건에서 주로 자생하는 자원식물로 관상용 또는 약용을 목적으로 재배되고 있다. 비파는 예로부터 민간요법으로 청폐, 진해, 건위, 거담, 이뇨, 패혈 해소, 구토, 호흡진정, 갈증해소, 기관지염, 구역질, 딸꾹질, 부종 등에 효능이 뛰어난 것[30]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과 중국 등 외국에서의 최근 연구에 의하면 비파 종자추출물에서 활성산소종을 제거[42]하거나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19]하고, LDL 산화를 방지[28]하며, 위장염 개선효과[39] 및 알러지 피부염 억제효과[38] 등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
비파란 무엇인가? 한편, 비파(Eriobotrya japonica)는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아열대성의 상록 소교목으로 꽃은 백색으로 10~11월에 개화하고, 황백색이나 등황색의 열매는 다음해 6월에서 7월 사이에 수확하며, 중국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다. 중국, 일본, 인도, 스페인 등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제주도, 경남 및 전남지방 등 온화한 기후조건에서 주로 자생하는 자원식물로 관상용 또는 약용을 목적으로 재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Bae, Y. I. and Shim, K. H. 1998. Nutrition components in different parts of Korean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Kor. J. Postharvest Sci. Technol. 5, 57-63. 

  2. Bae, Y. I., Chung, Y. C. and Shim, K. H. 2002.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Kor. J. Food Preserv. 9, 97-101. 

  3. Bae, Y. I., Jeong, C. H. and Shim, K. H. 2005.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picatechin isolated from leaves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 J. Food Sci. Nutr. 10, 118-121. 

  4. Bae, Y. I., Jeong, C. H. and Shim, K. H. 2002. Nitrite-scavenging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various solvent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Kor. J. Food Preserv. 9, 92-96. 

  5. Bae, Y. I., Moon, J. S. and Shim, K. H. 1998.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juice processing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Kor. J. Postharvest Sci. Technol. 5, 270-274. 

  6. Bae, Y. I., Seo, K. I., Park, S. K. and Shim, K. H. 1998.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tea processing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Kor. J. Postharvest Sci. Technol. 5, 262-269. 

  7. Banno, N., Akihisa, T., Tokuda, H., Yasukawa, K., Taguchi, Y., Akazawa, H., Ukiya, M., Kimura, Y., Suzuki, T. and Nishino, H. 2005. Anti-inflammatory and antitumorpromoting effects of the triterpene acids from the leaves of Eriobotrya japonica. Biol. Pharm. Bull. 28, 1995-1999. 

  8. Bark, Y. S., Park, Y. J., Kim, H. J., Im, M. H., Lee, M. K., Kim, Y. M., Cho, J. Y. and Heo, B. G. 2008. Physioligic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the different plant parts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Kor. J. Hort. Sci. Technol. 26, 75-80. 

  9. Bondet, V., Brand-Williams, W. and Berset, C. 1997. Kinetics and mechanisms of antioxidant activity using the DPPH free radical method. Food Sci. Technol.-Leb. 30, 609-615. 

  10. Brand-Williams, W., Cuvelier, M. E. and Berset, C. 1995.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ebensm.-Wiss. u.-Technol. 28, 25-30. 

  11. Branen, A. L.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52, 59-63. 

  12. Calliste, C. A., Trouilla, P., Allais, D. P., Simon, A. and Duroux, J. L. 2001.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measured by electron spin resonance spectroscopy and B16 cell antiproliferative behaviors of seven plants. J. Agric. Food Chem. 49, 3321-3327. 

  13. Chen, J., Li, W. L., Wu, J. L., Ren, B. R. and Zhang, H. Q. 2008. Hypoglycemic effects of a sesquiterpene glycoside isolated from leaves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 Phytomedicine 15, 98-102. 

  14. Cho, Y. S., Park, S. K. and Lee, H. Y. 1991. Composition of free sugars, organic acids and free amino acid in loquat flesh. Kor. J. Soc. Food Nutr. 20, 89-93. 

  15. Chung, H. S. 2001. Isolation of new bioactive phytochemicals from natural products. Food Ind. Nutr. 6, 53-59. 

  16. Eom, H. J., Kim, S. M., Pyo, B. S. and Lee, K. I. 2009. Changes of physiological activity by drying temperature in leaf of Eriobotrya japonica. Kor. J. Pharmacogn. 40, 178-183. 

  17. Folin, O. and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18. Go, J. K. and Park, S. I. 2005. Preparation of stirred yoghurt from milk added with Korean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ey). Kor. J. Food Nutr. 18, 200-206. 

  19. Hamada, A., Yoshioka, S., Takuma, D., Yokota, J., Cui, T., Kusunose, M., Miyamura, M., Kuotani, S. and Nishioka, Y. 2004. The effect of Eriobotrya japonica seed extract on oxidative stress in adriamycin-induced nephropathy in rats. Biol. Pharm. Bull. 27, 1961-1964. 

  20. Huang, Y., Li, J., Meng, X. M., Jiang, G. L., Li, H., Cao, Q., Yu, S. C., Lv, X. W. and Cheng, W. M. 2009. Effect of triterpene acids of 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 leaf and MAPK signal transduction pathway on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in alveolar macrophage of chronic bronchitis rats. Am. J. Chin. Med. 37, 1099-1111. 

  21. Jeong, Y. S., Jung, H. K., Youn, K. S., Kim, M. O. and Hong, J. H. 2009.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hot water extract from Eriobotrya japonica Lindl. Kor. Soc. Food Sci. Nutr. 38, 977-982. 

  22. Jung, H. A., Park, J. C., Chung, H. Y., Kim, J. and Choi, J. S. 1999. Antioxidant flavonoids and chlorogenic acid from the leaves of Eriobotrya japonica. Arch. Pharm. Res. 22, 213-218. 

  23. Kim, E., Kim, M. S., Rhyu, D. Y., Min, O. J., Baek, H. Y., Kim, Y. J. and Kim, H. A. 2009. Hypoglycemic effect of Eriobotrya japonica (E. japonica) in db/db mice. Kor. J. Food Nutr. 22, 159-165. 

  24. Kim, H. J., Jo, C. H., Kim, T. H., Kim, D. S., Park, M. Y. and Byun, M. W. 2006. Biological evaluation of the methanolic extract of Eriobotrya japonica and its irradiation effect. Kor. J. Food. Sci. Technol. 38, 684-690. 

  25. Kim, M. S., You, M. K., Rhyu, D. Y., Kim, Y. J., Baek, H. Y. and Kim, H. A. 2009. Loquat (Eriobotrya japonica) extracts suppress the adhesion, migration and invasion of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Nutr. Res. Practice 3, 259-264. 

  26. Kim, S. H. and Shin, T. Y. 2009. Anti-inflammatory effect of leaves of Eriobotrya japonica correlating with attenuation of p38 MAPK, ERK, and NF- ${\kappa}B$ activation in mast cells. J. Toxicol. in Vitro 23, 1215-1219. 

  27. Kim, T. H., Shin, S. R., Kim, T. W., Lee, I. C., Park, M. Y. and Jo, C. 2009. A tyrosinase inhibitor isolated from the seeds of Eriobotrya japonica. Kor. J. Food Preserv. 16, 435-441. 

  28. Koba, K., Matsuoka, A., Osada, K. and Huang, Y. S. 2007. Effect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 extracts on LDL oxidation. J. Food Chem. 104, 308-316. 

  29. Lee, B. Y., Park, E. M., Kim, E. J., Choi, H. D., Kim, I. H. and Hwang, J. B. 1996. Analysis of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fruit. Kor. J. Food Sci. Technol. 28, 428-432. 

  30. Lee, C. B. 1982. Korean pictorial book of plants. pp. 684-687. Hyangmoonsa. Seoul. 

  31. Lee, K. I. and Kim, S. M. 2009.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extracts. Kor. J. Soc. Food Sci. Nutr. 38, 267-273. 

  32. Lee, Y. S. 2008. Analysis of components in the different part of Ailanthus altissima. Kor. J. Food Preserv. 15, 261-268. 

  33. Marklund, S. and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superoxide o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l. Chem. 47, 468-474. 

  34. Min, O. J., Oh, J., Kim, H. A., Kim, M. S., Baek, H. Y., Kim, Y. J. and Rhyu, D. Y. 2010. Effect of Eriobotrya japonica leaf and seed extracts on adipogenesis. Kor. J. Pharmacogn. 41, 270-274. 

  35. Nozato, N., Matsumoto, K. and Uemitsu, N. 1994. Triterpenes from leaves of Eriobotrya japonica. J. Nat. Med. 48, 336. 

  36. Ruomei, G., Zhuobin, Y., Zhiqiang, Z. and Xiurui, G. 1998. Mechanism of pyrogallol autoxidation and determination of superoxide dismutase enzyme activity. J. Bioelectrochem. Bioenergetics 45, 41-45. 

  37. Shimizu, M., Uemitsu, N., Shirota, M., Matsumato, K. and Tezuka, Y. 1996. A new triterpene ester from Eriobotrya japonica. J. Chem. Pharm. Bull. 44, 2191-2182. 

  38. Sun, G., Zhang, Y., Takuma, D., Onogawa, M., Yokota, J., Hamada, A., Yoshioka, S., Kusunose, M., Miyamura, M., Kyotani, S. and Nishioka, Y. 2007. Effect of orally administered Eriobotrya japonica seed extract on allergic contact dermatitis in rats. J. Pharm. Pharmacol. 59, 1405-1412. 

  39. Takuma, D., Guangchen, S., Yokota, J., Hamada, A., Onogawa, M., Yoshioka, S., Kusunose, M., Miyamura, M., Kyotani, S. and Nishioka, Y. 2008. Effect of Eriobotrya japonica seed extract on 5-fluorouracil-induced mucositis in hamsters. J. Biol. Pharm. Bull. 31, 250-254. 

  40. Valko, M., Leibfritz, D., Moncol, J., Cronin, M. T. D., Mazur, M. and Telser, J. 2007. Free radical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 and human disease. J. Biochem. Cell Biol. 39, 44-84. 

  41. Whang, T. E., Lim, H. O. and Lee, J. W. 1996. Anticancer effect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by specificity test with several cancer cell lines. Kor. J. Medicinal Crop Sci. 4, 314-320. 

  42. Yokota, J., Takuma, D., Hamada, A., Onogawa, M., Yoshioka, S., Kusunose, M., Miyamura, M., Kyotani, S. and Nishioka, Y. 2006. Scavenging of reactive oxygen species by Eriobotrya japonica seed extract. J. Biol. Pharm. Bull. 29, 467-471. 

  43. Zong, W. and Zhao, G. 2007. Corosolic acid isolation from the leaves of Eriobotrta japonica showing the effects on carbohydrate metabolism and differentiation of 3T3-L1 adipocytes. Asia Pac. J. Clin. Nutr. 16, 346-3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