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기능성식품 기능성원료로서 양파껍질추출물의 품질특성
Potential of Onion Peel Extract as a Functional Ingredient for Functional Food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2 no.9 = no.149, 2012년, pp.1207 - 1213  

전선영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백정화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은정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차용준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양파가공부산물인 양파껍질을 이용하여 기능성 식품소재로 개발하고자 양파껍질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양파껍질추출물에 대한 생리적 기능성과 같은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양파껍질추출물에서는 K가 13,767.56~15,506.78 ppm으로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였고 Na이 8,602.44~9,796.00 ppm, Ca은 4,255.78~4,903.33 ppm으로 세 번째로 많은 함량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Mg, P, Fe은 각각 1,433.11~1,561.22 ppm, 1,212.44~1,428.89 ppm, 760.67~858.89 ppm의 함량을 차지하였고 Zn은 34.11~66.89 ppm으로 미량 검출되었다. Total phenol 함량은 598.57~626.73 mg/g, total flavonoid 함량은 211.73~238.52 mg/g 범위로 quercetin 함량은 93.67~107.29 mg/g의 범위로 나타났다. 양파껍질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100 ppm에서 16.45~17.92%, 200 ppm은 29.96~35.41%, 1,000 ppm은 81.05~84.60%의 소거활성을 보였고, SOD 유사활성은 10,000 ppm에서 31.92~39.29%, 20,000 ppm에서 85.85~91.58%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혈전용해능은 20,000 ppm 농도에서는 plasmin에 비해 약 3배 높은 활성을 가졌다. 따라서 양파껍질 추출물은 항산화력 및 항혈전효과능을 가진 기능성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ion peels is a natural source of high-value functional ingredients produced in the onion industry without suitable process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haracteristics of onion peel extract (OPE), including its biological activities, obtained from solvent extraction in 3 times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자들은 양파가공부산물의 유효활용을 위한 일련의 연구로 flavonoid 물질 최적추출조건에 대해 보고하였으며[19],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최적조건에서 얻어진 양파껍질추출물의 품질특성 및 생리활성효과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파껍질추출물에서 어떤 물질이 SOD 유사 활성에 영향을 줬나요? 8, 64.4%로 본 연구의 양파껍질추출물이 보다 높은 SOD 유사활성을 보였는데, 이는 superoxide anion radical을 소거시킬 수 있는 flavonoids, polyphenols, tannin, carotene, α-tocopherol, ascorbic acid 등이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5]. 따라서 양파껍질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지닐 것이라 추정된다.
양파 내 존재하는 물질 중 quercetin 구조와 효능은? )는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초로서 quercetin, quercitrin, rutin 등의 flavonoid물질이 풍부한 대표적인 식품이다[4,32]. 특히 quercetin은 양파의 주된 flavonoid 성분으로 벤젠환의 탄소에 -OH기와 탄소의 2와 3사이의 이중결합, 4의 탄소위치에 carbonyl기, 그리고 A고리와 B고리에 결합되어 있는 -OH기에 의해서 항산화 활성을 갖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활성산소의 산화활동을 억제하거나 제거하는 능력이 매우 강하며[6,33], collagen에 의해 촉진되는 혈소판의 활성을 억제시켜 혈행 개선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양파의 가식부분에는 0.
양파가공부산물인 껍질의 유용 성분 추출 연구가 유용할 것으로 판단한 이유는? 그러나 단체급식의 위생화, 소비자의 신선식품선호 등의 추세로 대부분 껍질이나 뿌리를 절단한 깐양파와 같은 1차 가공형태로 유통되어지며 가공 후 발생하는 껍질과 뿌리는 부산물로서 사료로 이용하거나 일부는 폐기되고 있다. 이에 양파 가공부산물인 양파껍질로부터 유효성분인 flavonoid 물질을 추출·활용한다면 양파의 폐기율 감소와 더불어 생리활성물질을 가지는 고부가가치의 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개발이 예측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pp, 69-74,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2. Ariyama, K., Nishida, T., Noda, T., Kadokura, M. and Yasui, A. 2006. Effects of fertilization, crop year, variety and provenance factors on mineral concentration in onions. J. Agric. Food Chem. 54, 3341-3350. 

  3. Astrup, T. and Mullertz, S.1952. The fibrin plate method for estimating fibrinolytic activity. Arch. Biochem. Biophys. 40, 346-351. 

  4. Augusti, K. T. 1996. Therapeutic values onions (Allium cepa L.) and garlic (Allium sativum L). Indian J. Exp. Biol. 34, 634-640. 

  5. Bang, H. A. and Cho, J. S. 1998. Antioxidant effects on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onion peel and onion flesh. J. Korea Nutr. Soc. 4, 14-19. 

  6. Basra, A. S., Singh, B. and Malik, C. P. 1994. Amelioration of the effects of ageing in onion seeds by osmotic priming and associated changes in oxidative metabolism. Biologia. Plantarum 36, 365-371. 

  7. Bilyk, A. D., Cooper, P. L. and Sapers, G. M. 1984. Varietal differences in distribution of quercetin and kaempferol in onion (Allium cepa L.) tissue. J. Agric. Food Chem. 32, 274-276. 

  8.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9. Cha, Y. J., Jeong, E. J., Jeon, S. Y. and Baek, J. H. 2011. Method for preparation of onion process residuum extract having antioxidant and fibrinolysis. Korean Patent. 10-1101189. 

  10. Chen, J. H. and Ho, C. T. 1997. Antioxidant activities of caffeic acid and its related hydroxycinnamic acid compounds. J. Agric. Food Chem. 45, 2374-2378. 

  11. Dewanto, V., Wu, X., Adom, K. K. and Liu, R. H. 2002. Thermal processing enhances the nutritional value of tomatoes by increasing total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3010-3014. 

  12. Herrmann, K. 1976. Flavonols and flavones in food plants, A review. J. Food Tech. 11, 433-448. 

  13. Hubbard, G. P., Stevens, J. M., Cicmil, M., Sage, T., Jordan, P. A., Williams, C. M., Lovegrove, J. A. and Gibbins, J. M. 2003. Quercetin inhibits collagen-stimulated platelet activation through inhibition of multiple components of the glycoprotein VI signaling pathway. J. Thromb. Haemost. 1, 1079-1088. 

  14. Hubbard, G. P., Wolffram, S., de Vos, R., Bovy, A., Gibbins, J. M. and Lovegrove, J. A. 2006. Ingestion of onion soup high in quercetin inhibits platelet aggregation and essential components of the collagen-stimulated platelet activation pathway in man: a pilot study. Br. J. Nutr. 96, 482-488. 

  15. Hubbard, G. P., Wolffram, S., Lovegrove, J. A. and Gibbins, J. M. 2003. The role of polyphenolic compounds in the diet as inhibitors of platelet function. Proc. Nutr. Soc. 62, 468-478. 

  16. Iqbal, S., Bhanger, M. I. and Anwar, F. 2005. Antioxidant properties and components of some commercially available varieties of rice bran in Pakistan. Food Chem. 93, 265-272. 

  17. Jang, E. K., Seo, J. H. and Lee, S. P. 2008.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aged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443-448. 

  18. Jang, H. S. 2009. Quality stability of concentrated onion extracts having biological activity during storage. MS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Korea. 

  19. Jeon, S. Y., Baek, J. H., Jeong, E. J. and Cha, Y. J. 2012.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of flavonoids from onion peels vi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Soc. Food Nutr. 41, 695-699. 

  20. Jeon, S. Y., Jeong, E. J., Baek, J. H. and Cha, Y. J. 2011. Analytical method validation of quercetin in changnyeong onion extract as a functional ingredient for functional health fo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565-569. 

  21. Jeong, C. H., Kim, J. H. and Shim, K. H. 2006. Chemical components of yellow and red on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708-712. 

  22. Jeong, I. Y. 2005. Antioxidant activity and radioprotection of two flavonoids from propol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62-166. 

  23. KFDA. 2008. Health functional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pp. III.3.6.3-1-2, Seoul, Korea. 

  24. KFDA. 2009. Korea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pp. 386-387, Seoul, Korea. 

  25. KFDA. 2009. Korea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pp. 676-683, Seoul, Korea. 

  26. KFDA. 2011. Bulletin 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No. 2011-34. pp. 9-11. 

  27. Kim, S. J. and Kim, G. H. 2006. Quantification of quercetin in different parts of onion and its DPPH radical scavenging and antibacterial activity. Food Sci. Biotechnol. 15, 39-43. 

  28. Kim, S. K. and Kim, M. K. 2004. Effect of dried powders or ethanol extracts of onion flesh and peel on lipid metabolism, antioxidative and antithrombogenic capacities in 16-month-old rats. Korean J. Nutr. 37, 623-632. 

  29. Leighton, T., Ginther, C., Fluss, L., Harter, W. K., Cansado, J. and Notario, V. 1992.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quercetin and quercetin glycosides in Allium vegetables. Phenolic Compounds in Food and Their Effects on Health II, pp. 220. ACS, Washington, D.C. 

  30. Marklund, S. and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31. Park, P. S. and Lee, M. Y. 1992. The Effects of Onion and Garlic on Copper- Phenanthroline Complex Induced DNA Degradation. J. Korean Soc. Food Nutr. 21, 367-371. 

  32. Park, Y. K. 1995. Source and processing technology of vegetable juice and the trend of study. Bull. Food Techonol. 8, 59-68. 

  33. Rice-Evans, C. A., Miller, N. J., Bolwell, P. G., Bremley, P. M. and Pridham, J. B. 1995. The relative antioxidant activities of plant-derived polyphenolic flavonoids. Free Radic. Res. 22, 375-383. 

  34. Singleton, V. L., Orthofer, R. and Lamuela-Raventos. R. M. 1999.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 -ciocalteu reagent. Methods Enzymol. 299, 152-178. 

  35. Shin, J. H., Lee, J. Y., Ju, J. C., Lee, S. J., Cho, H. S. and Sung, N. J. 2005. Chemical properties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Citron (Citrus juno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496-502. 

  36. Vanderhoek, J. Y., Makheja, A. N. and Bailey, J. M. 1980. Inhibition of fatty acid oxygenases by onion and garlic oils. Evidence for the mechanism by which these oils inhibit platelet aggregation. Biochem. Pharmacol. 29, 3169-31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