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lavobacterium hercynium EPB-C313 균주를 이용한 배추 뿌리혹병 생물적 방제
Biocontrol Efficacy of Endophytic Bacteria Flavobacterium hercynim EPB-C313 for Control of Chinese Cabbage Clubroot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18 no.3, 2012년, pp.210 - 216  

함수상 (충남농업기술원) ,  김종태 (충남농업기술원) ,  한광섭 (충남농업기술원) ,  김병련 (충남농업기술원) ,  김홍규 (충남농업기술원) ,  남윤규 (충남농업기술원) ,  유승헌 (충남대학교 응용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Plasmodiophora brassicae에 의한 배추 뿌리혹병은 배추뿐만 아니라 순무, 양배추에 발병하여 큰 피해를 주는 병원균이다. 배추 뿌리혹병균에 길항효과가 있는 미생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배추 조직에서 분리한 Flavobacterium hercynium EPB-C313 균주의 항균활성 검정을 하였고, 포장시험을 통하여 배추 뿌리혹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F. hercynium EPB-C313의 균체, 배양액, 배양여액를 배추 뿌리혹병 휴면포자와 혼합 처리하여 24시간 후 조사하였을 때 각각 90.4%, 36.8% 및 26.0%의 휴면포자가 불활성화 되었다. 온실 포트검정에서는 배추의 어린묘를 F. hercynium EPB-C313 배양액에 침지한 후 정식하면 뿌리혹 형성 억제율이 100%로 대조약제 fluazinam액상수 화제의 91.7%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배추 뿌리혹병이 50% 이상 발병되었던 재배포장에 F. hercynium EPB-C313 혼합펠렛을 토양혼화 하고, F. hercynium EPBC313 배양액의 유묘관주 및 정식 10일 후 1회 토양관주하면 63.7%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F. hercynium EPB-C313 균주는 매우 유용한 배추 뿌리혹병 생물적 방제제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ubroot of Chinese cabbage by Plasmodiophora brassicae, was found to be high virulent to the Chinese cabbage, turnips and cabbage. It this study, the endophytic bacteria Flavobacterium hercynium EPB-C313, which was isolated from tissues of Chinese cabbage, was investigated the antimicrobial activ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배추 뿌리혹병의 생물학적 방제에 실질적 효과가 있고 식물체 조직내에 정착과 증식이 용이한 신규 길항 내생세균을 분리하였고 배추 생육단계별 여러 가지 처리방법에 따른 배추뿌리혹병 발생을 실험하여 효과적인 방제법을 확립하는 등 농가 현장에서의 방제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 한편 여름재배에서 배추 뿌리혹병이 심하게 발생한 충남 청양군 화성면 농가 노지포장(10a)에는 길항미생물 펠렛입제를 정식전 토양에 혼화처리하고 본포 정식 5일전유묘에 관주 후, 정식 10일 뒤에 1회 관주와 같이 순차 적으로 처리하여 배추 뿌리혹병 방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품종은 감수성 ‘노랑’과 저항성 ‘불암’을 이용하였으며 재배방법은 위와 같고 이병주율을 조사하여 방제가를 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배추 뿌리혹병이란? 배추 뿌리혹병(Clubroot)은 전 세계적으로 배추(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양배추(B. oleracea var. capitata), 순무(B. rapa var. rapifera) 등의 십자화과 작물에 발생하는 토양 전염성 병해로 방제가 까다롭다. 배추가 뿌리혹 병에 감염되면 뿌리는 비대 생장하여 혹을 만들며 썩음으로써 양분이동이 어려워 지상부 생장은 억제되며 결국 지상부는 시들고 결구하지 않아 상품성을 잃게 된다(Arie 등, 1988; Kim 등, 2000c).
배추 뿌리혹병의 방제를 위해 연구되고 있는 생물학적 방제법은? 배추 뿌리혹병의 방제는 전염원을 차단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이미 발생한 포장에서 방제하는 방법으로는 병든 뿌리 제거, 토양 산도 교정, 윤작, 저항성 품종 재배 등의 경종적 방법과 Heteroconium chaetospira를 이용한 생물적 방법, 살균제를 이용한 화학적 방법, 태양열을 이용한 토양의 열처리와 같은 물리적인 방법을 제시 하고 있다(Oh 등, 1997; Tanaka, 1996). 생물학적 방제로는 특히 작물 생육환경 조건이 악화된 상태에서 식물체 내에서 증식이 유리한 식물 내생세균(Endophytic bacterium) 을 이용한 생물적 방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식물 내생세균은 옥수수, 수수, 사탕수수, 목초, 각종 약용작물의 건전식물체에서의 분리가 보고된 바 있으며(James와 Olivares, 1998), 주로 도관 조직 또는 피층조직 등에 집락되어 있으나 병은 일으키지 않으며 벼에서는 내생세균의 수가 건조중량 g당 105−108 으로 존재한다는 것이 확인된 바 있다(Barraquio 등, 1997).
배추가 뿌리혹 병에 감염되면 상품성을 잃어버리는 이유는? rapifera) 등의 십자화과 작물에 발생하는 토양 전염성 병해로 방제가 까다롭다. 배추가 뿌리혹 병에 감염되면 뿌리는 비대 생장하여 혹을 만들며 썩음으로써 양분이동이 어려워 지상부 생장은 억제되며 결국 지상부는 시들고 결구하지 않아 상품성을 잃게 된다(Arie 등, 1988; Kim 등, 2000c). 뿌리혹병균인 Plasmodiophora brassicae는 원생동물계(Protozoa) 뿌리혹균문(Plasmodi- ophoromycota)에 속하는 절대기생균으로 휴면포자는 토양 내에서 장기간 생존하여 전염원이 되는데 조건이 맞으면 10년 동안 토양 속에서 살 수 있다고 한다(Arie 등 1988; Kim 등, 2000a, b,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rie, T., Kobayashi, Y., Okada, G., Kono, Y. and Yamaguchi, I. 1988. Control of soilborne clubroot disease of cruciferous plant by epoxydon from Phoma glomerata. Plant Pathol. 47: 743-748. 

  2. Barraquio, W. L., Revilla, L. and Ladha, J. K. 1997. Isolation of endophytic diazotrophic bacteria from well and rice. Plant Soil. 194: 15-24. 

  3. Chang, S. W., Hong, S. S., Kim, S. K., Kim, H. D. and Yi, E. S. 2000. Improvement of control effect by change of chemical application method on clubroot disease of Chinese cabbage caused by Plasmodiophora brassicae in field. Res. Plant Dis. 6: 39-42. (In Korean) 

  4. Dymock, D., Weightman, A. J., Scully, C. and Wade, W. G. 1996. Molecular analysis of micoflora associated with dentoalveolara abscesses. J. Clin. Microbiol. 34: 537-542. 

  5. IFOAM. 2010. The World of Organic Agriculture : Statistics and Emerging Trends. (In Korean) 

  6. James, E. K. and Olivares, F. L. 1998. Infection and colonization of sugar cane and other graminaceous plants by endophytic diazotrophs. Criti. Rev. Plant Sci. 17: 77-119. 

  7. Kim, C. H., Cho, W. D. and Kim, H. M. 2000a. Yield loss of spring Chinese cabbage as affected by infection time of clubroot disease in fields. Res. Plant Dis. Res. 6: 23?26. (In Korean) 

  8. Kim, C. H., Cho, W. D. and Kim, H. M. 2000b. Som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germination and survival of resting spores of Plasmodiophora brassicae. Korean J. Pesti. Sci. 4: 66-71. (In Korean) 

  9. Kim, C. H., Cho, W. D. and Kim, H. M. 2000c. Distribution of Plasmodiophora brassicae.causing clubroot disease of Chinese cabbage in soil. Res. Plant Dis. 6: 27-32. (In Korean) 

  10. Kim, C. H., Cho, W. D. and Lee, S. B. 2003. Review of researches on clubroot disease of Chinese cabbage in Korea and future tasks for its management. Res. Plant Dis. 9: 57-63. (In Korean) 

  11. Kim, C. H., Cho, W. D. and Yang, J. M. 1999. Effects of plant age, inoculum concentration, and inoculation method on root gall development of clubroot disease of Chinese cabbage caused by Plasmodiophora brassicae. Plant Dis. Agric. 5: 90-94. (In Korean) 

  12. Narisawa, K., Ohki, K. T. and Hashiba, T. 2000. Suppression of clubroot and Verticillium yellows in Chinese cabbage in the field by root endophytic fungus, Heteroconium chaetospira. Plant Pathol. 49: 141-146. 

  13. Narisawa, K., Tokumasu, S. and Hashiba, T. 1998. Suppression of clubroot formation in Chinese cabbage by the root endophytic fungus, Heteroconium chaetospira. Plant Pathol. 47: 206-210. 

  14. Oh, J. H., Cho, J. H., Kim, B. G., Chae, J. C., Chung, G. U., Hwang, C. H. and Kim, D. W. 1997. Environmental factors favoring the disease development and chemical control of clubroot (Plasmodiophora brassicae) in Chinese cabbage. Korean J. Plant Pathol. 13: 244?247. (In Korean) 

  15. Takahashi, K. and Yamaguchi, T. 1987. An improved method for estimating the number of resting spores of Plasmodiophora brassicae in soil. Ann. Phytopathol. Soc. Japan 53: 507-515. 

  16. Tanaka, S. 1996. Recent progress in studies on clubroot disease of crucifers. Shokubutsu Bokei (Plant Protection) 50: 281-284. 

  17. Zhang, X. Z., Lee, S. U., Kim, J. S., Yoon, Choi, G. S., Kim, H. K. and Kim, B. S. 2005. Control efficacy of flusulfamide GR on Chinese cabbage clubroot caused by Plasmodiophora brassicae. Res. Plant Dis. 11: 43-4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