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애멸구 대량 비래후 살충제 처리와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Rice stripe virus) 발생 관계 조사
Evaluation of Pesticide Treatment for Control of Rice stripe virus after Mass Migration of Small Brown Planthoppers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18 no.3, 2012년, pp.245 - 249  

정태우 (충남 태안군농업기술센터) ,  김병련 (충남농업기술원 농업환경연구과) ,  한광섭 (충남농업기술원 농업환경연구과) ,  강동우 (충남대학교 응용생물학과) ,  정임영 (충남 태안군농업기술센터) ,  임현섭 (충남대학교 응용생물학과) ,  김정수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애멸구는 벼 생산에 있어서 흡즙에 의한 피해를 일으킬 뿐 아니라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를 매개하는 매우 중요한 해충이다. 벼줄무늬잎마름병의 발생은 애멸구 발생과 매우 일치하므로 벼 농사에 벼줄무늬잎마름병 예방에 애멸구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2011년 6월 충남 태안읍 근흥면 고남면 일대에 설치된 공중포충만을 이용하여 애멸구의 이동 및 바이러스 보독률을 조사하였으며, 애멸구 대량비래 후, 살충제(동부한농 etofenprox(10%))의 처리 횟수, 처리 시기에 따른 벼줄무늬잎마름병의 보독률을 조사하였다. 태안군 일대에서 애멸구 대량 비래후 약 1,217마리가 포획되었으며 이중 7.7%는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 4.4%는 벼검은줄오갈바이러스의 보독률을 보였다. 대량비래 후 2차례 살충제 처리는 벼줄무늬잎마름병 보독률의 변화가 1차례 처리와 차이는 없었으나 처리 시기를 대량 비래후 5-7일 사이에 처리하였을 경우 RSV의 피해감소 효과를 무처리 대비 87.6%까지 감소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애멸구 대량 비래후 5-7일 사이에 한 번의 살충제 처리가 가장 효과적인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 방제라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mall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ice pests in Republic of Korea because it damages rice plants not only by sap-sucking but also by transmitting Rice stripe virus (RSV). Outbreaks of RSV are closely related to outbreaks of the small brown planthopp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서해안 지역에 중국으로부터 애멸구의 대량 비래 후 RSV의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애멸구 방제효과를 위한 살포시기, 살충제 종류에 따른 방제효과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긴급 방제의 효율적 수행에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2011년에 충남 태안 지역을 중심으로 애멸구의 대량 비래를 근거로 하여 노지 포장에서 수행한 최적 방제시기, 방제 약제 효과를 산출하였으며 매개충 방제에 따른 RSV 발생률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는 무엇에 속하는 바이러스인가? 국내 벼에 발생하는 바이러스는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Rice stripe virus, RSV), 벼검은줄오갈바이러스(Rice black streaked-dwarf virus, RBSDV)와 벼오갈바이러스(Rice dwarf virus, RDV) 3종이 보고되고 있다(Kim 등, 2008). RSV는 Tenuivirus에 속하는 사상형 바이러스이고, RBSDV와 RDV는 Reoviridae에 속하는 구형 바이러스이다(Toriyama, 2000). RSV와 RBSDV는 애멸구(Small Brown Planthopper, SBPH)에 의하여 영속 전염하는 바이러스이다.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에 감염된 벼는 어떻게 고사하는가? RSV와 RBSDV는 애멸구(Small Brown Planthopper, SBPH)에 의하여 영속 전염하는 바이러스이다. RSV에 감염된 벼는 유묘에서 감염 후, 일주일 또는 이주일정도 지나면 잎에 모자이크 증상이 나타나고 줄기가 이상 생장하여 황사 고사한다. 생육 중기에 감염되면 잎은 고사되지 않고 황하 모자이크 증상이 나타나는데, 때로는 고사하기도 한다.
국내 벼에 발생하는 바이러스는 무엇이 보고되었는가? 국내 벼에 발생하는 바이러스는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Rice stripe virus, RSV), 벼검은줄오갈바이러스(Rice black streaked-dwarf virus, RBSDV)와 벼오갈바이러스(Rice dwarf virus, RDV) 3종이 보고되고 있다(Kim 등, 2008). RSV는 Tenuivirus에 속하는 사상형 바이러스이고, RBSDV와 RDV는 Reoviridae에 속하는 구형 바이러스이다(Toriyama,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Choi, H. S., Lee, S. H., Kim, M. K., Kwak, H. R., Kim, J. S., Cho, J. D. and Choi, G. S. 2010. Occurrence of virus diseases on major crops in 2009. Res. Plant. Dis. 16: 1?9. (In Korean) 

  2. Chung, B. J. and Lee, S. H. 1971. Studies on the damage of Rice stripe virus disease. Res. Rept. RDA 14: 91-98. (In Korean) 

  3. Kim, C. S. 2009. Virus-insect-plant interactions at RSV outbreak regions in Korea. APEC workshop on the epidemics of migratory insect pests and associated virus disease in rice and their impact on food security in APEC member economies. pp. 59-74. 

  4. Kim, J. S., Choi, H. S., Lee, S. H., Lee, G. S., Kim, C. S., Kim, M. K., Kwag, H. R., Nam, M., Kim, J. S., Noh, T. H., Kang, M. H., Cho, J. D., Kim, J. Y., Kang, H. J., Han, J. W., Kim, B. R., Jeong, S. S., Kim, J. H., Kuo, S. J., Lee, J. H. and Kim, T. S. 2011. Severe outbreak of Rice stripe virus disease and its occurring factors. Korean J. Pestic. Sci. 15: 545-572. (In Korean) 

  5. Kim, C.-H. 2002. Review of disease incidence of major crops in 2001. Res. Plant Dis. 8: 1-10. (In Korean) 

  6. Kim, J. S., Lee, S. H., Choi, H. S., Choi, G. S., Cho, J. D. and Chung, B. N. 2008. Survey of viral diseases occurrence on Major crops in 2007. Res. Plant Dis. 14: 1?9. (In Korean) 

  7. Kim, J. S., Lee, S. H., Choi, H. S., Choi, G. S., Cho, J. D., Noh, T. H. and Kim, J. Y. 2009. Convenient genetic diagnosis of virion captured (VC)/RT-PCR for rice viruses (RSV, RBSDV) and small brown plant hopper. Res. Plant Dis. 15: 57?62. (In Korean) 

  8. Kim, K. H., Park, H. M., Lee, S. G., Park, H. H., Park, C. K. and Eum, K. B. 2008. Occurrence forecasting of overwintered small brown plant hopper using effective accumulated temperature. Korean J. Appl. Entomol. (Autumn abstract p. 135). 

  9. Toriyama, S. 2000. Rice stripe virus. CMI/AAB Description of plant viruses. No.37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