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의 성지식, 성태도 및 성교육 요구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s, and Need for Sex Education in High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8 no.3, 2012년, pp.159 - 169  

양야기 (호남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knowledge, attitudes and needs of sex education in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There were 258 participants who were high school students in S high school in G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 to October 31, 2011, and a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상자의 성지식과 성태도 및 성교육 요구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성지식, 성태도 및 성교육 요구도에 대해 조사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고등학생의 성지식은 높은 편이었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 과거 성교육 만족도, 음란물 경험 빈도, 이성교제 경험, 성관계 경험은 성태도와 유의한 차이가 있 었다.
  • 청소년들이 자신이 겪고 있는 성 관련 문제에 대해 올바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지도해주고 청소년들이 살고 있는 사회의 성문화 정화에 모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일개 고등학교 학생들의 성지식, 성태도 및 성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고 이 변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고등학생의 욕구에 적합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결과에 따른 주요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일개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성지식, 성태도 및 성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일개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성에 대한 태도를 성에 대한 지식과 교육요구도와 관련하여 파악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성지식, 성태도의 수준과 성교육 요구도를 조사하여, 고등학생의 욕구에 적합한 맞춤형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인지 ‧ 정서 ‧ 행동(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REBT)이론에 의하면, 인지는 정서와 행동에 영향을 주며, 정서는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주는데, 그 가운데 인지가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본다. 이에 따라 인간의 행동 변화는 인지적 변화나 재구조화에서 비롯된다고 가정한다(Park, 2007). 이러한 점들은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성 관련 문제행동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의 조절 및 통제가 가능한 개인적 ‧ 심리적 요인을 중심으로 접근해야 함을 말해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간에게 있어서 성은 어떤 요소인가? 인간에게 있어서 성은 생육과 번성을 위한 중요한 요소로 특히 청소년기는 성적 발달에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Kho & Suk, 2011). 청소년기는 심리적, 사회적, 신체적으로 성숙되고 통합되어 건강한 사회인으로서의 성인이 되기 위한 인격 완성의 준비 시기이며, 자신들의 성역할이나 성태도, 성행동을 형성하는 시기로(Cha & Wang, 2006), 바람직하지 못한 성정보에 노출될 경우 다른 연령층에 비해 더 큰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성교육이란? 성교육이란 청소년들에게 성장 ‧ 발달에 맞는 성지식과 성에 대한 건전한 태도 및 가치관을 심어줌으로써 성적 욕구를 승화시켜 자신의 문제 해결 능력을 신장시키고, 건전한 사회인으로 성장하여 행복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육이라 할 수 있다(Lee, 2006). 가정, 사회, 학교의 공동적인 노력을 통해 이루어져야 하나 성에 대한 공개적인 논란을 금기시하는 사회 풍토로 인하여 가정이나 사회에서의 성교육은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Jeon & Lee, 2007).
고등학생들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학교 현장에서 성에 대해 왜곡된 지식을 갖지 않도록 올바른 성교육을 시행할 필요성이 있는 이유는? 가정, 사회, 학교의 공동적인 노력을 통해 이루어져야 하나 성에 대한 공개적인 논란을 금기시하는 사회 풍토로 인하여 가정이나 사회에서의 성교육은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Jeon & Lee, 2007). 가정에서 성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99명 중 5명으로 5.1%에 불과 (Choi, 2003)하여, 가정 내에서는 성을 금기시하고 폐쇄적이며 부정적인 의미로 덮어두는 경향이 있었는데, 청소년들 또한 성문제를 가정에서 논의하려고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고등학생들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학교 현장에서 성에 대해 왜곡된 지식을 갖지 않도록 올바른 성교육을 시행할 필요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a, N. H., & Wang, M. J. (2006). Actual state of recognition and experience of love, sex knowledge and self-esteem in girl'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2, 249-256. 

  2. Cho, M. O., & Kim, J. I. (2004). Relationship among sexual consciousness, reproductive health knowledge and sexual experience in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0, 59-65. 

  3. Cho, Y. S., Chae, J. S., Baek, E. J., & Lim, H. H. (2004). A theoretic study o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for problem-based learning (PBL)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16, 1-28. 

  4. Choi, H. S., Kang, S. J., & Yeau, S. H. (2004). Content analysis of sex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survey on middle school students' knowledge levels and demands of sex education.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32, 236-246. 

  5. Choi, M. S., & Ha, N. S. (2004).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 and experience in sex and sexual autonomy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0, 318-330. 

  6. Choi, S. H. (2003). The collapsed sex culture: How will you build again. Creativity Development Research, 6, 205-222. 

  7.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 175-191. 

  8. Jeon, Y. J., & Lee, H. S. (2007). The effect of sex education program on high school girl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sex.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6, 1251-1268. http://dx.doi.org/10.5934/KJHE.2007.16.6.1251 

  9. Kang, H. Y. (200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 knowledge, attitudes, behaviors and variables forecasting sexual intercourse of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onghoe University. Seoul. 

  10. Kelly, P. J., Morgan-Kidd, J., Champion, J. D., & Wood, R. (2003). Sexuality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of young women in the juvenile justice system. Pediatric Nursing, 29, 271-275. 

  11. Kho, M. S., & Suk, J. W. (2011). Differences in sexual knowledge, attitudes and perspectives of sexual value of female students as related to sexu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7, 153-160, http://dx. doi.org/10.4094/jkachn.2011.17.3.153. 

  12. Kim, H. S., & Moon, J. S. (2005). Demand of sex education on the high school student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1, 174-183. 

  13. Kim, H. W. (2003). The relationships among sexual knowledge, attitudes, behaviors of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5, 309-328. 

  14. Kim, J. H., & Kim, K. S. (2008).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s on their sexual behavior.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3, 123-138. 

  15. Kim, S. J., & Yang, S. O. (2004).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0, 350-360. 

  16. Lee, I. S., Choi, G. Y., Cha, S. H., Park, H. Y., & Lee, J. J. (2010). A survey on the sexual behavior of adolescents in South Korea: The third survey in 2007.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53, 512-519. 

  17. Lee, Y. R. (2006).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xual education program in high school. Journal of Future Education, 13, 191-265. 

  18. Miller, C. F., Trautner, H. M., & Ruble, D. N. (2006). The role of gender stereotypes in children's preferences and behavior. Child psychology: A handbook of contemporary. London: Taylor & Fransis Group. 

  19. Min, H. Y., Lee, Y. M., & Kim, K. H. (2006).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exual knowledge and their sexual values and interest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4, 171-179. 

  20.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6). Sexual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Retrieved July 17, 2012, from http://cutis.mest.go.kr/NTC/view.jsp?gCdS02&siteCmsCdCM0001&topCmsCdCM0003&cmsCdCM0014&pnum1&cnum0&src&srcTemp&pageSize10&cpage6&no16 

  21. Mo, H. S., Oh, H. E., & Cho, E. A. (200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behaviors,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s, and sexual experience in male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2 , 210-220. 

  22. Moon, S. H. (2010). A suggestion to educate students in the value system of pure love during the sexuality education of the schools. Korean Journal of Religious Education, 33, 277- 298. 

  23. Nielsen, J. L., Boelskifte, J., Falk, J., Lauszus, F. F., & Rasmussen, K. L. (2009). Sex education and knowledge of venereal disease among public school 9th graders. Ugeskr Laeger, 171, 1168-1172. 

  24. Park, K. Y. (2007). Rational emotive behavioral therapy. Seoul: Hakgisa. 

  25. Park, M. S. (2001). A comparative analysis of knowledge, attitude, and experience toward sex and needs about sex education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Gimhae. 

  26. Park, S. J. (1996). A study on dating, sex behavior, premarital permissiveness, sex knowledge, sex-role, and sexuality education of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Ulsan, Ulsan. 

  27. Sex Information and Education Council of United States (SIECUS). (2004). Guidelines for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Retrieved July 17, 2012, from http://www2.gsu.edu/-www che/Sex%20ed%20class/guidelines.pdf 

  28. Yoo, G. S., & Kang, S. H. (2010). A study on sexual knowledge according to sex and sexual intercourse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5, 101-118. 

  29. Yoon, I. K., Park, J. Y., & Lee, S. J. (2009).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sex education &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 , 127-14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