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리치료사의 근골격계 부담작업 유해요인 조사

Musculoskeletal Workload Evaluation in Physical Therapist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3 no.9, 2012년, pp.3999 - 4008  

성연범 (한국교통대학교 자연과학 대학원) ,  서형석 (한국교통대학교 자연과학 대학원) ,  이중호 (대구대학교 재활과학 대학원) ,  박영한 (한국교통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물리치료사의 직무에 따른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WMSD)s에 대한 증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통증치료군(56명), 성인 운동치료군(53명), 소아 운동치료군(22명)을 대상으로 근골격계 증상조사표와 Rapid Upper Limb Assessment(RULA)를 사용하여 근골격계 증상 및 작업의 유해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 통증치료군 69.6%, 성인 운동치료군 84.9%, 소아 운동치료군 81.8%, 평균 77.9%의 자각 증상 호소율을 보였다. RULA를 이용한 인간공학적 위험 평가에서 Final Wrist & Arm Score와 Final Score에서 성인 운동치료군이 단위 시간당 작업 부하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Action Level은 통증치료군이 평균 $3.0{\pm}0.9$, 성인 운동치료군은 $3.3{\pm}0.6$, 소아 운동치료군은 $3.2{\pm}0.8$로 성인 운동치료군에서 가장 높았다. 근골격계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키, 가사 노동, 육체적 부담정도, 과거 사고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에 따라 물리치료사의 WMSDs를 방지하기 위한 장비 및 교육시스템이 보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ymptom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WMSDs) for physical therapists who have different work duties. We analyzed the symptoms in the musculoskeletal system and the degree of work-harmfulness by the survey of the symptom in the musculoskeletal system and rapi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체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한 WMSDs의 양상을 조사하거나, 성별에 따른 WMSDs의 유병율을 조사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직무에 따른 WMSDs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물리치료사의 직무에 따른 WMSDs에 대한 증상을 파악하여 통증의 부위, 통증의 기간, 통증의 정도, 통증의 빈도, 최근 통증 유무 등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물리치료사의 WMSDs와, 그와 관련된 요소들의 특성 및 요소를 인간공학적 평가를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통증치료실, 성인 운동치료실, 소아 운동치료실에서 근무하는 물리치료사 131명의 WMSDs에 대한 증상을 파악하여 통증의 부위, 기간, 정도, 빈도, 최근 통증 유무, 대처방법을 조사하기 위해 한국산업안전공단(2003)에서 만든 근골격계 증상조사표와 인간공학 평가 지인 RULA를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18,20]. 그 결과 통증치료군 69.
  •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및 신경계 손상 환자를 치료하는 물리치료사들의 직무 수행 시 단위 작업에 해당되는 작업소요에 대해 가장 빈번하게 행해지는 자세나 작업 부하가 가장 많이 걸리는 자세를 선택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RULA의 Final Neck, Trunk & Leg Score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Final Wrist & Arm Score와 Final Score에서는 성인 운동 치료군이 단위 시간당 작업 부하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따라서 본 연구는 물리치료사의 직무에 따른 WMSDs에 대한 증상을 파악하여 통증의 부위, 통증의 기간, 통증의 정도, 통증의 빈도, 최근 통증 유무 등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물리치료사의 WMSDs와, 그와 관련된 요소들의 특성 및 요소를 인간공학적 평가를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무 관련 근골격계 질환은 무엇인가? 직무 관련 근골격계 질환(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 WMSDs)은 근로자들이 장시간 동안 부자연스러운 자세로 반복되는 단순 작업이나 불충분한 휴식, 과도한 업무량 등에 노출되면서 근골격계 및 신경 조직에 미세 손상이 누적되어 목과 어깨를 포함한 상지(upper limb), 허리, 골반, 하지(lowe limb)에 통증과 감각 이상을 호소하는 질환이다[1]. 상지의 WMSDs는 주로 목, 어깨, 팔 등 상지에 나타나는 근육 및 인대의 염좌(sprain), 건(tendon)에 발생하는 건염 및 건초염, 관절의 점액낭염, 포착성 신경병증, 연골 및 골의 손상 등을 포함하며 초기 증상은 가벼운 통증, 저림, 얼얼함 등으로 나타나지만 계속 진행되면 운동 마비나 근육이 위축되는 증상으로 진행되기도 한다[2].
국내의 물리치료사들은 어디서 근무하는가? 현재 국내의 물리치료사들은 병원, 의원, 보건소나 재활원 등의 물리치료실에서 근무한다. 물리치료사는 많은 시간을 서서 근무하며, 환자나 장비를 들어 올리고 운반하는 등의 일도 해야 하기 때문에 육체적으로 많은 부담을 가지고 있으며, 타 의료직종에 비해 작업환경도 좋은 편이 아니다.
자세 부하 평가에 사용되는 RULA 방법에 대해 설명하라 자세 부하 평가에는 RULA, OWAS(ovako working posture analysis system),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업종이나 업무 종류에 관계없이 OWAS, REBA가 RULA에 비해 저평가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1]. McAtamney와 Corlett이 개발한 RULA는 어깨, 팔목, 손목, 목 등 상지에 초점을 맞추어서 작업자세로 인한 작업부하를 쉽고 빠르게 평가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법으로 작업 자세, 동작의 빈도, 정적인 근육작업, 작업 시 요구되는 힘의 4가지 작업부하요소를 고려하여 부하점수를 산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 V. Putz, "Recognizing Cumulative Trauma Disorders. In: Cumulative Trauma Disorders: a Manual for Musculoskeletal Disease of the Upper Limbs", Taylor & Francis Inc., Bristol, pp.1-31, 1994. 

  2.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NIOSH). In Putz-anderson V. Cummulative trauma disorder: a manual for musculoskeletal disease of the upper limbs. 1988. 

  3. Department of Labor, 2007 Labour White Paper, 2008. 

  4. Department of Labor, Industrial Accident Statistics, Seoul, 2004. 

  5. S. R. Seo, D. H. Kee, "Survey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Vol.24, No.2, pp.127-132, 2005. 

  6. J. O. Koo, E. H. Jeong, J. H. Kwon, J. H. You, H. R. Kim, H. W. Kim, "He Comparison of Hospital Workers' Musculoskeletal Symptoms for the Job",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05. 

  7. C. H. Kim, S. H. Yim, M. K. Moon, K. I. Son, A. S. Jang, "A Study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t a Die-casting plant in Korea",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05. 

  8. N. L. Holder, H. A. Clark, J. M. DiBlasio, et al., "Cause, Prevalence, and Response to Occupational Musculoskeletal Injuries Reported by Physical Therapists and Physical Therapist Assistants", Phys Ther, Vol.79, No.7, pp.642-652, 1999. 

  9. M. Campo, S. Weiser, K. L. Koenig, et al.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Physical Therapists: A Prospective Cohort Study with 1-year follow-up", Phys Ther, Vol.88, No.5, pp.608-619, 2008. 

  10. B. E. Bork, T. M. Cook, J. C. Rosecrance, et al.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Physical Therapists", Phys Ther, Vol.76, No.8, pp.827-835, 1996. 

  11. W. Glover, A. McGregor, C. Sullivan et al.,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ffecting Members of the Chartered Society of Physiotherapy", Physiotherapy, Vol.91, No.3, pp.138-47, 2005. 

  12. D. J. West, D. Gardner, "Occupational Injuries of Physiotherapists in North and Central Queensland", Aust J Physiother, Vol.47, No.3, pp.179-186, 2001. 

  13. M. J. Kwon, S. M. Kim, "A Survey on the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Physical Therapist in Daegu",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ol.13, No.1, pp.151-160, 2001. 

  14. K. M. Kim, "Musculoskeletal Pain and Job Stress of Physical Therapists", Dept. of Ergonomic Therapy The Graduate School of Health and Environment Yonsei University, 2005. 

  15. C. H, Lee,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Low Back Pain in Physical Therapists", Vol.11, No.2, pp.93-115, 1990. 

  16. I. H. Lee, C. S. Kwon, "Physical therapists in Daejeon Survey on Back Pa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ol.15, No.1, pp.67-80, 1994. 

  17. T. S. Lee, I. H. Back, "The Characteristics of Work in Physical Therapist and the Effort They to Prevent Work-related Musculo-sketal Disorders", KAPT, Vol.10, No.2, pp.163-172, 2003. 

  18.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for the Prevention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Guidelines. 2003. 

  19. P. G. Dempsey, R. W. McGorry, W. S. Maynard, "A Survey of Tools and Methods used by Certified Professional Ergonomists", Appl Ergon. Vol.36, No.4, pp.489-503, 2005. 

  20. L. McAtamney, E. N. Corlett, "RULA: a Survey Method for the Investigation of Work-related Upper Limb Disorders", Ergonomics, Vol.24, No.2, pp.91-99, 1993. 

  21. D. H. Kee, K. H. Park. "Comparison of Posture Classification Schemes of OWAS, RULA and REBA", Journal of the KOSOS, Vol.20, No.2, pp.127-132, 2005. 

  22. L. Punnett,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The Epidemiologic Evidence and the Debate", J Electromyogr and Kinesiol, Vol.14, No.1, pp.13-23, 2004. 

  23. P. M. Bongers, C. R. de Winter, M. A. Kompier, et al, "Psychosocial Factors at Work and Musculoskeletal Disease", Scand J Work Environ Health, Vol.19, No.5, pp.297-312, 1993. 

  24. K. Fredriksson, "Work Environment and Neck and Shoulder Pain: The Influence of Exposure time. Results from a Population Based case-control Study", Occup Environ Med, Vol.59, No.3, pp.182-188, 2002. 

  25. H. J. Kim, W. C. Jeong, "Symptom Prevalence and Primary Intervention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Their Related Factors Among Manufacturing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17, No.2, pp.116-128, 2005. 

  26. D. H. Chae, J. H. Kim, "Risk Factors for Musculoskeletal Symptoms in Aviation Maintenance Technicians",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17, No.3, pp. 173-185, 2005. 

  27. K. H. Jung-Choi, S. Y. Lee, M. Ki, K. H. Cho, H. T. Kang, Y. J. Kwon, H. J. Kim, M. H. Kim, K. B. Min, H. S. Park, J. Y. Kim, E. H. Ha, D. M. Paek, "Multilevel Analysis of Risk Factors Related to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Caterers for Elementary School Lunch Servic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16, No.4, pp.436-449, 2004. 

  28. M. J. Jeon, J. Sakong, J. J. Lee, H. K. Lee, J. H. Chung, "Assessment of Job Related Cumulative Trauma Disorders of Dentists in Daegu Metropolitan City",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13, No.1, pp.55-63, 2001. 

  29. J. H. Yong, C. H. Yi, O. Y. Kwon, H. S. Jeo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Pain and Job Stress in Physical Therapists", PTK, Vol.17, No.1, pp.53-61, 2010. 

  30. K. Y. Kim, S. H. An, H. C. Choi, et al.,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Physical Therapist: Focused on Therapeutic Exercise",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s, Vol. 14, pp.144-154, 2004. 

  31. J. E. Cromie, V. J. Robertson, M. O. Best,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Physical Therapists: Prevalence, Severity, Risks, and Responses", Phys Ther, Vol. 80, No. 4, pp .336-351,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