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복지패널연구 자료를 기초로 주거환경과 우울감 및 자존감과의 관계 분석
An Effect of Housing Environment on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Analyzing the 4th Wave of Korea Welfare Panel Study Data in 2009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3 no.5, 2012년, pp.75 - 86  

최병숙 (전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인간생활과학연구소) ,  박정아 (전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environment and mental health with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raw data of 10,608 respondents, was gathered from the 4th wave of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in 2009. Some variables rel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설이란 무엇인가? 이는 인간의 행동이 환경과의 맥락적 관계 속에서 어느 환경에 대한 경험을 기억하게 되고, 그 경험 속에는 자신이 느낀 바를 마음 속에 내재함으로써 환경은 인간의 심리 혹은 정신세계까지도 지배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주장의 바탕에는 인간은 환경과의 관계를 통해 자신을 공간으로 표현하게 된다고 한 Marcus(2006)의 주장과 인간은 기본 욕구에서 부터 상위의 정신적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한다는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설이 바탕이 되고있다. 곧 물리적 환경이 눈에 보이는 인간의 행동에 관련되는 것 뿐 아니라 이를 지배하는 정신세계 즉, 인간의 심리상태를 형성하는데도 관련이 있다.
기존 연구에서 물리적 환경의 어떠한 요인이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인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었는가? 특히 어떠한 물리적 환경이 인간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이상 행동을 유발하는지에 관심을 기우려 왔다. 이에 물리적 환경의 소음, 열 혹은 온도, 빛, 공기 요인 그리고 고층 및 과밀의 요인이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인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어 소음의 물리적 환경은 아동의 청력, 집중력, 인지능력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Kopec, 2010), 고층의 주거환경은 인간의 신체 건강에 부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Chu, et al.
주거환경과 정신건강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실시하는 본 논문에서의 구체적인 연구 내용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본 연구는 2009년 4차 한국복지패널연구 자료1)를 이용 하여 주거환경과 정신건강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첫째, 복지패널자료에 제시된 주거환경의 상태와 정신건강(우울감 및 자존감)을 파악한다. 둘째, 선행연구를 통해 주거환경과 정신건강에 관련이 있는 거주자의 개인적 특성 중 경제적 요인의 관련성이큰 것으로 밝혀졌으므로(Ko & Lee, 2012; Choi & Moon, 2011), 주거환경 특성 및 정신건강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앞서 경제적 요인과 관계를 파악한다. 셋째, 주거환경 특성과 정신건강의 관계를 파악한다. 넷째, 경제적 요인 영향력 하에서 주거환경과 정신건강의 관계를 파악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선행연구에서 밝힌 주거환경과 정신건강의 관계를 한국에서도 입증 제시함으로써, 우울감을 감소시키고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측면에 주거환경의 영향력이 어느 정도 있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onnefoy, X. (2007). Inadequate housing and health: an overview. Int. J. Environment and Pollution, 30, Nos. 3/4, 411-429. 

  2. Choi, M., & Moon, Y. (2011). An analysis on the factors influencing Busan metropolitan city residents' happiness.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15(1), 277-297. 

  3. Chu, A., Thorne, A., & Guite, H. (2004). The impact on mental well-being of the urban and physical environment: an assessment of the evidence. Journal of Mental Health promotion. 3(2), 17-32. 

  4. Evans, G. W., Wells, N. M., Chan, H. E., & Satzman, H. (2000). Housing Quality and Mental Health.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8(3), 526-530. 

  5. Evans, G. W. (2003). The built environment and mental health. Journal of Urban Health: Bulletin of the New York Academy of Medicine, 80(4), 536-555. 

  6. Gomez-Jacinto, L. & Hornbrados-Mendietam I. (2002). Multiple effects of community and household crowding.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2(3), 233-246. 

  7. Guite, H. F., Clark, C., & Ackrill, G. (2006). Public and Health, 120, 1117-1126. 

  8. Halpern, D. (1995). Introduction and background. Mental health and the Built Environment. Oxon: Taylor & Francis. Inc. 1-27. 

  9. Im, S., & Yim, W. (2012). A comparative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married women in Korea and Japan.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7(1), 175-194. 

  10. Ko, J., & Lee, S. (2012). A multilevel modeling of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among older Korean adults.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40(1), 322-351. 

  11. Kopec, D. (2010). Environmental Psychology for Design.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s, Inc. 

  12. Lee, H., Seong, M., & Sin, Y. (2003).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pression of Urban Elderly Women. Study of Welfare for Aged, 22, 127-150. 

  13. Leventhal, T., & Brooks-Gunn, J. (2003). Moving to opportunity: an expertimental study of neighborhood effects on mental health.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2(9), 1576-1582. 

  14. Marcus, C. C. (2006). House as a mirror of self: exploring the deeper meaning of home. Berwick: Nicolas-Hays, Inc. 

  15. Park, E. (2010). Effects of Adolescent's Attachment to Teachers, Peers, Mother, Self-esteem, Depression on School Life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13(3), 75-88. 

  16. Park, E. (2011). A study on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by gender among adults. Korean J Women Health Nurs, 17(2), 169-177. 

  17. Park, C., & Lee, J. (2011).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of depression of Korean adults male and female. Health and Social Science, 29, 99-128. 

  18. Weich, S., Blanchard, M., Prince, M., Burton, E., Erens, B., & Sproston, K. (2002). Mental health and the built envrionment: cross-sectional survey of individual and contextual risk factors for depression.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89, 428-433. 

  19. Wright, P. A., & Kloos, B. (2007). Housing environment and mental health outcomes: A level of analysis perspective.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7, 79- 89. 

  20. Yang, S. (2012).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of elderly women i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1), 158-1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