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일 껍질의 비타민 C,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
Vitamin C, Total Polypheno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Several Fruit Peel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4 no.5, 2012년, pp.540 - 544  

이민영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유미소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황유정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진유정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홍명희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표영희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서 시판되는 11 종의 과일을 선별하여 과일 껍질에 함유된 항산화 성분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이들 인자간의 상관성을 평가하였다. 동결건조 시료의 80%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44.1-178.3 mg GAE/g dw), 플라보노이드(4.1-40.3 mg QE/g dw), 비타민 C의 함량(0.12-4.60 mg/g dw)을 측정하고, DPPH(평균 89.1% 소거능)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평균 84.2% 소거능) 및 환원력(186.2-953.8 mM AAE/g dw)을 측정하여 시료의 항산화능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자두>골드키위>포도껍질 등의 순위로 가장 높았으며, ABTS 라디컬 소거능환원력에 의한 항산화 활성 역시, 자두>골드키위>포도껍질 순으로 높게 나타나 이들의 항산화능은 주로 폴리페놀 성분에 기인한 것으로 밝혀졌다($R^2$=0.6356). 그러나 비타민 C의 함량이 높은 귤(4.60 mg), 오렌지(2.27 mg), 참외껍질(2.16 mg) 등의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컬 소거능과 정의 상관관계($R^2$=0.5201)를 나타내어 본 실험에 사용된 대부분의 과일 껍질은 자체내 함유된 폴리페놀 화합물이나 비타민 C 등의 항산화 성분 및 농도에 따라 비교적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자두와 골드키위의 껍질은 천연 항산화제뿐 아니라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제시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ics, flavonoids, and vitamin C contents in peels of 11 commercial fruits commonly consumed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evaluated by ABTS, DPPH radical scavenging methods and reducing power.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DPPH와 ABTS 라디컬 소거능은 항산화능을 지닌 페놀성 물질 함량이 높을수록 소거활성이 증가되며 따라서 free radical 물질인 DPPH와 ABTS의 소거활성은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5). 대부분의 페놀성 물질이 유리 라디컬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만 라디컬의 기질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페놀성 물질이 존재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DPPH와 ABTS 라디컬 소거활성 모두를 측정하여 과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Table 2에서와 같이 11종 과피의 동일농도에서 (10 mg/mL) 유리 라디컬 소거능은 63.
  • 그러나 국내에서 유통되는 과일의 껍질에 함유된 항산화 성분 및 항산능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 보고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국민이 일반적으로 소비하는 과일류 중, 과피 부분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11종의 시판 과일을 대상으로 그들 껍질에 함유된 항산화 활성은 물론 항산화 성분과의 관계를 평가하였기에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유라디칼이란 무엇인가? 노화와 질병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자유라디칼은 superoxide radical, hydroxyl radical, hydrogen peroxide, singlet oxygen 등 (1,2) 다양하며, 이러한 자유라디칼은 세포막 손상, 단백질 분해, 지질 산화, DNA 변성 등을 초래하여 각종 성인병을 유발한다(2). 오늘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노화 억제와 성인병 예방을 위한 항산화물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자유라디칼을 방어하는 항산화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3,4).
과일에 함유되는 항산화 비타민 성분에는 무엇이 있는가? 과일은 여러 식물성 자원 중 가장 항산화능이 뛰어난 천연 자원으로 특히 유리기를 소거하는 능력이 탁월한 것으로 보고되어왔다(6-9). 이들 성분의 종류에는 플라보노이드, 탄닌, 카테킨 등의 폴리페놀 성분 뿐 아니라 비타민 C, 토코페롤, 카로티노이드 등의 항산화 비타민 성분 등이 관련된다. 특히 과일 중량의 10-32%를 차지하는 껍질부위에는 만성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페놀 화합물 등 각종 기능성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8,9).
최근 연구 등을 통해 밝혀진 과일에서 항산화능이 두드러지는 부위는 어디인가? 최근 장수식으로 널리 알려져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macrobiotic diet (전체식)의 원리 또한 자연식품의 전체부위의 식용을 강조한 것으로(10), 과일의 경우 껍질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는 과일의 식용부위 즉, 과일 쥬스나 과육에 함유된 항산화 성분 및 관련 기능성을 주로 보고하였으나(6,7) 실제로 항산화능이 두드러진 부위는 껍질임이 밝혀지고 있다(8,9,11). 그러나 국내에서 유통되는 과일의 껍질에 함유된 항산화 성분 및 항산능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 보고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Droge W. Free radicals in the physiological control of cell function. Physiol. Rev. 82: 47-95 (2001) 

  2. Halliwell B, Aeschbach R, Loliger J, Aruoma OI. The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nts. Food Chem. Toxicol. 33: 601-617 (1995) 

  3. Imai J, Ide N, Nagae S, Moriguchi T, Matsuura H, Itakura Y.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aged garlic extract and its constituents. Plant Med. 60: 417-420 (1994) 

  4. Rice-Evans CA, Miller NJ, Paganga G.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Plant Sci. 2: 152-159 (1997) 

  5. Kim EJ, Choi JY, Yu MR, Kim MY, Lee SH, Lee BH.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337-342 (2012) 

  6. Sun J, Chu YF, Wu X, Liu RH.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common fruits. J. Agr. Food Chem. 50: 7449-7454 (2002) 

  7. Lichtentha R, Marx F. Total oxidant scavenging capacities of common european fruit and vegetable juices. J. Agr. Food Chem. 53: 103-110 (2005) 

  8. Kubola J, Siriamornpun S. 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ifferent fruit fractions (peel, pulp, aril, and seed) of Thai gac (Momordica cochinchinensis Spreng). Food Chem. 127: 1138-1145 (2011) 

  9. Contreras-Calderron J, Calderon-James L, Guerra-Hernandez E, Garcia-Villanova B. Antioxidant capacity, phenolic content, and vitamin C in pulp, peel, and seed from 24 exotic fruits from Colombia. Food Res. Int. 44: 2047-2053 (2011) 

  10. Maritess C, Small S, Waltz-Hill M. Alternative nutrition therapies in cancer patients. Semin. Oncol. Nurs. 21: 173-176 (2005) 

  11. Khonkarn R, Okonogi S, Ampasavate C, Anuchapreeda S. Investigation of fruit peel extracts as sources for compounds with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against human cell lines. Food Chem. Toxicol. 48: 2122-2129 (2010) 

  12. Singleton VL, Orthofer R, Lamuela-Raventos RM. Analysis of total phenol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Folin-Ciocalteau reagent. Method. Enzymol. 299: 152-178 (1999) 

  13. Jia Z, Tang M, Wu J.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y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999) 

  14. Davey MW, Auwerkerken A, Keulemans J. Relationship of apple vitamin C and antioxidant contents to harvest date and postharvest pathogen infection. J. Sci. Food Agr. 87: 802-813 (2007) 

  15.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 Evans C.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 Med. 26: 1231- 1237 (1999) 

  16. Brand-Williams W, Cuvelier ME, Berset C.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Food Sci. Technol. 28: 25-30 (1995) 

  17. Oyaizu M.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antioxidant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e amine. Jpn. J. Nutr. 44: 307-315 (1986) 

  18. Diaz-Mulab HM, Japhata PJ, Guillena F, Martinez-Romeroa D, Castillo S, Serranob D. Changes in hydrophilic and lipophilic antioxidant activity and related bioactive compounds during postharvest storage of yellow and purple plum cultivars. Postharv. Biol. Tec. 51: 354-363 (2009) 

  19. Tsao R. Chemistry and biochemistry of dietary polyphenols. Nutrients 2: 1231-1246 (2010) 

  20. Heim KE, Tagliaferro AR, Bobilya DJ. Flavonoid antioxidants: Chemistry, metabolism, and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J. Nutr. Biochem. 13: 572-584 (2002) 

  21.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Food Composition Table.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Suwon, Korea pp. 175-198. 7th revision (2006) 

  22. Wang MF, Shao Y, Li JG, Zhu NQ, Ho CT. Antioxidative phenolic compounds from sage (Salvia officinalis). J. Agr. Food Chem. 46: 4869-4873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