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여가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Leisure Activity and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10, 2012년, pp.291 - 306  

이갑숙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  임왕규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의 여가활동과 사회적 지지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역할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소재 노인종합복지관, 노인대학 및 노인문화센터 10곳의 여가활동프로그램에 참여하는 347명의 노인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도구로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한 주된 분석방법으로는 단계적 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생산적 여가활동은 심리적 복지감의 긍정적 차원인 생활만족도의 증진과 부정적 차원인 고독감의 감소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나, 소비적 여가활동은 생활만족도의 증진에만 상대적으로 작은 영향을 미쳤다. 둘째로, 생활만족도 증진에는 배우자지지가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그 다음으로 자녀지지, 친구지지의 순으로 나타난 반면에, 고독감 감소에는 친구지지가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그 다음이 배우자지지였으며, 자녀지지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지지의 세 유형 중에서 배우자지지와 친구지지의 두 유형이 생산적 여가활동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며, 생산적 여가활동과 고독감 간의관계에 대해서는 친구지지만 조절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갖는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으며, 향후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leasure activity and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people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347 old people participating in the leasure activity progr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넷째, 본 연구는 횡단적 자료를 사용하여 여가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 였다. 그러나 횡단적 자료에 근거해서 변수간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규명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분류유형들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Erik & Koen[31]이 최근에 새롭게 제시한 것으로서 기존의 분류유형들보다 보다 단순하면 서도 유용한 최근에 새롭게 제시한 분류유형인 보생산적 여가활동과 소비적 여가활동의 두 분류유형을 사용 하고자 한다.
  • 그러나 사회적 지지가 여가활동과 심리적복지감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역할을 탐구한 선행연구들은 매우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과 달리 사회적 지지의 직접효과와 더불어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함께 탐구하고자 하며,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 과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 즉,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심리적 복지감에 대한 여가활 동의 긍정적 영향이 더욱 커진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여가활동과 심리적 복지감 간의 관계에서 조절 역할을 수행하는지의 여부도 함께 실증적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 변수들간의 다중공선성 문제도 검토하였다. 일반적 으로 변수들간의 단순상관계수가 .
  • 본 연구는 노인의 여가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역할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여가활동으로는 생산적 여가활동과 소비적 여가활동의 두 유형, 사회적 지지로는 배우자지지, 자녀지지 및 친구지지의 세유형, 그리고 심리적 복지감으로는 생활만족도와 고독 감의 두 요인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를 통하여 노인들의 여가활동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복지감 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도모하는 한편, 이와 더불어 실무차원에서 노인들의 심리적 복지감 증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도 도출하고자 한다.
  • 사회적 지지는 제공주체, 지원의 원천 및 기능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지만,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제공주체에 따른 분류이다. 본 연구에서도 사회적 지지의 제공주체에 따라 사회적 지지를 배우자지지, 자녀지지 및 친구지지의 세 유형으로 구분하고자 한다. 배우자지지는 배우자와 서로 인정하고 존중하며 믿고 의지하는 정도를 의미하며, 자녀지지는 자녀들과 관계가 좋으며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정도를 가리키고, 친구 지지는 가족같이 지내는 친구들이 있으며 그 친구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정도를 뜻한다[44][45].
  • 이러한 관심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기존에 노인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보면,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에서 노인들의 건강, 경제, 소외, 가족 간의 문제 등에 치중되어 왔다[8]. 본연구는 시대적 변화의 추이에 맞추어 긍정적인 시각에서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여가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한 연구 분석틀은 아래의 그림과 같다. 선행연구 검토에 근거하여 노인의 여가활동이 심리적 복지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복지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여가활동과 심리적 복지감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인과관계를 설정하고자 한다. 그리고 심리적 복지감의 측정지표로는 생활 만족도와 고독감의 두 변수를 사용하였고, 여가활동은 생산적 및 소비적 여가활동의 두 유형으로 그리고 사회적 지지는 배우자지지, 자녀지지 및 친구지지의 세 유형으로 나누어 검토하고자 한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대다수의 노인관련 선행 연구들과 달리 긍정적인 시각에서 노년기의 심리적 복지감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며, 노인들의 여가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노년기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자 한다. 한편 사회적 지지 관련 문헌[9-11]에 따르면, 사회적 지지는 여가활동과 심리적 복지감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그러나 대부분의 심리적 복지감 관련 선행연구들은 긍정적 영역과 부정적 영역을 함께 측정할 때 심리적 복지감에 대한 일관된 해석을 내리기가 어렵다는 이유로 구성요소들 중에서 하나의 요인만 선택하여 종속변수를 측정하거나, 아니면 긍정적 혹은 부정적 측면 중어느 한쪽에 속하는 요인들만으로 심리적 복지감 변수를 구성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복지감을 자기 자신과 자신의 삶에 대한 주관적인 정서와 지각으로 정의하고, 삶의 긍정적 및 부정적 정서와 평가를 나타내는 구성요인으로 각각 생활만족도와 고독감을 선택하여 다차원적으로 측정하고자 한다.
  • 한편 인간은 타인과 관계를 맺음으로써 친밀감을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는데, 고독감은 타인과의 접촉에서 변화와 상실을 경험하는 정도를 가리킨다[23]. 즉, 본 연구는 생활만족도와 고독감의 측면에서 측정된 심리적 복지감에 노인들의 여가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0년 우리나라 사람의 평균기대수명은 몇 살인가? 우리나라 사람의 평균기대수명은 1970년대 62.1세에서 2010년에 79.4세로 증가하게 되었는데, 이는 1970년대 기준으로 할 때 18년을 더 살게 되었다는 것이다[1]. 이러한 결과는 우리의 생애주기에서 노년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길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011년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비율은? 1%, 2000년대 7.2%, 2011년도 11.3%로 고령사회로의 진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개인의 차원 에서는 경제적 빈곤, 보건․의료문제, 노인의 무위․무 료, 사회적 소외 등과 같은 다양한 노인 문제들이 심각 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노인 인구비율의 증가로 인한 노인부양 및 보호문제, 경제활동인구의 감소로 의한 사회와 경제의 활력 저하, 의료 및 연금을 비롯한 사회 보장비용 증대 등[4]과 같은 사회적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고령사회로의 진입으로 인해 생기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3%로 고령사회로의 진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개인의 차원 에서는 경제적 빈곤, 보건․의료문제, 노인의 무위․무 료, 사회적 소외 등과 같은 다양한 노인 문제들이 심각 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노인 인구비율의 증가로 인한 노인부양 및 보호문제, 경제활동인구의 감소로 의한 사회와 경제의 활력 저하, 의료 및 연금을 비롯한 사회 보장비용 증대 등[4]과 같은 사회적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1)

  1. 통계청, 2010. 

  2. 고령자고용촉진법 

  3. 통계청, 2011. 

  4. 허성호, 김종대, "2006년 고령화 패널조사에 나타난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다차원적 영향 분석", 한국노년학, 제31호, 제2호, pp.4017-418, 2011. 

  5. 이성록, 자원봉사활동관리 이론과 실제, 서울; 미디어숲, 2007. 

  6. 정태연, "한국노년학에서 다룬 노인의 심리적 특성: 역사적고찰과 미래의 과제", 한국노년학, 제28권, 제4호, pp.815-829, 2008 

  7. 박소윤, 재가복지서비스 수혜노인의 사회적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8. 임춘식, 노인복지학개론, 학현사, 경기파주, 2007. 

  9. P. L. Rice, Stress and health: principles and practice for coping and wellness, monterey, Brook and Cole Publishing Company, p.82, p.120, 1987. 

  10. F. H. Norris and S. A. Murrell, Protective function of resources related to life events, global stress and depression in order adult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25, pp.424-437, 1984. 

  11. 김재엽, 정윤경, 이진석, "가정내 자녀학대경험이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및 사회적 지지 관계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21 권, pp.119-144, 2009. 

  12. B. L. Neugarten, R. J. Havighurst, and S. S. Tobin, "The measur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Vol.16, pp.134-143, 1961. 

  13. M. P. Lowton, A multidimensional view of quality in frail edlders: In the concept & Measurement of quality in the elderly, ed by J. S. Birren, J. E. Lubben, J. C. Rowe et al Academic press, Sna Diego, p.74-88, 1991. 

  14. M. A. Okun, Life satisfaction, G. L. Maddox (Eds), Encyclopedia of Aging, New York, Springer, pp.339-401, 1987. 

  15. T. H. Wan, B. G. Odell, and D. T. Lewis, Promoting the well being of the elderly: A community Diagnosis, New York, Haworth, Press, 1982. 

  16. 장재정, 중년여성의 성역할 정체감과 심리적 건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7. 

  17. M. L. Medley, Marital adjustment in the post-retirement years, The Family Coordinator, pp.448-454, 1977. 

  18. A. Kozma, M. J. Stones, and J. K. Mcneil., Psychological well being later life, Toronto: Butter worths Canada, 1991. 

  19. 신기영, 옥선화, "중년기 주부의 가족역할 수행과 심리적복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제35권, 제1호, pp.111-128, 1997. 

  20. N. M. Bradburn,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 being, Chicago: Aldine, Publishing Company, p.83, 1969. 

  21. A. Campbell, The sense of well being in America, New York: McGraw-Hill, 1981. 

  22. 최성재, "노인의 생활만족도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논총, 제49권, pp.233-258, 1986. 

  23. R. Shearer and R. Davidhizar, "It can be never be way it was: Helping elderly women adjust to change and loss," Home Health Care Nurse, Vol.2, No.4, 1994. 

  24. M. Kaplan, The uses of leisure, Handbook of Social Gerontolog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0. 

  25. S. Parker, The sociology of leisure, London: George Allen & Unwin, 1976. 

  26. R. J. Havighurst., Social rloes, work, leisure, and education," In C. Eisdorfer & Lawton M. P. (Eds.), The psychology of adult development and aging,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p.598-618, 1973. 

  27. C. Gordon, G. M. Gaitz., and J. Scott, Leisure and Live : Personal expressivity across the Life span" Handbook of Aging and the Social science ed, (R.H. Binstock and E. shands, N.Y : Van Nonstrand Co, p.314, 1976. 

  28. N. Hooyman and A. Kiyak, Social Gerontology, Boston: Allyn and Bacon, 1996. 

  29. 김태현, 노년학, 서울: 교문사, 1996. 

  30. 김동배, "노인 여가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연구", 연세논총 제25권,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pp.137-160, 2000. 

  31. V. I. Erik and V. E. Koen, "Leisure and social capital, Leisure Science," Vol.31, No.2, pp.192-206, 2009. 

  32. 임우석, 사회적 자본과 노인생활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33. M. J. Leitner and S. F. Leitner, Leisure in later life, Binghamton, N.Y. : Haworth Press, 1985. 

  34. J. R. Kelly and J. E. Ross, "Later-Life leisure: Beginning a New Agenda," Leisure Sciences, Vol.11, p.54, 1989. 

  35. 신상식, 노년기 여가활동과 사회자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36. 한상미, "노인의 사회적 여가활동과 생활만족; 여가만족과 고독감을 중심으로", 사회복지, 제42 권, 제3호, pp.157-182, 2011. 

  37. J. Mirowsky and C. E. Rose, Social causes of psychological distress, NY: Aldne de Gruyter, 1989. 

  38. R. F. Creecy, W. E. Berg, and R. W. Wright, "Loneliness among the elderly: Acausal approach," Journal of Gerontology, Vol.40, No.4, pp.487-493, 1985. 

  39. B. J. Kaplan, J. C. Cassel, and S. Gore, "Social support on health, Medical Care," Vol.15, pp.393-419, 1977. 

  40. R. Kahn and T. Antonucci, Convoys of social support: a life-course approach, In S. B, Kiesler, J. N. Mogan., & V. K. Oppenheimer(Eds.), Aging: Social change,(pp.383-485), San Deigo: Academic Press, 1981. 

  41. S. Cohen and T. A. Will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Vol.98, pp.10-357, 1985. 

  42. 박지현, 도시 저소득층 노인의 사회관계망과 재가복지서비스 욕구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43. 원효종, 도시핵가족 주부의 사회적관계망유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44. 김지선, 연리지로 그려지는 노년기 배우자의 의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45. 소광섭, "도농복합도시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 자녀와 이웃지원의 기능적 측면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38권, pp.7-30, 2007. 

  46. B. R. McPherson, "Socialogical perspectives on aging and physical activity,"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Vol.2, pp.329-353, 1994. 

  47. L. M. Wankle, K. Mummery, T. Stephens, and C. L. Craig, "Prediction of physical activity intention from social psychological variables: Results from the Compbell's survey of well-being," Journal of Sport & Exercise Psychology, Vol.16, pp.56-69, 1994. 

  48. J. J. Sneegas, "Components of life satisfaction in milled and later life adults: Perceived social competence, leisure particip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18, No.4, pp.248-258, 1986. 

  49. J. C. Maren, The relationship of depression and tangible social support, The Doctor of Philosophy at the University of Connecticut, 2005. 

  50. T. V. Trans, G. Khatutsky, K. Aroian, W. Balsam, and K. E. Conway, "Living arrangement depression, and health status among elderly Russian-Specaking Immigrants," Journal of Genontological Social Work, Vol.33, No2, p.63, 2000. 

  51. 이진석, 독거노인에 대한 사회적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52. 최송식, 박현숙, "노인의 고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도농복합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29권, 제4호, pp.1277-1293, 2009. 

  53. J. C. Hays, W. B. Saunders, E. P. Flint, B. H. Kaplan, and D. G. Blazer,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as risk factors for loss of physical function in late life," Aging and Mental Health, Vol.1, No.3, pp.209-220, 1997. 

  54. E. Saito, Y. Sagawa, and K. Kanagawa, "Social support as a predictor of health status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Japan," Nursing and Health Sciences, Vol.7, pp.29-63, 2005. 

  55. 조상희, 노인의 여가활동이 사회적관계망과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56. 김향아, 여성노인의 신체적 건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57. 고민석, 서인균, "노인의 건강상태가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대한보건연구, 제37권, 제1호, pp.1-14, 2011. 

  58. D. Russell, L. A. Peplau, and C. E. Cutrona,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39, No.2, pp.472-480, 1980. 

  59. V. L. Bengtson and K. D. Culter, Generation and Intergenerational relations: Perspective on age groups and social change, Hand-book of Aging and the Social Science, eds, R. M. Binstock & E. Shanas, N. Y. Van, Nostrand Reihold Co, pp.130-155, 1976. 

  60. J. Jaccard, R. Turris, and C. K. Wan, "Interaction Effects in Multiple Regression," Newbury Parkk, CA: Sage, 1990. 

  61. 정종보, "성공적 노후 교육프로그램의 수요도 및 효과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제 11권, 제9호, pp.335-351,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