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
Smartphone Overuse and Upper Extremity Pain, Anxiety,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10, 2012년, pp.365 - 375  

황경혜 (수원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유양숙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조옥희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과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2년 5월부터 6월까지 일 대학의 대학생들 중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에 대해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응답내용이 누락되거나 불완전한 경우를 제외한 52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의 차이는 $x^2$와 t-test로 분석하였고, 스마트폰 중독사용,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중독사용군은 62명(11.8%)이었다. 여자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는 남자 대학생에 비해 심각했으며, 하루에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이 긴 대상자가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가 높았다. 스마트폰 중독사용군이 정상사용군에 비해 어깨통증 호소가 많았으나 다른 부위의 상지 통증의 차이는 없었다. 상태불안, 특성불안, 우울 모두 중독사용군이 정상사용군보다 높았다.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성향이 강할수록 상태불안, 특성불안 및 우울 정도는 높았고, 상태불안, 특성불안 및 우울 정도가 높을수록 대인관계는 좋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스마트폰 중독사용 고위험군을 조기에 선별하고, 이들을 위한 바른 자세, 다양한스트레스 대처방법, 긍정적인 정신건강 및 효율적인 대인관계 향상 등의 중독 예방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survey the impact of smartphone overuse on upper extremity pain, anxiety,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Subjects complet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nsisting of the Smartphone Addiction Inventory, the Musculoskeletal Symptom Checklist,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대인관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일 대학의 대학생들 중 스마 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 상지 통증, 불안, 우울, 대인관계에 대해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대학생 525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정도와 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급속히 대두되고 있는 스마트폰 중독 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성인을 대상으로 한 것과 달리 스마트폰 기기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인구집단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태를 파악하였으며, 스마트폰의 중독사용 정도는 어깨통증, 불안 및 우울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함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 대상으로 개발되고 타당도가 검증된 스마트폰 중독 척도[21]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사용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의 관계를 확인하여 스마트폰 중독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휴대폰 이용에 관한 조사에 따르면, 스마트폰 중독률은 얼마로 조사되었는가? 우리나라 휴대폰 이용에 관한 조사에 따르 면, 20대의 스마트폰 이용률이 69.6%로 가장 높았고[3], 스마트폰 중독률은 8.4 %로 인터넷 중독률의 7.7 %보다 높게 나타났다[4].
스마트폰의 어떠한 특성으로 인하여 스마트폰 중독이 점차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가? 스마트폰은 컴퓨터 기능을 갖춘 무선 전화기로[5], 휴대전화 기능에 일반 컴퓨터와 같이 범용 운영체제와 웹브라우저가 탑재되어 사용자가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직접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데이터 네트 워크를 통해 24시간 연결이 가능하고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통한 일정과 개인정보 관리, 방송 시청 및 음악 감상을 할 수 있다[6]. 기본 통화수단에서 벗어나 무제한의 정보 검색, 교육, 게임, 교통, 금융 등의 종합 문화서비스 매체로 진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사회적 문제이던 컴퓨터 게임 중독과 인터넷 중독이 모바일로 대체되어 스마트폰 중독은 점차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장시간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어떠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가? 그리고 컴퓨터, 인터넷의 장기간 사용으로 유발되던 거북목 증후군이 장시간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사용자들 에게도 관련되어 고개를 숙인 자세에서 각 기능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손목터널증후군, 거북목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고, 거북목이 심하면 목 디스크로, 목통 증은 두통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작은 화면으로 인한 눈의 피로 등 신체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14]. 특히, 휴대폰 작동 시 노출되는 전자기장은 수면장애, 두통을 유발할 수 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http://www.kcc.go.kr/user.do?modeview&pageP02060400&dcK02060400&boardId1030&cp2&boardSeq33497 

  2. 정현우, "스마트폰과 미래의 변화", 한국콘텐츠학회지, 제8권, 제2호, pp.29-33, 2010. 

  3. http://isis.kisa.or.kr/board/index.jsp?pageId040100&bbsId7&itemId784&pageIndex1 

  4. http://www.mopas.go.kr/gpms/ns/mogaha/user/ userlayout/bulletin/userBtView.action?userBtBean. bbsSeq1021895&userBtBean.ctxCd1012&user BtBean.ctxType21010002¤tPage461. 

  5. S. H. Kim, "Moderating effects of job relevance and experience on mobile wireless technology acceptance: Adoption of a smartphone by individuals," Information & Management, Vol.45, pp.387-393, 2008. 

  6. 김수현, "스마트폰에 대한 지각특성이 스마트폰 채택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9호, pp.318-326, 2010. 

  7. S. S. Alav, H. Alaghemaridanm, M. R. Maracy, F. Jannatifard, M. Eslami, and M. Ferdosi, "Impact of addiction to internet on a number of psychiatric symptoms in students of isfahan universities, iran," International J. of Preventive. Medicine, Vol.3, No.2, pp.122-127, 2012. 

  8. F. Tonioni, L. D'Alessandris, C. Lai, D. Martinelli, S. Corvino, M. Vasale, F. Fanella, P. Aceto, and P. Bria, "Internet addiction: hours spent online, behaviors and psychological symptoms," General Hospital Psychiatry, Vol.34, No.1, pp.80-87, 2012. 

  9. J. Korkeila, "Internet addiction," Duodecim, Vol.128, No.7, pp.711-718, 2012. 

  10. N. Schreier, A. Huss, and M. Roosli, "The prevalence of symptoms attributed to electro -magnetic field exposure: a cross-sectional representative survey in Switzerland," Sozialund Praventivmedizin, Vol.51, No.4, pp.202-209, 2006. 

  11. 한주리, 허경호, "이동전화 중독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6호, pp.138-165, 2004. 

  12. 이혜경, "휴대폰의 중독적 사용을 예측하는 변인들의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제22권, 제1호, pp.133-157, 2008. 

  13. 한국정보화진흥원, 스마트폰중독 진단척도 개발 연구, 가람문화사, 2011. 

  14. 한국건강관리협회, 휴대전화가 없으면 불안해지는 당신은 휴대전화 중독!, 건강소식, 8월호, pp.80-81, 2010. 

  15. 박용민, 성인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6. 이민석,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7. R. .Ruiz-Olivares, V. Lucena,, M. J. Pino, and J. Harruzo, "Analysis of behavior related to use of the internet, mobile telephones, compulsive shopping and gambl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Adicciones, Vol.22, No.4, pp.301-309, 2010. 

  18. A. Bianchi, P. D. Psych, and J. G. Phillips, "Psychological predictors of problem mobile phone use," CyberPsychology, Vol.8, No.1, pp.39-51, 2005. 

  19. S. H. Shin, D. H. Ro, O. S. Lee, J. H. Oh, and S. H. Kim,, "Within-day reliability of shoulder range of motion measurement with a smart -phone," Manual Therapy, Vol.17, pp.298-304, 2012. 

  20. 강주연,. 직장인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충동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1. 강희양, 박창호, "스마트폰 중독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p.205, 2011. 

  22. 정보통신부,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인터넷중독자가진단검사(K-척도)와 예방교육 프로그램, 한국정보문화원 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2003. 

  23. http://www.kosha.or.kr//content/business/health06_04_cause_03.html 

  24. C. D. Spielberger,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from Y), Consulting Psycho;ogists Press, 1983. 

  25. 한덕웅, 이장호, 전겸구, "Speilberger의 상태-특성 불안 검사 Y형의 개발", 한국심리학회 95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pp.73-83, 1995. 

  26. A. T. Beck, R. A. Steer, and G. K. Brown, Manual for the BDI-II,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San Antonio, TX, 1996. 

  27. 성형모, 김정범, 박영남, 배대석, 이선희, 안현의, "한국어판 백 우물 설문지 2판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생물치료정신의학, 제14권, 제2호, pp.159-231, 2008. 

  28. S. Schiein, B. Guerney, and L. Stove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1971. 

  29. 문선모, "인간관계훈련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일 연구", 경상대 논문집, 제19권, pp.195-204,1980. 

  30. 전석균, 정신분열증 환자의 재활을 위한 사회기술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31.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2011년도 정신질환실태역학조사, 보건복지부 학술연구 용역사업 보고서, 2012. 

  32. 유명옥, 고등학생의 휴대폰 중독과 정신건강, 충동성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3. 송은주, "고등학생의 휴대폰 사용실태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정신간호학회지, 제15권, 제3호, pp.325-333, 2006. 

  34. 우공선,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Mobile Social Network Service)의 이용 충족과 중독 연구: 트위터(Twitter)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5. 황진원, 컴퓨터를 많이 사용하는 근로자의 상지 통증과 삶의 질,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6. M. M. Spada, B. Langston, A. V. Nikevic, and G. B. Moneta, "The role of metacognitions in problematic internet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4, pp.2325-2335, 2008. 

  37. 오윤경, SNS중독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 지지의 관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8. http://jcmc.indiana.edu/vol13/issue1/boyd.ellison.html 

  39. D. J. Kuss and M. D. Graffins,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addiction-A Review of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International J. of Environment Research Public Health, Vol.8, pp.3528-3552, 2011. 

  40. 이정민, 김미리혜, 김정호, "청소년들의 부정적 정서와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에서 메타인지와 메타기분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 17권, 제1호, pp.229-242,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