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백산분지 캠브리아기 세송층의 퇴적상
Sedimentary facies of the Cambrian Sesong Formation, Taebacksan Basin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5 no.5, 2012년, pp.565 - 578  

주현 (SK이노베이션 탐사실) ,  유인창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태백산분지 캠브리아기 세송층의 퇴적상이 정밀 주상도 작업과 야외조사에 의해 분석되었다. 결과로 5개의 퇴적상이 세송층 내에서 인지되었으며 이들은 석회질 단괴를 포함한 셰일상, 망상형 와케스톤-팩스톤상, 엽리질 실트암상, 세립 및 중립질 사암상, 석회 잔자갈 역암상 등을 포함한다. 퇴적상 분석과 함께 수행된 수직적 상변화에 대한 연구는 세송층이 외대륙붕 및 내대륙붕 환경 하에서 상대적인 해수면의 하강에 의해 퇴적되었음을 지시한다. 특히, 세송층 최상부에 10 m 두께의 세립 및 중립질 사암층의 천해성 퇴적양상은 동 시기인 로렌시아 대륙의 Steptoean Stage(Dunderburgia) 퇴적층 내에서 나타나는 퇴적상 변화와 매우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두 대륙 사이의 동 시기 퇴적층의 퇴적상에 관한 비교는 세송층의 퇴적이 캠브리아기 중기 후반에서 캠브리아기 후기 초반 동안에 있었던 전 지구적인 해수면의 하강의 영향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또한 세송층 상부구간의 세립 및 중립질 천해성 사암층 내에는 시퀀스 층서학적으로 의미가 있는 하나의 층서불연속면이 인지된다. 이러한 층서불연속면은 로렌시아 대륙에서 정의되었던 Sauk II-III 시퀀스 경계면에 대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태백산분지 내 캠브리아기 중기 및 후기 퇴적층(예; 세송층)들의 지역 간 대비에 있어서 새로운 층서적 사고의 틀로 사용될 수 있으며, 향후 대륙 간 층서대비에 있어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dimentary facies of the Middle to Upper Cambrian Sesong Formation, Taebacksan Basin, are analyzed using detailed field mapping and stratigraphic section measuring. As a result, five sedimentary facies are recognized in the formation, which include lime nodule bearing shale facies, anastomosing w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태백산분지 세송층 내에 존재하는 스텝토이안 탄소동위원소 양전이대에 대한 연구는 세송층 내 퇴적상의 수직 변화에 대한 연구와 연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동 시대 여타 퇴적층과의 실제적인 대비가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캠브리아기 중기에서 후기 초반에 걸쳐 퇴적된 세송층에 대하여 퇴적상을 정밀분석하고 퇴적상의 수직변이에 따른 해수면 변동을 유추함으로서 동시대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해수면 변동과의 대비를 통해 태백산분지의 캠브리아기 중기 및 후기의 퇴적사를 이해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Outcrop photograph of irregular and small tabular lime nodule and shale interbedded quartz silt. C. Thin section of irregular shale and lime nodule including horizontal burrows. a: intramicrite and bioclast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 연구에서 태백산분지 캄브리아기 세송층을 어떤 방식으로 분석했나요? 태백산분지 캠브리아기 세송층의 퇴적상이 정밀 주상도 작업과 야외조사에 의해 분석되었다. 결과로 5개의 퇴적상이 세송층 내에서 인지되었으며 이들은 석회질 단괴를 포함한 셰일상, 망상형 와케스톤-팩스톤상, 엽리질 실트암상, 세립 및 중립질 사암상, 석회 잔자갈 역암상 등을 포함한다.
태백산 분지 중립질 사암층의 천해성 퇴적양상이 로렌시아 대륙의 퇴적층 내에서 나타나는 퇴적상 변화와 유사한 양상인 것을 볼 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특히, 세송층 최상부에 10 m 두께의 세립 및 중립질 사암층의 천해성 퇴적양상은 동 시기인 로렌시아 대륙의 Steptoean Stage(Dunderburgia) 퇴적층 내에서 나타나는 퇴적상 변화와 매우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두 대륙 사이의 동 시기 퇴적층의 퇴적상에 관한 비교는 세송층의 퇴적이 캠브리아기 중기 후반에서 캠브리아기 후기 초반 동안에 있었던 전 지구적인 해수면의 하강의 영향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또한 세송층 상부구간의 세립 및 중립질 천해성 사암층 내에는 시퀀스 층서학적으로 의미가 있는 하나의 층서불연속면이 인지된다. 이러한 층서불연속면은 로렌시아 대륙에서 정의되었던 Sauk II-III 시퀀스 경계면에 대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태백산분지 내 캠브리아기 중기 및 후기 퇴적층(예; 세송층)들의 지역 간 대비에 있어서 새로운 층서적 사고의 틀로 사용될 수 있으며, 향후 대륙 간 층서대비에 있어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캠브리아기 후기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동안에 해수면 하강에 의한 해퇴는 무엇으로 알려져 있나요? , 1998; Glumac and Spivak-Brindorf, 2002), 스페인과 프랑스(Álvaro et al., 1997) 등 전 세계에 걸쳐 캠브리아기 후기 초반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에 해수면 하강에 의한 해퇴가 있었던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이는 스텝토이안 탄소동위원소 양전이대(Steptoean Positive Carbon Isotope Excursion; SPICE)로 잘알려져 있다(Saltzman et al.,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igner, T. (1985) Storm depositional systems, dynamic stratigraphy in modern and ancient shallow-marine sequence. In: Friedman, G.M., Neugebauer, H.J. and Seilacher, A. (eds.), Lecture Notes in Earth Science. Springer-Verlag, New York, 174p. 

  2. Alvaro, J.J. and Vennin, E. (1997) Episodic development of Cambrian eocrinoid-sponge meadows in the Iberian Chains (NE Spain): Facies, v.37, p.49-64. 

  3. Chen, J., Chough, S.K., Han, Z. and Lee, J.H. (2011) An extensive erosion surface of a strongly deformed limestone bed in the Gushan and Chaomidian formations (late Middle Cambrian to Furongian), Shandong Province, China: Sequence-stratigraphic implications. Sedimentary Geology, v.233, p.129-149. 

  4. Cheong, C.H. (1969) Stratigraphy and paleontology of the Samcheog coalfield, Gangweondo,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5, p.13-56. 

  5. Choi, D.K. (2007) Trilobite research in South Korea during the 20th Century. Bulletin of the New York State Museum, v.407, p.81-96. 

  6. Choi, D.K. and Chough, S.K. (2005) The Cambrian- Ordovician stratigraphy of the Taebaeksan Basin, Korea: a review. Geosciences Journal, v.9, p.187-214. 

  7. Choi, D.K., Chough, S.K., Kwon, Y.K., Lee, S.B., Woo, J., Kang, I., Lee, H.S., Lee, S.M., Sohn, J.W., Shinn, Y.J. and Lee, D.J. (2004) Taebaek group (Cambrian- Ordovician) in the Seokgaejae section, Taebaeksan Basin: a refined lower Paleozoic stratigraphy in Korea. Geosciences Journal, v.8, p.125-151. 

  8. de Wet, C.B., Moshier, S.O., Hower, J.C. and Rimmer, J.C. (1991) Deposition and diagenesis of marine-swamp margin: the Providence Limestone and adjacent coals, western Kentuky. In: Lomando, A. and Harris, P. (eds.), Mixed Carbonate-Siliciclastic Sequences, Soc. Econ. Paleontol. Min. Core Workshop, No. 15, p.169-203. 

  9. Flugel, E. (2004) Microfacies of Carbonate Rocks: Analysis,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Springer-Verlag, Berlin, 976p. 

  10. Geological Investigation Corps of the Taebaegsan Region (GICTR) (1962) Report on the Geology and mineral Resources of the Taebaegsan Region. Geological Society of Korea, Seoul. 

  11. Glumac, B. and Spivak-Birndorf, M.L. (2002) Stable isotopes of carbon as an invaluable stratigraphic tool: An example from the Cambrian of the northern Appalachians, U.S.A. Geology, v.30, p.563-566. 

  12. Glumac, B. and Walker, K.R. (1998) A Late Cambrian positive carbon- isotope excursion in the southern Appalachians: Relation to biostratigraphy, sequence stratigraphy, environments of deposition, and diagenesis. Journal of Sedimentary Research, v.68, p.1212-1222. 

  13. Im, J.N, Cheong, G.S, Park, T.Y and Lee, K.S. (2010) Study on SPICE in the Cambrian Sesong Formation, Taebacksan region, Kwangweondo. Abstract Volume of 2010 Annual Conference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p.20. 

  14. Kobayashi, T. (1930) Cambrian and Ordovician faunas of South Korea and the Bearing of the Tsinling-Keijo Line in Ordovician palaeogeography. Proceedings of the Imperial Academy, v.4, p.423-426. 

  15. Kwon, Y.K. and Chough, S.K. (2005) Sequence stratigraphy of the cyclic successions in the Dumugol Formation (Lower Ordovician), mideast Korea. Geosciences Journal, v.9, p.305-324. 

  16. Kwon, Y.K., Chough, S.K., Choi, D.K. and Lee, D.J. (2002) Origin of limestone conglomerates in the Choson Supergroup (Cambro -Ordovician), mid-east Korea. Sedimentary Geology, v.146, p.265-283. 

  17. Kwon, Y.K., Chough, S.K., Choi, D.K. and Lee, D.J. (2006) Sequence stratigraphy of the Taebaek Group (Cambrian-Ordovician), mideast Korea. Sedimentary Geology, v.192, p.19-55. 

  18. Lee, Y.I. and Kim, J.C. (1992) Storm-influenced siliciclastic and carbonate ramp deposits, the Lower Ordovician Dumugol Formation, South Korea. Sedimentology, v.39, p.951-969. 

  19. Lee, Y.I. and Lee J.I. (2003) Paleozoic sedimentation and tectonics in Korea: A review. Island Arc, v.12, p.162-179. 

  20. Loreau, J.P. and Purser, B.H. (1973) Distribution and ultrastructure of Holocene ooids in the Persian Gulf. In: Purser, B.H. (eds.), The Persian Gulf. Springer- Verlag, Berlin, p.279-328. 

  21. Markello, J.R. and Read, J.F. (1981) Carbonate ramp-todeeper shale shelf transitions of an Upper Cambrian intrashelf basin, Nolichucky Formation, Southwest Virginia Appalachians. Sedimentology, v.28, p.573-597. 

  22. McKee, E.D. and Weir, G.W. (1953) Terminology for stratification and cross-stratification in sedimentary rock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v.64, p.381-390. 

  23. Meyerhoff, A.A., Kamen-Kaye, M., Chen, C. and Taner, I. (1991) China- Stratigraphy, Paleogeography, and Tectonics.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The Netherlands. 

  24. Moller, N.K. and Kvingan, K. (1988) The genesis of nodular limestones in the Ordovician and Silurian of the Oslo Region (Norway). Sedimentology, v.35, p.405-420. 

  25. Nakazawa, T., Ueno, K., Kawahata, H., Fujikawa, M. and Kashiwagi, K. (2009) Facies stacking patterns in highfrequency sequences influenced by long-term sealevel change on a Permian Panthalassan oceanic atoll: an example from the Akiyoshi Limestone, SW Japan. Sedimentary Geology, v.214, p.35-48. 

  26. Okada, K. (1971) Classification of sandstone: Analysis and proposal. Journal of Geology, v.79, p.509-525. 

  27. Osleger, D.A. and Read, J.F. (1993) Comparative analysis of methods used to define eustatic variations in outcrop: Late Cambrian interbasinal sequence development: American Journal of Science, v.293, p.157-216. 

  28. Palmer, A.R. (1981) Subdivision of the Sauk sequence. In: Taylor, M.E. (eds.), Short Papers for the Seco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Cambrian System. U.S. Geological Survey, Open-File Report 81-743, p.160-162. 

  29. Park, B.K. (1985) Genesis of the rhythmite of Upper Cambrian Hwajeol Formation, Joseon Supergroup,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21, p.184-195. 

  30. Park, B.K. and Han, S.J. (1985) Origin of carbonate flat pebble conglomerate of the Upper Cambrian Hwajeol Formation, Choseon Supergroup, Ko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s of Mining Geology, v.18, p.177-184. 

  31. Park, T.Y and Choi, D.K. (2011) Trilobite faunal successions across the base of the Furongian Series in the Taebaek Group, Korea. Geobios, v.44, p.481-498. 

  32. Peng, S., Babcock, L.E. and Zhu, M. (2001) Cambrian System of South China, Palaeoworld No. 13, Hefei,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of China, 310p. 

  33. Rees, E.I., Eagle, R.A. and Walker, A.J.M. (1976) Trophic and Other Influences on Macrobenthos Population Fluctuations in Liverpool Bay. In: Persoone, G. and Jaspers, E. (eds.), Proceedings of the 10th European symposium on marine biology 2. Universa Press, Wetteren, Belgium, p.589-599. 

  34. Saltzman, M.R., Brasier, M.D., Ripperdan, R.L., Ergaliev, G.K., Lohmann, K.C., Robison, R.A., Chang, W.T., Peng, S. and Runnegar, B. (2000) A global carbon isotope excursion during the Late Cambrian: Relation to trilobite extinctions, organic-matter burial and sea level. Palaeogeography, Palaeoceanography, Palaeoclimatology, v.162, p.211-223. 

  35. Saltzman, M.R., Cowan, C.A., Runkel, A.C., Runnegar, B., Stewart, M.C. and Palmer, A.R. (2004) The late Cambrinan SPICE ( ${\delta}$ 13C) event and SAUKIISAUKIII regression: New evidence from laurentian basins in Utah, Iowa, and Newfoundland. Journal of Sedimentary Research, v.74, p.366-377. 

  36. Saltzman, M.R., Runnegar, B. and Lohmann, K.C. (1998) Carbon-isotope stratigraphy of the Pterocephaliid Biomere in the eastern Great Basin: Record of a global oceanographic event during the Late Cambrian.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v.110, p.285-297. 

  37. Sam, B. (1995) Principles of Sedimentology and Stratigraphy, 5th ed., Prentice Hall, p.101-114. 

  38. Sloss, L.L. (1963) Sequences in the cratonic interior of North America.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v.74, p.93-114. 

  39. Stanistreet, I.G. and Hughes, M.J. (1984) Pseudoconglomerate and reexamination of some paleoenvironmental controversies. Geology, v.12, p.717-719. 

  40. Torok, A. (1998) Controls on development of Mid-Triassic ramps: example from Hungary. In: Wright, V.P. and Burchette, T.P. (eds.), Carbonate Ramps. Geological Society Special Publications, Geological Society of London, v.149, p.339-367. 

  41. Vail, P.R., Mitchum Jr., R.M. and Thompson, S. (1977) Seismic stratigraphy and global changes of sea level. In: Payton, C.E. (eds.), Seismic Stratigraphy-Applications to Hydrocarbon Exploration. American Association of Petroleum Geologists Memoir, v.26, p.83-97. 

  42. Veevers, J.J. (2004) Gondwanaland from 650-500 Ma assembly through 320 Ma merger in Pangea to 185- 100 Ma breakup: supercontinental tectonics via stratigraphy and radiometric dating. Earth-Science Reviews, v.68, p.1-132. 

  43. Woo, K.S. (1999) Cyclic tidal successions of the Middle Ordovician Maggol Formation in the Taebaeg area, Kangwondo, Korea. Geoscience Journal, v.3, p.123-140. 

  44. Woo, K.S. and Park, B.K. (1989) Depositional environments and diagenesis of the sedimentary rocks, Choseon Supergroup, Korea: past, present, and future; the state of the art.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25, p.347-3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