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계탕의 시대적 변천에 대한 연구
Study on Chronic Changes in Chogyetang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7 no.5, 2012년, pp.469 - 480  

장소영 (경민대학교 호텔외식조리과) ,  한복려 (궁중음식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its introduction in"Jeungbosallimgyeongje" in the mid-1700s, Chogyetang has continuously changed as a cooked food while still reflecting the era as in the following four phases. In the first phase from 1766 to 1920, Chogyetang was served as a hot pot dish consisting of boiled chicken with sp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선왕조 궁중연회식 의궤와 궁중 발기, 고문헌과 근대문헌, 대표일간지에 나타난 초계탕의 재료 및 조리방법을 고찰하여 명칭, 재료와 조리법을 살펴보면서 시대적인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각 시대별 초계탕 조리법의 변화는 당시의 사회상과 식생활문화 등을 엿볼 수 있는 자료가 되며 전통음식이 시대적 변화에 따라 변화되고 재창조 되어가며 현세대에 어떻게 전승되고 있는지 고찰해보고자 시도되었다.
  • 궁중의궤에서 사용된 초계탕 재료 [Table 4], 조리서에서 초계탕 재료 [Table 5], 초계탕의 조리법이 소개된 신문기사에 나타난 재료 [Table 6]의 조리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선왕조 궁중연회식 의궤와 궁중 발기, 고문헌과 근대문헌, 대표일간지에 나타난 초계탕의 재료 및 조리방법을 고찰하여 명칭, 재료와 조리법을 살펴보면서 시대적인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각 시대별 초계탕 조리법의 변화는 당시의 사회상과 식생활문화 등을 엿볼 수 있는 자료가 되며 전통음식이 시대적 변화에 따라 변화되고 재창조 되어가며 현세대에 어떻게 전승되고 있는지 고찰해보고자 시도되었다.
  • 여기에 후추, 천초, 회향, 물 1사발을 넣고 끓인다. 좋은 술을 좀 넣으면 더 좋다고 하여「증보산림경제」나 다른 조리서의 초계탕과는 다른 조리법으로 소개하였다. 「임원십육지」는 농사 및 가정생활 전반에 걸쳐 요긴한 일들을 16항목으로 나누고 각 항목마다 총론과 각론으로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는 방대한 과학서이며 백과사전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잡채가 처음 소개된 1600년대 조리서인 「음식디미방」 속 잡채는 어떤 형태인가? 그러나 음식문화 역시 사회를 대변하며 변화한다. 현재 잡채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음식이라고 알려졌지만, 잡채가 처음 소개된 1600년대 조리서인 「음식디미방」의 잡채는 당면은 없고 다양한 채소에 된장으로 간을 한 걸죽한 밀가루즙이 뿌려진 음식이다. 이처럼 전통음식은 그 시대를 반영하며 변화되고 재창조된다.
과거에 초계탕은 언제 먹는 음식이었는가? 국은 갱(羹), 학(臛), 탕(湯)으로 표기되며(Lee 등 1992) 우리나라 상차림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다. 초계탕은 조선조 궁중에서 대규모의 행사나 경사스러운 일이 있을 때 잔치기록인 조선왕조 궁중연회식 의궤와 조선왕조 음식 발기(件記)에 여러 번 소개된 음식이며 1700년대 조리서인「증보산림경제」부터 현재까지 약 250여 년간 문헌에 꾸준히 소개되고 현재 빈번히 조리되는 전통음식이다. 초계탕이 처음 소개된 「증보산림경제」에는 “살찐 암탉과 파 흰부분을 솥에 넣고, 좋은 초와 청장과 참기름을 부은 뒤 센불과 약한 불로 푹 고아 닭뼈가 발라질 수 있을 정도까지 이른 뒤에 달걀 6~7개를 국물에 풀어 먹으면 그 맛이 매우 좋다”고 하였으나 국어사전(이 2004)에서는 “여름에 먹는 음식의 한가지, 닭의 고기를 뼈째 토막을 치고 잘게 썬 쇠고기와 함께 간을 맞추어 끓여서 식힌 담은 후 오이, 석이, 표고 등을 볶은 것과 달걀로 고명을 만들어 얹고 초를 쳐서 먹는 음식이다.
동아일보(1997) 기사에서 소개된 초계탕은? 그러나 동아일보(1997) 기사에서 초계탕은 전혀 다른 음식으로 소개된다. “통마늘 대파 통후추를 넣어 닭을 삶아 굵직하게 찢어놓고 육수는 가제에 걸러 차게 식힌다. 오이, 무, 당근, 배 등 야채는 5 cm 길이로 납작하게 썬다. 식힌 육수에 식초 겨자 소금 간장 약간을 넣고 소스를 만들어 닭살 야채 위에 뿌린다.” 이처럼 초계탕의 조리법은 「증보산림경제」에 처음 소개된 후 현재와는 다르지만 시대를 반영하면서 변화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방신영. 1957. 우리나라 음식 만드는 법. 장충도서출판 

  2. 수원시 역주. 2005. 원행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 수원시 

  3. 유계완 등. 1976. 계절과 식탁-하(夏). 삼화출판사. p 81 

  4. 윤숙경 편역. 1998. 주찬(찬자미상. 1800년대). 신광출판사 

  5. 이강자 등 편역. 2003. 증보산림경제(유중림 원저. 1766). 신광출판사 

  6. 이성우 편. 1991. 조선왕조 궁중음식 의궤. 문교부 자유공모과제 연구보고서 

  7. 이성우. 1981. 한국식경대전. 향문사 

  8. 이성우편.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II), 술 만드는 법(찬자미상. 1700년대). 수학사 

  9. 이성우편.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III), 정일당잡지(찬자미상. 1856). 수학사 

  10. 이성우편.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IV), 조선요리법(朝鮮料理法) (조자호 원저. 1938). 수학사 

  11. 이성우편.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V), 간편조선요리제법(이석만 원저. 1934). 수학사 

  12. 이성우편.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V),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이용기 원저. 1924). 수학사 

  13. 이지영. 2012. 장서각 소장 궁중음식 발기에 관하여. 조선왕조 궁중음식 고문헌심포지엄. p 39-60 

  14. 이효지 등 편엮. 2007. 임원십육지(서유구 원저. 1827). 교문사 

  15. 이희승. 2004. 국어사전. 민중서림 

  16. 조선료리협회. 1994. 조선료리전집. 외국문종합출판사 

  17. 조선료리협회. 2000. 만들어 보고 싶은 북한 전통요리 바로 그 맛 266선. (주)여명미디어 

  18. 조선여성사. 1956. 음식 만드는 법. 로동신문출판 

  19. 한복진. 2001. 우리생활 100년.음식. 현암사 

  20. 황혜성 등 편역. 2000. 다시 보고 배우는 음식디미방(안동장씨 원저. 1670년경). 궁중음식연구원 

  21. Han BR, Kim GY. 2012. Bibliographical Considerations of Cooking Recorded in the 18th Century Document . Korean J. Food Culture 27(3):304-315 

  22. Kim GY, Lee CJ. 2006. A Study on the Literature of the Cooking product of Cho (misutkaru) in Imwonshibyukj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4):377-386 

  23. Kim GY, Lee CJ. 2008. A Study on Cooking Science of Guk (Korean Soup) from Old Cookbooks from the Chosun Dynasty(15-19C)-Focused on Malgunguk-.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5):711-724 

  24. Kim MH, Chung HK. 2009. The Effects of National Policies on Food Consumption Patterns in the 1950's - This Study Focused on Articles Written between 1950-1959. Korean J. Food Culture 24(1):10-22 

  25. Kim MH. 2009. A Study on the Food-culture's Property of the Traditional Generation through the Oral Interview). Korean J. Food Culture 24(6):613-630 

  26. Kong JO. 2008. Encouragement campaign the use of rice with other cereals the use of flour for food and change of food life in National Mobilization System. Economy and Society, 77:109 

  27. Lee HG, Chun HJ, Lee YK. 1992.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Tojangguk in Korea. Korean J. Dietary Culture 7(1):81-90 

  28. Lee JY. 1987. A study on the functional change of the Korean Newspapers. Doctor degree thesis. Yonsei University. 26-42 

  29. Lee SW. 1988. Study on the Food Menu in the Royal Palace of Chosun Dynasty, Korean J. Dietary Culture 3(1):29-49 

  30. Park CL, Kwon YS, Chung HJ. 2011. A Historical Study on the Changes in the Recipe of Naengmyeon (Korean Cold Noodles) Base on Water. Korean J. Food Culture 26(2): 128-141 

  31. 경향신문 http://www.khan.co.kr/ 

  32.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 http://dna.naver.com/ 

  33. 동아일보 http://www.donga.com/ 

  34. 매일경제 http://www.mk.co.kr/ 

  35. 조선일보 http://www.chosun.co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