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돌나물 분획물의 항산화 및 위암예방 효과를 다양한 균들과 위암세포주를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그리고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돌나물의 n-hexane, methylene chloride (MC), ethyl acetate, n-butanol 분획물의 항균효과를 disc 확산법으로 알아본 결과, MC 분획물이 E. coli에 대해 13 mm의 억제존을 보여 가장 우수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00{\mu}g/mL$ 농도에서 모든 분획물은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와 hydroxyl radicals (${\cdot}OH$)에서 50% 이상의 소거능을 나타냈다. 특히, MC 분획물이 DPPH와 ${\cdot}OH$에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또한 MC 분획물은 H. pylori와 위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돌나물의 분획물 중 특히 MC 분획물이 radical 소거능, H. pylori에 대한 항균성 및 AGS 인체 위암세포 생존 저해효과가 우수한 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industrial application of Sedum sarmentosum.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n-hexane, methylene chloride (MC), ethyl acetate, and n-butanol fractions of S. sarmentosum were tested against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and Helicobacter pyl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식품 또는 의약품 중간원료로의 용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돌나물이 가지는 우수한 가치를 알고 이를 활용하기 위해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능과 hydroxyl radical (·OH) 소거능 측정을 통해 항산화 효과를 검색해 보고, 식중독 유발 세균인 Escherichia coli (E. coli)와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에 대한 항균효과와 위암세포주인 AGS에 대한 생육저해 효과 및 H.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을 탐색하여 천연항산화제로서의 소재와 천연항균제재, 위암의 예방에 효과적인 고부가가치의 생리 기능을 갖는 천연의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하기 위한 자료를 얻고자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헬리코박터균은 어떻게 위염이나 위궤양을 유발하는가? 또한 헬리코박터(Helicobacter pylori)는 위염, 위궤양 및 위암의 발병요인으로서 1983년 보고된 후 지난 20여 년간 주목을 받기 시작한 균으로 (Waren and Marshall, 1983) 현재까지도 이에 관한 역학 및 병인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균은 그람음성의 미호기성균으로 강한 운동성을 갖고 있으며 위 점막과 점액의 강한 산성환경에서 서식하면서 위점막에 H. pylori urease에 의해 암모니아를 축적함으로써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위점막의 손상을 초래하여 위염이나 위궤양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Graham, 1989). 현재까지 이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여러 항생제가 개발(Ohta 등, 2001; Parente 등, 2002; Isomoto 등, 2003)되어 왔으나, 항생제를 장기간 투여하는 것에 따른 항생제 내성을 갖는 새로운 균주가 나타나고 사용한 약물에 의한 부작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접근 방식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Yoon 등, 2011).
돌나물은 어떤 성분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는가? 특히 내한성 및 내건성이 강하여 토질을 가리지 않고 자라는 생육특징을 지니고 있어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손쉽게 재배할 수 있다. 돌나물은 sedoheptulose, sucrose, fructose 등의 당질과, 특히 비타민 C와 칼슘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최근 자생식물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돌나물의 유용성분탐색과 함께 다양한 생리활성 능력이 입증되고 있다(Kim and Lee, 2007; Sim 등, 2008). 돌나물의 활성성분 연구로는 quercetin, isorhamnetin과 kaempferol 등의 배당체들에 의한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효과와, terpenoids에 의한 간보호 효과 등이 있다(He 등, 1998; Oh 등, 2004).
활성산소는 생체 내에서 어떠한 현상을 유발하는가? 특히 H2O2 등의 활성산소가 만성 퇴행성질환의 주요 위험인자로 대두되어 이들의 제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Fridorich, 1978). 활성산소는 강한 산화력이 있어 세포막 분해, 단백질 분해, 지방 산화, DNA 합성 억제, 광합성 억제, 엽록체의 파괴 등 생체 내에서 심각한 생리적인 장애를 유발한다(Imlay and Linn, 1988; Gardner and Fridovich, 1991). 생체 내의 대사 활동이나 스트레스, 염증 등에 의한 활성 산소의 과잉 생성은 인체의 효소 및 단백질, DNA 등의 손상을 가져오고 현재까지의 다양한 연구에 의하면 이러한 과잉 공급된 활성산소로 인해 유전자를 손상시키는 암의 개시 단계뿐만 아니라 촉진 단계에서도 작용하여 발암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ung 등,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ae JH (2005) Antimicrobial effect of Hedyotis diffusa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07-12. 

  2. Carmichael J, DeGraff WG, Gazdar AF, Minna JD, and Mitchell JB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42. 

  3. Cho YS, Lee J, Lee MK, Shin DB, Kim DH, and Park KM (2011) Prevalence and characteriz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pathogenic factors isolated from various food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648-54. 

  4. Chung SK, Osawa T, and Kawakishi S (1997) Hydroxyl radical-scavenging effects of spices and scavengers from brown mustard (Brassica nigra). Biosci Biotechnol Biochem 61, 118-23. 

  5. Davidson PH and Parish ME (1989) Methods for testing the efficacy of food antimicrobials. Food Technol 43, 148-52. 

  6. Doyle MP (1991) Escherichia coli O157: H7 and its significance in foods. Int J Food Microb 12, 289-301. 

  7. Fridorich I (1978) The biology of oxygen radicals. Science 201, 875-80. 

  8. Gardner PR and Fridovich I (1991) Superoxide sensitivity of the Escherichia coli 6-phosphogluconate dehydratase. J Biol Chem 266, 1478-83. 

  9. Goldberg I (1994) In Functional Foods: Designer Foods, Pharmafoods, Nutraceuticals. Chapman & Hall Press, USA. 

  10. Graham DY (1989) Campylobacter pylori and peptic ulcer disease. Gastroenterol 96, 615- 25. 

  11. Ham SH, Lee SY, Choi M, and Hwang Bo HJ (1998) Antimutagenicity and cytotoxicity effects of Woorimil wheat flour extracts added with wild herb and seaweed pow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177- 82. 

  12. Hatano T, Edamatsu R, Hiramatsu M, Mori A, Fujita Y, Yasuhara T et al. (1989) Effects of the interaction of tannins with co-existing substances, VI: Effects of 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s on superoxide anion radical, and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Chem Pharm Bull 37, 2016- 21. 

  13. He A, Wang M, Hao H, Zhang D, and Lee KH (1998) Hepatoprotective triterpenes from Sedum sarmentosum. Phytochemistry 49, 2607-10. 

  14. Hong J, Wie M, Leem D, Park KS, Yoon T, No KM et al. (2010) Evaluation of antioxidants activity through the chemical assay. J Biomed Res 11, 1- 8. 

  15. Imlay JA and Linn S (1988) DNA damage and oxygen radical toxicity. Science 240, 1302-9. 

  16. Isomoto H, Inoue K, Furusu H, Nishiyama H, Shikuwa S, Omagari K et al. (2003) Lafutidine, a novel histamine H2-receptor antagonist, vs lansoprazole in combination with amoxicillin and clarithromycin for eradication of Helicobacter pylori. Helicobacter 8, 111-9. 

  17. Jung HJ, Choi YJ, Won CW, and Seo YR (2006) The chemopreventive effects of antioxidant enzyme. Environ Mutagen Carcinogen 6, 35-64. 

  18. Kang TH, Pae HO, Yoo JC, Kim NY, Kim YC, Ko GI et al. (2000)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alkaloids from Sedum sarmentosum on murine and human hepatoma cell lines. J Ethnopharmacol 70, 177-82. 

  19. Kim HJ and Lee SY (2007) Genetic relationship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Korean native Sedum sarmentosum. Korean J Hort Sci Technol 25, 103-9. 

  20. Kim JH, Sung NY, Kwon SK, Jung PM, Choi JI, Yoon YH et al. (2010) Antioxidant activity of Stevia leaf extracts prepared by various extraction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313-8. 

  21. Kim WH, Bae SJ, and Kim M (2002) The effects of Sedum sarmentosum Bunge on serum lipid concentration in ovariectomiz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290-4. 

  22. Kim YD, Mahinda S, Koh KS, Jeon YJ, and Kim SH (2009) Reactive oxygen species scavenging activity of Jeju native citrus peel during matur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462-9. 

  23. Kwack BH (1976) On the ecology of Sedum sarmentosum Bunge in Korea. J Korean Soc Hort Sci 17, 69-77. 

  24. Lee HJ, Lim GN, Park MA, and Park SN (2011)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Lespedeza cuneata G. Don extract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9, 63-9. 

  25. Lim JS, Yoon JH, Min BK, and Hong WK (2008)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shiga-like toxin producing E. coli O157: H7 by multiplex PCR. Food Eng Prog 12, 8-14. 

  26. Morrison DM, Tyrrell DL, and Jewell LD (1986) Colonic biopsy in verotoxin-induced hemorrhagic colitis and thrombotic thrombocyropenic purpura (TTP). Am J Clin Pathol 86, 108-12. 

  27. Nam SM, Ham SS, Oh DH, Kang IJ, Lee SY, and Chung CK (1998) Effects of Artemisia iwayomogi Kitamura ethanol extract on lowering serum and liver lipids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338-43. 

  28. Novello A (1999) Outbreak of Escherichia coli O157: H7 and Campylobacter among attendees of the Washington County Fair-New York, 1999. MMWR Morb Mortal Wkly Rep 48, 803-5. 

  29. NSOK (2011)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f Korea, Korea. 

  30. Oh H, Kang DG, Kwon JW, Kwon TO, Lee SY, Lee DB et al. (2004) Isolation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flavonoids from Sedum sarmentosum. Biol Pharm Bull 27, 2035-7. 

  31. Ohta T, Shibata H, Kawamori T, Iimuro M, Sugimura T, and Wakabayashi K (2001) Marked reduction of Helicobacter pylori-induced gastritis by urease inhibitors, acetohydroxamic acid and flurofamide, in Mongolian gerbil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85, 728-33. 

  32. Parente F, Sainaghi M, Sangaletti O, Imbesi V, Maconi G, Anderloni A et al. (2002) Different effects of short-term omeprazole, lansoprazole or pantoprazole on the accuracy of the $^{13}C$ -urea breath test. Aliment Pharmacol Ther 16, 553-7. 

  33. Park S, Kim H, Paek SH, Hong JW, and Kim YK (2008) Enzyme-linked immune-strip biosensor to detect Escherichia coli O157:H7. Ultramicrorscopy 108, 1349-51. 

  34. Sadaki O (1996)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and materials. Bioindustry 13, 44-50. 

  35. Sim GS, Kim JH, Lee BC, Lee DH, Lee GS, and Pyo HB (2008) Inhibitory Effects on Melanin Production in B16 Melanoma Cells of Sedum sarmentosum. Arch Pharm Res 52, 165-71. 

  36. Sim GS, Kim JH, Lee DH, Na Y, Lee GS, and Pyo HB (2007) Sedum sarmentosum enhances hyaluronan synthesis in transformed human keratinocytes and increases water content in human skin.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3, 17-22. 

  37. Waren JR and Marshall B (1983) Unidentified curved bacilli on gastric epithelium in active chronic gastritis. Lancet 321, 1273-5. 

  38. Yoon SJ, Kim JS, Jo BS, Kim JH, Lee SH, Ahn BJ et al. (2011)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s against Helicobacter pylori from Rosemary (Rosmarinus officinalis L.) extracts. J Appl Biol Chem 54, 159-6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