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지방류 조사를 통한 거제 외포 주변해역 대구(Gadus macrocephalus) 자원량과 어획사망률 추정
Estimating the Abundance and Fishing Mortality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during the Spawning Season in Jinhae Bay, Korea, Using a Mark-Recapture Method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5 no.5, 2012년, pp.499 - 506  

황강석 (국립수산과학원 자원관리과) ,  최일수 (전남대학교 통계학과) ,  정석근 (제주대학교 해양대학 해양의생명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stimated the population size and fishing mortality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during the spawning season in waters off Woipo, Geoje Island, Korea, using a mark-recapture method. We marked and released 51 cod>50 cm in total length; six were recaptured by local fishermen during the perio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 식 1에서 로그나 지수가 쓰이지 않았는데도 생물 개체군 분포에서와 동일한 로그-정규분포가 나왔다는 것은 흥미롭고 부트스트랩 재표본 방법이 추정치의 불확실성을 잘 나타내어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주었다. 모집단 어획사망률에서 비교적 앞으로 표지방류 대구 개체수를 크게늘리면 모집단 개체수 추정치에 대한 불확실성은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며 이 연구에서는 표지방류를 통해서 주요 수산 어종에 대한 자원평가와 그 불확실성을 정량화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했다는데 뜻이 있는 것으로 본다.
  • 본 연구 목적은 수산학의 가장 큰 특징인 추정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시급히 필요한 수산관리 정책 개발을 위해 경남 거제 외포 주변 해역에서 산란기 동안 표지방류법을 이용하여 대구의 자원량과 어획사망률을 추정하는 것이다. 겨울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대구 생산지인 진해만에서 자연사망률과 함께 어획사망률을 추정할 수 있다면 가입당생산모델로 추정할 수 있는 대구의 최대지속적 생산량을 가져올 수 있는 적정 어획강도에 대한 생물학적 기준점인 Fmax와 F0.

가설 설정

  • 3. 조사 기간 동안 대구 자연사망률은 0이다.
  • 5. 표지가 달려 재포된 대구는 누락되지 않고 모두 신고된다.
  • 6. 조사기간 동안 표지가 부착된 대구와 그렇지 않은 대구는 어획될 가능성이 동일하다.
  • 이 방법은 일정한 수의 개체를 표지방류한 뒤 충분한 시간이 경과한 뒤에 잡은 표본에서 표지가 있는 개체와 없는 개체수의 비율을 이용하여 모집단 크기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단, 표지 방류후 표지의 손실이나 새로운 개체의 발생, 사망 또는 이주 등이 없는 닫힌 공간을 가정으로 한다. Lincoln-Petersen method의 변형으로 Chapman’s and Bailey’s modification 은 Lincoln-Petersen 방법을 재포 가능 회수에 따라 달리 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경남 거제 외포 주변 해역에서 산란기 동안 대구의 자원량과 어획사망률을 표지 방류법을 이용하여 추산하여 보았다. 표지 방류와 재포를 통한 모집단 크기 추정에 필요한 모형을 가정했으며, 또 추정치에 대한 불확실성을 정량화시키는 방법을 제시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북태평양과 우리나라 동해안에서의 성어 대구는 어느정도 수심에서 어획되고 있는 것으로 보는가? , 1990). 동북태평양에서는 성어 대구가 주로 200 m 수심 5.4°C 등온선에서 주로 잡힌다고 보고되어 있으나(Dunn and Matarese, 1987), 우리나라 동해안 근해에서 조업하는 자망 어업인들 말에 따르면 우리나라 동해안 대구는 대개 90 m 수심 아래에서 어획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산란 수심은 100-250 m 이고 산란 후 성어는 30-60 m 수심의 얕은 연안으로 이동한다고 보고되어 있으나(Cohen et al.
Lincoln-Petersen 방법은 어떤 방법인가? 가장 간단한 방법은 Lincoln-Petersen 방법인데 조사 대상 지역을 2번만 방문함으로써 개체수를 추정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일정한 수의 개체를 표지방류한 뒤 충분한 시간이 경과한 뒤에 잡은 표본에서 표지가 있는 개체와 없는 개체수의 비율을 이용하여 모집단 크기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단, 표지 방류후 표지의 손실이나 새로운 개체의 발생, 사망 또는 이주 등이 없는 닫힌 공간을 가정으로 한다.
우리나라에서 해양 어류와 갑각류를 대상으로 한 표지방류조사 연구사업을 수행했음에도 그 추정치와 결과가 발표된 것이 전무한 까닭은 무엇으로 추측할 수 있는가? 우리나라에서는 간헐적으로 해양 어류와 갑각류를 대상으로 표지방류조사 연구사업을 수행했음에도 그 추정치와 결과가 발표된 것이 거의 전무하다. 그 이유는 알기 힘드나 아마 추정치에 대한 신빙성, 대상 개체군의 회유의 불확실성에 따른 열린 공간 처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여 적용하기가 힘들었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남 거제 외포 주변 해역에서 산란기 동안 대구의 자원량과 어획사망률을 표지 방류법을 이용하여 추산하여 보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a, HK, Lee, SI, Yoon, SC, Kim, YS, Chun, YY, Chang, DS and Yang, JH. 2007. Maturation and spawning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TILESIUS in East Sea of Korea. J Kor Soc Fish Tech 43, 320-328. 

  2. Cha, HK and Jung, S. 2012. Simulation-based yield-per-recruit analysis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southeastern Korean coastal waters. J Korean Fish Soc 45 (in press). 

  3. Cohen, D, Inada, T, Iwamoto, T and Scialabba, N. 1990. Gadiform fishes of the world (Order Gadiformes).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cods, hakes, grenadiers and other gadiform fishes known to date. FAO, Rome, 1-442. 

  4. Dunn, JR and Matarese, AC. 1987. A review of the early life history of Northeast Pacific gadoid fishes. Fish Res 5, 163-184. 

  5. Fogarty, MJ, Rosenberg, AA and Sissenwine, MP. 1992. Fisheries risk assessment: sources of uncertainty. Environ Sci Technol 26, 440-447. 

  6. Harwood, J and Stokes, K. 2003. Coping with uncertainty in ecological advice: lessons from fisheries. Trends Ecol Evol 18, 617-622. 

  7. Jung, S, Choi, I and Chang, D-s. 2008a. Application of bootstrap and Bayesian methods for estimating confidence intervals on biological reference points in fisheries management J Korean Fish Soc 41, 107-112. 

  8. Jung, S, Choi, I, Jin, H, Lee, D-w, Cha, H-k, Kim, Y and Lee, JY. 2009. Size-dependent mortality formulation for isochronal fish species based on their fecundity: an example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the eastern coastal areas of Korea. Fish Res 97, 77-85. 

  9. Jung, S, Hwang, S-D and Kim, J. 2008b. Fecundity and growthdependent mortality of Pacific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n Korean coastal waters. Fish Res 93, 39-46. 

  10. Kendall, WL. 1999. Robustness of closed capture-recapture methods to violations of the closure assumption. Ecology 80, 2517-2525. 

  11. Kim, TH. 2008. Economy, Global Warming Influence Fish Menus. The Korea Times, Seoul, Korea. 

  12. King, M. 2007. Fisheries biology, assessment, and management. Utopia Press Pte Ltd, Singapore, 1-382. 

  13. Lee, CS, Hur, YH, Lee, JY, Kim, WK, Hong, SH, Hwang, SJ and Choi, SH. 2005. Maturity and spawning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the East Sea. J Korean Fish Soc 38, 245-250. 

  14. Lee, JY, Lee, CS, Kim, WK, Park, SU and Min, BH. 2007.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on egg development, hatching and laval growth rearing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J Aquac 20, 260-264. 

  15. Lukey, JR, Booth, AJ and Froneman, PW. 2006. Fish population size and movement patterns in a small intermittently open South African estuary. Estuar Coast Shelf Sci 67, 10-20. 

  16. Poltev, Y. 2007. Specific features of spatial distribution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waters off the eastern coast of the northern Kuril Islands and the southern extremity of Kamchatka. J Ichthyol/Vopr Ikhtiol 47, 726-738. 

  17. Pukyong National University. 2008. A study on systematic implementation of stock-recovery program in Korea.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598. 

  18. Savin, A. 2007. Seasonal migrations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Gadidae) off the eastern coast of Kamchatka. J Ichthyol/Vopr Ikhtiol 47, 620-630. 

  19. Savin, A. 2008. Seasonal distribution and migrations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Gadidae) in Anadyr Bay and adjacent waters. J Ichthyol/Vopr Ikhtiol 48, 610-621. 

  20. Schnabel, ZE. 1938. The estimation of total fish populations of a lake. Amer Math Monthly 45, 348-352. 

  21. Seber, GAF. 2002. The Estimation of Animal Abundance and Related Parameters. Blackburn Press, Caldwell, NJ, 1-348-352. 

  22. Seber, GAF and Felton, R. 1981. Tag loss and the Petersen mark-recapture experiment. Biometrika 68, 211-219. 

  23. Seo, YS, Park, ME, Kim, JG and Lee, SU. 2007. Egg development and juvenile growth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Korean East Sea population). J Korean Fish Soc 40, 380-386. 

  24. Shimada, A and Kimura, D. 1994. Seasonal movements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the eastern Bering Sea and adjacent waters based on tag-recapture data. Fish Bull 92, 800-816. 

  25. Takatsu, T, Nakatani, T, Miyamoto, T, Kooka, K and Takahashi, T. 2002. Spatial distribution and feeding habits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larvae in Mutsu Bay, Japan. Fish Oceanogr 11, 90-1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