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의학 기초이론의 현대화와 한의학 이론용어
Discussion on the Issues of the Modernization of the Fundamental Theories and Terms in Korean Medicine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27 no.5, 2013년, pp.540 - 552  

이충열 (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생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s on discussing several issues that we encounter when we 'modernize' the fundamental theories of Korean Medicine(KM): It is pertinent to set the boundaries of the "fundamental theories" of the KM. The boundaries can be set based on: a) setting the medicine and the philosophy of med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의학의 현대화란 무엇인가? 한의학의 ‘현대화’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현대화(modernization)’ 개념14)에 비추어 볼 때, 전통시대 한의학 이론과 임상을 ‘근대’에 부합하는 형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일련의 노력과 작업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이것은 서양의 발전된 과학기술을 흡수하여 한의학을 현대에 맞게 개량하고, 전통적인 한의학 이론과 임상을 정리하여‘근대’ 이념에 맞는 ‘합리적이고 실증적인 지식 체계’로 전환시키는 것을 말한다.
한의학 이론이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과학에서 이론이란 주어진 어떤 대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며, 예측하기 위한 분석 도구를 말한다. 그러므로 의학 이론은 의학의 대상이 되는 인체 생리현상과 질병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며 예측하기 위한 분석 도구라고 할 수 있을 것이고, 한의학 이론은 한의학에서 생리현상과 질병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며 예측하는데 동원되는 분석 도구들을 말한다고 할 수 있다.
전통적인 한의학 기초이론의 입지가 점점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나는 원인은 무엇인가? 이런 현상에는 다음 두 가지 이유가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첫째는, 역사 속에서 한의학과 과학의 만남이 순탄치 못했기 때문이다. 사실 한의학과 과학을 대립적인 관계로 볼 필연적인 이유는 없다. 하지만 20세기 초 동아시아 국가들에서는 과학주의(scientism)의 유행으로 전통의학인 한의학, 특히 한의학의 기초이론에 대해 비과학적이라는 비판이 쏟아졌다. 이에 따라 중국에서는 전통 중의학의 기초이론을 배제하는 방식인, 소위 ‘廢醫存藥’ 방식의 과학화가 제기되었고, 1930년대에 벌써 중의계 안에서 이런 방식의 과학화에 호응하는 사람들이 생겨난다.2) 그러므로 오늘날 실험실 연구는 물론이고, 임상 연구들에서도 한의학 기초이론을 배제한 과학화 연구들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그리 이상한 일이 아니다. 둘째, 더 중요한 원인은 그 동안 기초이론 연구자들이 한의학 기초이론을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이론으로 제고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시대가 변함에 따라 ‘氣虛’, ‘血虛’ 같은 전통적인 한의학 용어들은 대중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낯선 용어들이 되었다. 이런 상황에 직면해서도 한의학계는 일반 대중들이 원하는 대안들을 만들어 내지 못하고 있다. 한의학계가 대중들의 인식 변화와 눈높이에 맞추는데 실패함에 따라 한의사들 스스로가 한의학 이론에 대해 자신감을 잃게 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우리나라 국민의 한방의료 이용실태와 인식도, 보건-복지 Issue & Focus 제140호(2012-21), 2012. 5. 25. 

  2. 劉衛東. 20世紀30年代 "中義科學化" 思潮論析. 齊魯學刊 vol.203(2008년 제2기):35-41, 2008. 

  3. 윤길영. 동의임상방제학. 서울, 명보출판사, p 17, 1985. 

  4. 권상옥. 한국에서 의철학하기. 의철학연구 2: 1-17, 2006. 

  5. 許浚. 原本 東醫寶鑑. 서울, 南山堂, pp 187-194, 511-516, 1976. 

  6. 한의학용어 분류체계에 대한 연구. 대전, 한국한의학연구원, 2005. 12. 27. 

  7. 김상균, 김철, 장현철, 예상준, 송미영. 한의학 연구개발과제 분류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5(4):309-326, 2008. 

  8. Sivin, Nathan. Editor's Introduction, in Needham, Joseph, Lu, Gwei-Djen.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Sivin Nathan ed.) Vol.6 Part VI: Medicin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25, 26, 2000. 

  9. 양계초. 음양오행설의 역사: 양계초, 풍우란 외 저. 김홍경 편역. 음양오행설의 연구, 서울, 신지서원, pp 29-51, 1993. 

  10. 鄭紅斌. 關于藏象學說若干問題的探討. 浙江中?學院學報 15(5):6-8, 1991. 

  11. 樊洪業. "賽先生"?新文化運動-科學社會史的考察. 歷史硏究 1989년 제3기: 39-49, 1989. 

  12. 顧植山. 近代義學史上"中義科學化"運動. 南京中義學院學報 1989년 제2기: 50-53, 1989. 

  13. 박왕용. 中醫現代學派에 對한 考察. 제3의학 5(2):327-339, 2000. 

  14. 李經緯,張志斌. 中義學思想史. 長沙, 湖南敎育出版社, pp 694-697, 2006. 

  15. ?精?. 科學主義籠?下的世紀中義. ?學?哲學 16(2):62-66, 1995. 

  16. Sheid, Volker. Chinese Medicine in Contemporary China: Plurality and Synthesis.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pp 200-237, 2002. 

  17. 南京中義學院 編著. 中?學槪論.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58. 

  18. ?州部隊后勤部衛生部組織編寫. 新編中?學槪要.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72. 

  19. 李德新, 劉燕池 主編. 中?基출理論.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2011. 

  20. 이태형, 이병욱, 김남일. 통합의학의 정의 고찰 및 국내 관련 연구 분석. 한국의사학회지 23(2):57-69, 2010. 

  21. 야마다 게이지 저, 박성환 역. 중국과학의 사상적 풍토. 서울, 전파과학사, pp 8-46, 1994. 

  22. 장립문 주편, 김교빈 외역. 기의 철학(재판). 서울, 예문서원, 2004. 

  23. 이충열. 한의학 오장개념과 관련된 최근의 논점들에 대한 고찰. 동의생리학회지 11(1):181-204, 1996. 

  24. 張效霞 著. 臟腑眞原. 北京, 華夏出版社, pp 219-229, 302-311, 2010. 

  25. 윤길영. 동의학의 방법론 연구. 서울, 성보사, p 42, 1983. 

  26. 김완희. 신판 장부생리학. 서울, 경희한의대 생리학교실, p 8, 1987. 

  27. 祝世訥. 系統中?學導論. 湖北科學技術出版社, p 76, 77, 1989. 

  28. 허준 저, 동의문헌연구실 편역. 신편.대역 동의보감(탕액편, 침구편, 색인). 서울, 법인문화사, 2005. 

  29. 方藥中 編著. 辨?論治硏究七講.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pp 101-103, 1979. 

  30. 남경희 저. 비트겐슈타인과 현대 철학의 언어적 전회.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p 5-8, 2005. 

  31. Brown, Theodore L., Making Truth: Metaphor in Science, Champaig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pp 5-6, 2003. 

  32. G.레이코프, M.존슨 저. 노양진, 나익주 역. 삶으로서의 은유(수정판), 서울, 박이정, pp 21-25, 2006. 

  33. 머레이 노울즈, 로자먼드 문, 김주식, 김동환 역. 은유 소개. 서울, 한국문화사, pp 46-48, 2008. 

  34. Geraldine, W. van Rijn-van Tongeren. Metaphors in medical texts.(Utrecht Studies in Language and Communication), Amsterdam, pp 97-113, Rodopi, 1997. 

  35. Boyd, Richard. "Metaphor and theory change: What is "metaphor" a metaphor for?": Edited by Ortony, Andrew. Metaphor and Thought(second e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481-532, 1993.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