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1930년대 교토대학의 한반도 채집과 지명 정리: G. Koidzumi, J. Ohwi, S. Kitamura
A gazetteer of three Japanese plant taxonomists (G. Koidzumi, J. Ohwi, and S. Kitamura) of Kyoto University in Korea during 1930s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3 no.4, 2013년, pp.319 - 331  

장계선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박수경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및 수목원) ,  김휘 (목포대학교 한약자원학과 및 한방산업연구소) ,  장진성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및 수목원)

초록

Koidzumi Gen'ichi(1883-1953), Ohwi Jisaburo(1905-1977), Kitamura Siro(1906-2002) 등이 1930년에서 1935년에 걸쳐 약 5년간 실시한 한반도 식물 채집에서 얻어진 식물표본레이블에 기록된 내용을 바탕으로 당시의 채집행적을 정리하였다. 일본 교토대학(京都大學, Kyoto University; KYO)에 소장된 표본은 전체 2,000 점으로 다양하지만, 대부분은 채집자와 간략한 채집지명이 한자, 일본어 혹은 지역 방언으로 기록되어 있다. 교토대학였던 Koidzumi(小泉)는 주로 1932년, 1933년, 1935년의 방학동안인 7-8월에 한반도 남부의 제주도와 경상북도, 전라북도 지역과 북부의 금강산, 함경북도, 평안북도, 황해도 등에서 식물 채집을 하였다. Ohwi(大井)는 1930년과 1932년 3달 동안 주로 기존 채집자들이 시도하지 않은 지역인 함경북도의 경성군, 부령군, 회령군, 무산군과 함경남도 장진군, 신흥군과 함께 금강산에서 채집하고, 1935년에는 지리산, 제주도 등 한반도 남부지역에서 주로 채집하였다. Kitamura(北村)는 1930년과 1932년, 1935년에 한반도 채집을 실시하였으며 제주도와 금강산, 함경남도의 원산 및 개마고원 일대의 채집 기록이 남아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ords found on labels of specimens deposited at Kyoto University (KYO) and references about three Japanese taxonomists, Koidzumi, Gen'ichi (1883-1953), Ohwi, Jisaburo (1905-1977), Kitamura, Siro (1906-2002) were assembled to produce collector's itineraries from 1930 to 1935 in Korea. The quality 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930년에서 1935년까지 한반도 채집을 시도한 교토대학의 세 연구자의 채집 행적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추후 북한에 분포하는 식물 채집 기록의 일차종발생자료의 디지털화에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 Ohwi의 복재 채집표본은 교토대학 표본관 이외에도 일본 자연사박물관 표본관(TNS)에 소장되어 있다. 두 표본관에 소장된 표본은 현재 DB화해서 자료를 입력중이며 분류군별 채집품에 대한 것은 빠른 시일 안에 공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국에서는 여전히 문헌에 기록된 과거 일본식 발음의 북한 지명을 활용하는 이유는? , 2010a, 2010b). 하지만 이와는 달리 일제 강점기 당시의 문헌은 대부분 한자 지명을 일본식 발음으로 표기하여 문헌과 표본에 대한 정보의 상호보완이 되지 않아 오류 빈도가 매우 높다. 또한, 1947년과 1952년과 최근의 북한의 행정개편으로 인해 과거 사용한 많은 지명들이 사라져서, 과거와 현재의 지명 자료의 괴리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Kim et al., 2006).
생물정보학 분야가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이유는? 최근 5년간 전 세계는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다양하게 활용하기 위하여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 분야가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다(GBIF, 2001). 이런 국제적 생물다양성정보의 구축에 대한 노력은 미발견 생물자원의 가치에 대한 경쟁으로 촉발되었으며, 과거 채집된 표본 자료나 종발생 자료에 대한 문헌, 사진기록 등을 1차 종발생자료(primary species occurrence data)라 하고, 종분포의 디지털화를 시도하고 있다.
1차 종발생자료란? 최근 5년간 전 세계는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다양하게 활용하기 위하여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 분야가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다(GBIF, 2001). 이런 국제적 생물다양성정보의 구축에 대한 노력은 미발견 생물자원의 가치에 대한 경쟁으로 촉발되었으며, 과거 채집된 표본 자료나 종발생 자료에 대한 문헌, 사진기록 등을 1차 종발생자료(primary species occurrence data)라 하고, 종분포의 디지털화를 시도하고 있다. 디지털화는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식물의 분포와 새로운 식물 분포 예측, 식물 동정에 활용이 가능한 자료로서 분류학적, 보전생물, 환경 모델링을 통한 지질학적 또는 기후 변화 등 생물다양성과 생태학적인 연구에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Feeley and Silman, 2011; Haripersaud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oufford, D., K. Susan and R. Ree. 2013. Biodiversity of the Hengduan Mountains. Retreved July 1, 2013, from http://hengduan.huh.harvard.edu/ fieldnotes/gazetteer. 

  2. Chang, C. S. and G. S. Chang. 2003. Reexamination on V. L. Komarov's collection sites in North Korea - mainly based on Flora Manshuria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3(2): 203-218. (in Korean) 

  3. Chang, C. S. and B. H. Choi. 2004. Reexamination on V. L. Komarov's collection sites in North Korea (II) - mainly based on Nakai's Flora Koreana vol. II.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3: 203-218. (in Korean) 

  4. Chang, C. S., B. H. Choi, H. Kim and J. Y. Lee. 2004. Reexamination on foreign collector's sites and exploration routes in Korea - with respect to U. Fauri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4: 37-41. (in Korean) 

  5. Chang, C. S. and K. S. Chang. 2010. Reexamination on foreign collector's sites and exploration routes in Korea (IV) - with respect to T. Ishidoy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0: 90-104. (in Korean) 

  6. Chang, C. S., K. S. Chang, Y. S. Ahn and H. Kim. 2012. Georeferencing of primary species occurrence data and necessity of data quality control - a case study of two varieties of Ox- Knee, Achyranthes bidentata Blume.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101: 158-194. 

  7. Chung, Y. H., H. G. Choi, B. Y. Seon, Y. C. Chung and K. J. Kim. 1986. A Historical Study of Vascular Plants. In Introduction to the Historical Study of Korea Plant Taxonomy. Chung, Y. H. (ed.),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1-190. (in Korean) 

  8. Feeley, K. J. and M. R. Silman. 2011. Keep collecting: accurate species distribution modelling requires more collections than previously thought. Diversity and Distributions 17: 1132-1140. 

  9. GBIF. 2001.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Retrieved July 1, 2013, from http://www.gbif.org. 

  10. Haripersaud, P., H. Steege., J. J. Granville, H. Chevillotte and M. Hoff. 2010. Species abundance, distribution and diversity in time and space after centuries of botanical collecting in the Guianas. Taxon 59: 592-297. 

  11. Hijmans, R. J., L. Guarino and P. Mathur. 2011. DIVA-GIS 7.5. Retrieved July 1, 2013, from http://www.diva-gis.org. 

  12. Kelly, S. L. 2006. Resolving place names in Amdo and Kham: A gazetteer for the Hengduan Mountains region of Southwest China. Acta Phytotaxonomica Sinica. 44: 721-732. 

  13. Kim, H., G. S. Chang, C. S. Chang and B. H. Choi. 2006. Reexamination on foreign collectors' sites and exploration routes in Korea (II) - with respect to T. Nakai.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6: 227-255. (in Korean) 

  14. Kim, H., B. H. Choi, C. S. Chang and K. S. Chang. 2007. Reexamination on foreign collectors' sites and exploration routes in Korea (III) - with respect to T. Uchiyam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7: 203-215. (in Korean) 

  15. Kim, H., K. S. Chang and C. S. Chang. 2010. E. H. Wilson's expedition to Korea from 1917 to 1919: resolving place names of his collections. Journal of Japanese Botany 85: 99-117. 

  16. Kim, H., K. S. Chang, H. Y. Gil, S. K. Park and C. S. Chang. 2012. T. Mori's collections and resolving place nam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2: 340-353. (in Korean) 

  17. Kitamura, S. 1933a. Compositae novae Japonicae V. Acta Phytotaxonomica et Geobotanica 2: 118-129. 

  18. Kitamura, S. 1933b. Compositae novae Japonicae VI. Acta Phytotaxonomica et Geobotanica 2: 171-188. 

  19. Kitamura, S. 1937a. Les Senecio du Japon. Acta Phytotaxonomica et Geobotanica 6: 265-275. 

  20. Kitamura, S. 1937b. Compositae Japonicae. Memoirs of the College of Science; Kyoto Imperial University. Series B. Biology. Kyoto 13: 1-421. 

  21. Kitamura, S. 1942. Compositae Japonicae. Memoirs of the College of Science; Kyoto Imperial University. Series B. Biology. Kyoto 16: 155-292. 

  22. Kitamura, S. 1977. A biography of late Dr. Jisaburo Ohwi. Acta Phytotaxonomica et Geobotanica 28: 92-97. 

  23. Museum of Vertebrate Zoology and Geospatial Innovation Facility. 2008. Predictive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using Tree Data.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4. NGII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09. Map of Korea. Retrieved July 1, 2013, from http://www.ngi.go.kr 

  25. Oh, S. Y. 1984. A historical study of taxonomy on the vascular plants in Korea (I). Research Review of Kyungpook University 38: 171-197. (in Korean) 

  26. Park, Y. H., H. Y. Lee, H. J. No, S. H. Park, J. H. Jeong, G. E. Choi, Y. S. Ham and D. S. Seo. 2002. High School Geography Book, Sunggi Culture Co, Seoul. (in Korean) 

  27. Pollefeys, P., S. Sharrock and E. Arnaud. 2004. Preliminary analysis of the Literature on the Distribution of Wild Musa Species Using MGIS and DIVA-GIS. Minist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Quebec. 

  28. Son, S. W. 1974. Korean Geographical Dictionary. Kyungin Culture Co., Seoul. (in Korean) 

  29. Suh, Y. B., J. H. Pak, C. W. Park, M. G. Chung, K. Heo, B. Y. Sun, H. Ohba, C. Lex, S.H. Cho, W. Lee and S. R. Lee. 2006. Type Specimens Collected from Korea at the Herbarium of the University of Tokyo, vol. 1. Orom System, Seoul. 

  30. Suh, Y. B., J. H. Pak, M. G. Park, K. Heo, W. K. Paik, H. Ohba, C. H. Lee, S. H. Cho, W. Lee and S. R. Lee. 2008a. Type Specimens Collected from Korea at the Herbarium of the University of Tokyo, vol. 2. Orom System, Seoul. 

  31. Suh, Y. B., J. H. Pak, M. G. Park, K. Heo, W. K. Paik, H. Ohba, C. H. Lee, S. H. Cho, W. Lee and S. R. Lee. 2008b. Type Specimens Collected from Korea at the Herbarium of the University of Tokyo, vol. 3. Orom System, Seoul. 

  32. Suh, Y. B., J. H. Pak, K. Heo, W. K. Paik, C. H. Lee, Y. M. Lee, S. H. Cho and W. Lee. 2009a. Type Specimens Collected from Korea at the Herbarium of the University of Tokyo, vol. 4. Orom System, Seoul. 

  33. Suh, Y. B., J. H. Pak, K. Heo, W. K. Paik, C. H. Lee, Y. M. Lee, S. H. Cho and W. Lee. 2009b. Type Specimens Collected from Korea at the Herbarium of the University of Tokyo, vol. 5. Orom System, Seoul. 

  34. Tang, L., G. Shao, Z. Piao, L. Dai, M. A. Jenkins, S. Wang, G. Wu, J. Wu and J. Zhao. 2010. Forest degradation deepens around and within protected areas in East Asia. Biological Conservation 143: 1295-1298. 

  35.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2009. Exemplary Uses of Old Place Name. Retrieved July 1, 2013, from http://www.kostma.net/anArea/anDir.aspx?langen 

  36. Yim, C. E., T. G.Noh, E. H. Bae, C. M. Won, M. J. Jeon, J. H. Kim, H. J. Kim, T. S. Park, J. H. Yeom, S. J. Lee, S. G. Lee, J. A. Lim, Y. S. Cho, W. Y. Choi, J. E. Han and W. H. Huh. 2010a. Korean Type Specimens Deposited in Foreigh Herbaria and Museums (I).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37. Yim, C. E., T. G. Noh, E. H. Bae, C. M. Won, M. J. Jeon, J. H. Kim, H. J. Kim, T. S. Park, J. H. Yeom, S. J. Lee, S. G. Lee, J. A. Lim, Y. S. Cho, W. Y. Choi, J. E. Han and W. H. Huh. 2010b. Korean Type Specimens Deposited in Foreigh Herbaria and Museums (II).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