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쌀을 이용하여 제조한 술덧을 이용하여 상압다단식증류기, 상압단식증류기와 감압단식증류기를 이용하여 증류한 증류식소주의 주요 향기성분 및 증류 수율에 미치는 영향과 숙성된 증류주의 여과방법에 따른 주요 향기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증류에 사용된 술덧의 알코올 함량, 비중 및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각각 15%, 0.997, $10^{\circ}Brix$이었으며, 총산 함량 및 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0.25 및 0.15 g/100 mL로 증류주 제조에 적합하였다. 증류주의 향기성분 중 퓨젤오일은 i-amyl alcohol> i-butanol> n-propanol> n-butanol 순으로 검출되었다. 또한 전체 퓨젤오일 함량은 상압다단식증류기를 이용하여 증류하였을 때 가장 많았으며(6,676 mg/L), 증류기 종류에 관계없이 증류과정 중의 초류(4,884~4,931 mg/L)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에스테르 화합물은 ethyl acetate가 주된 에스테르 화합물이었으며 초류에서 1,727~2,203 ${\mu}L/L$, 본류에서 68~97 ${\mu}L/L$가 검출되었다. 전체 에스테르 화합물 함량은 상압다단식증류기를 이용하여 증류하였을 때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증류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초류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각 증류기 별로 증류한 증류주를 숙성시킨 후 활성탄 여과 및 냉동 여과를 시킨 다음 향기성분은 여과방법에 따른 변화가 미비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pirits by different distillation and filtrations. The contents of alcohol, total acids, and amino acids in rice mash were 15%, 0.25 g/100 mL, and 0.15 g/100 mL, respectively. The soluble content was $10^{\cir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전통방식으로 쌀을 원료로 하여 발효시킨 술덧을 이용하여 전통의 증류방식인 직화증류방식 및 감압증류방식으로 증류주의 품질 특성을 평가하고, 여과방법에 따른 증류주의 품질을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2)Total amino acids content described as glycin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압증류방식은 무엇인가? 스테인리스 재질의 농축기를 사용하여 직접 열을 가하지 않으면서 압력을 낮추어 증류하는 방식인 감압증류방식은 증류주의 가열취 및 탄내가 적고 휘발성이 큰 향기 성분이 유지된다는 장점을 가진다(9). 특히 상압증류방식으로 제조한 전통소주는 감압증류주에 비해 중고비점 성분이 많이 유출되고 탄취, 유취, 고미, 곡자취, 곡류취 등이 강해 점차 감압증류주로 대체되어 직화증류에 의한 상압증류기로 증류한 소주가 사라지고 있다(10).
증류주를 감압증류방식으로 만들때 장점은? 스테인리스 재질의 농축기를 사용하여 직접 열을 가하지 않으면서 압력을 낮추어 증류하는 방식인 감압증류방식은 증류주의 가열취 및 탄내가 적고 휘발성이 큰 향기 성분이 유지된다는 장점을 가진다(9). 특히 상압증류방식으로 제조한 전통소주는 감압증류주에 비해 중고비점 성분이 많이 유출되고 탄취, 유취, 고미, 곡자취, 곡류취 등이 강해 점차 감압증류주로 대체되어 직화증류에 의한 상압증류기로 증류한 소주가 사라지고 있다(10).
상압방식의 증류주의 단점은? 스테인리스 재질의 농축기를 사용하여 직접 열을 가하지 않으면서 압력을 낮추어 증류하는 방식인 감압증류방식은 증류주의 가열취 및 탄내가 적고 휘발성이 큰 향기 성분이 유지된다는 장점을 가진다(9). 특히 상압증류방식으로 제조한 전통소주는 감압증류주에 비해 중고비점 성분이 많이 유출되고 탄취, 유취, 고미, 곡자취, 곡류취 등이 강해 점차 감압증류주로 대체되어 직화증류에 의한 상압증류기로 증류한 소주가 사라지고 있다(10). 일본, 한국을 제외한 나라에서 제조하는 증류주는 대부분 상압방식의 증류주가 차지하고 있지만, 우리나라 전통방식의 상압증류주의 심층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Lee SR. 1986. Fermented foods of Korea.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 222-294. 

  2. Lee KH. 1989. The production and market status of distilled liquor. Korean J Dietary Culture 4: 301-309. 

  3. Jang JH. 1989. History of Korean tradition liquor. Korean J Dietary Culture 4: 271-274 

  4. Kim HR, Jo SJ, Lee SJ, Ahn BH. 2008.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of a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prepared from different ingredi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551-557. 

  5. Min YK, Yun HS, Jeong HS, Jang YS. 1992. Change in compositions of liquor fractions distilled from Samil-ju with various distilla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440-446. 

  6. In HY, Lee TS, Lee DS, Noh BS. 1995. Volatile components and fusel oils of sojues and mashes brewed by Korean traditional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35-240. 

  7. Park JS, Chung BW, Bae JO, Lee JH, Jung MY, Choi DS. 2010. Effect of sweet potato cultivars and koji types on general propertie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sweet potato soju.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468-474. 

  8. Jeong YJ, Seo JH. 2012. Volatile compounds of potato sojues produced by different distillation condition. Korean J Food Preserv 19: 433-437. 

  9. Choi SJ. 2004. The effect of distillers on the flavor components in distilled liquor.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0. In HY, Lee TS, Lee DS, Noh BS. 1995.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ju mash brewed by Korean traditional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34-240. 

  11. Cheong C, Cho SK. 2010. The research trend and technological improvement subject of Korean distilled spirit. KARC, Korea. p 1-123. 

  12. Korea National Tax Service Liquor Analysis Regulation. 2008. National Tax Service Technical Service Institute, Seoul, Korea. p 62-66. 

  13. Lee DS, Park HS, Kim K, Lee TS, Noh BS. 1994. Determination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flavor component in the Korean folk sojues using GC-M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750-758. 

  14. Park JH, Yeo SH, Choi JH, Jeong ST, Choi HS. 2012. Production of Makgeolli using rice treated with Gaeryang- Nuruk (for non-streaming process)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e 19: 144-152. 

  15. Ju MN, Hong SW, Kim KT, Yum SK, Kim GW, Chung KS. 2009. Preparation of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Yakju) by a protoplast fusion yeast strain utilizing starch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541-546. 

  16. Lee Y, Yi H, Hwang KT, Kim DH, Kim HJ, Jung CM, Choi YH. 2012. The qualities of Makgeolli (Korean rice wine) made with different rice cultivars, milling degrees of rice, and nuruk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785-1791. 

  17. Lee H, Lee TS, Noh BS. 2007.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he mashes of Takju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593-599. 

  18. Lee SM, Lee TS. 2000. Effect of roasted rice and defatted soybea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during fermentation. J Nat Sci 12: 71-79. 

  19. Song JY. 1998.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made of glutinous rice or barley. M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0. Kwon YH, Lee AR, Kim HR, Kim JH, Ahn BH. 2013. Quality properties of Makgeolli brewed with various rice and koji.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70-76. 

  21. Yi HC, Moon HS, Park JS, Jung JW, Hwang KT. 2010. Volatile compounds in liquor distilled from mash produced using Koji or Nuruk under reduced or atmospheric press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880-886. 

  22. Ito K, Yoshida K, Ishikawa T, Kobayashi S. 1990. Volatile compounds produced by the fungus Aspergillus oryzae in rice Koji and their changes during cultivation. J Ferment Bioeng 70: 169-172. 

  23. Yoshida K, Inahashi M, Nakamura K, Akiyama H, Nojiro K. 1994. Breeding of yeast strains having high malic acidproducing and low succinic acid-producing abilities. J Brew Soc Jpn 89: 647-652. 

  24. Nykanen L, Nykanen I. 1991. Distilled beverages. In Volatile compounds in foods and beverages. Maarse H, ed. Marcel Dekker, Inc., New York, NY, USA. p 547-580. 

  25. Ryu LH, Kim YM. 2002. Esterification of alcohols with organic acids during distilled sprit distillation. Korean J Food & Nutr 15: 295-299. 

  26. Cho HC, Kang SA, Choi SI, Cheong C.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uit spirits from a copper distillation apparat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743-752. 

  27. Meligard MC. 1982. Prediction of flavor differences between beers from their chemical composition. J Agric Food Chem 30: 1009-1017. 

  28. Lee TS, Choi JY. 2005.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Aspergillus kawachii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944-950. 

  29. Owaki K. 1967. A view of sake components: Carbonyl. J Soc Brew Jpn 62: 1097-11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