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누룩과 개량누룩을 이용한 상황버섯 첨가 전통 발효 증류주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pirits Brewed with Phellinus linteus by Different Nuruk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2, 2013년, pp.2042 - 2048  

김미숙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윤희 (한국양조연구소) ,  김인용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엄태길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성환 (중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남지 (혜전대학교 호텔제과제빵과) ,  유성률 (세명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정윤화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상황버섯을 활용한 발효주 및 증류주전통누룩개량누룩을 사용하여 제조하고 품질 특성을 알아보았다. 술덧의 알코올 함량은 개량누룩보다 전통누룩으로 발효에서 더 높았으며, 상황버섯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알코올 함량도 증가하였다. 술덧의 pH는 발효가 진행될수록 감소하였으며, 전통누룩과 개량누룩 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총 산 함량은 전통누룩 발효에 비하여 개량누룩 발효에서 더 낮았으며, 상황버섯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낮았다. 증류주의 향기성분 중 i-amyl alcohol이 주된 퓨젤유였으며, 전통누룩 발효에서보다 개량누룩 발효에서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i-butanol 함량은 전통누룩 발효에서보다 개량누룩 발효에서 더 높았다. 에스테르 화합물 중 ethyl acetate가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전통누룩 발효에서 상황버섯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ethyl acetate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pirits brewed with Phellinus linteus by different Nuruks. The spirits were produced by atmospheric distillation of rice mash added with 1~5% P. linteus and fermented by traditional and improved Nuruk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기능성 원료인 약용버섯을 활용한 양조주 개발에 대해서 연구되어지고 있으나(15-17), 이들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발효주를 이용하여 증류한 증류주에 대한 연구 개발은 미비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황버섯을 활용한 발효주 및 증류주를 전통누룩과 개량누룩을 사용하여 제조하고 품질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상황버섯을 활용한 발효주 및 증류주를 전통누룩과 개량누룩을 사용하여 제조하고 품질 특성을 알아보았다. 술덧의 알코올 함량은 개량누룩보다 전통누룩으로 발효에서 더 높았으며, 상황버섯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알코올 함량도 증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주세법상 주류는 어떻게 규정되는가? 우리나라의 주세법상 주류는 주정과 알코올분 1도 이상의 음료로 규정하고 있으며, 주정, 발효주류, 증류주류, 기타주류로 구분한다(1). 양조주는 곡류 또는 과일 등을 효모를 이용하여 알코올 발효시킨 것을 말하며 맥주, 와인, 막걸리, 청주 등이 대표적인 양조주이다.
대표적인 양조주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우리나라의 주세법상 주류는 주정과 알코올분 1도 이상의 음료로 규정하고 있으며, 주정, 발효주류, 증류주류, 기타주류로 구분한다(1). 양조주는 곡류 또는 과일 등을 효모를 이용하여 알코올 발효시킨 것을 말하며 맥주, 와인, 막걸리, 청주 등이 대표적인 양조주이다. 증류주는 발효가 완료된 양조주 또는 술덧을 증류하여 알코올 도수를 높인 주류를 말하며 곡류 발효시킨 술덧을 증류하여 얻어지는 위스키, 과일을 발효시킨 술덧을 증류한 브랜디 그리고 우리나라의 전통 소주 등이 여기에 속한다.
균류가 번식하여 만들어지는 전통 누룩은 어떤 장단점이 있는가? 누룩은 곡류를 이용하여 자연 접종된 곰팡이와 효모 및 젖산균 등의 균류가 번식하여 각종 효소 및 효모를 다량 함유하는 발효 starter로 이용되고 있으며, 제조방법에 따라 자연 상태에서 존재하는 곰팡이, 효모, 세균류 등이 번식하여 만들어지는 전통누룩과 살균한 전분질 원료에 Aspaergillus kawachi, Aspergillus orizae 등의 배양균을 접종하여 만드는 개량 누룩으로 분류된다(10). 전통누룩은 누룩에 존재하는 다양한 미생물들이 당질분해와 동시에 알코올 발효를 진행하여 누룩의 종류에 따라 발효주의 맛과 향이 다양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발효과정에 잡균오염에 의해서 발효주의 산패가 진행될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에 비하여 개량 누룩은 담금 시에 전분질을 분해하는 효소원으로만 이용이 되며, 알코올 발효를 진행하기 위하여 효모를 첨가하여야만 술덧의 안전한 발효 및 잡균의 오염이 방지되어 항상 일정한 품질의 발효주를 얻을 수 있다(11,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Implementing laws of Liquor Tax. 2012. National Tax Law, Korea. 

  2. Jeong DH. 1988. Alcoholic beverages. Food Science and Industry 21: 38-41. 

  3. Yu TJ. 1984. The development method of Korean traditional liquors. Liquor Industry 4: 7-10. 

  4. Jang JH. 1987. The Korean traditional Yakju. Liquor Industry 7: 6-16. 

  5. Jang JH. 1989. The history of Korean alcoholic liquors. Korean J Dietary Culture 4: 271-274. 

  6. Lee DS, Park HS, Kim K, Lee TS, Noh BS. 1994. Determination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flavour components in the Korean folk sojues using GC-M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750-758. 

  7. In HY, Lee TS, Lee DS, Noh BS. 1995. Volatile components and fusel oils of sojues and mashes brewed by Korean traditional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35-240. 

  8. Bae IY, Yoon EJ, Woo JM, Kim JS, Lee HG, Yang CB. 2001. The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wine using the fruits of Optuntia ficus-indica var. saboten-characteristics of mashes and sojue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5: 11-17. 

  9. Han EH, Lee TS, Noh BS, Lee DS. 1997. Quality characteristic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55-562. 

  10. Woo SM, Shin JS, Seong JH, Yeo SH, Choi HJ, Kim TY, Jeong Y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Takju by different Nuruk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301-307. 

  11. Yu TS, Kim J, Kim HS, Hyun JS, Ha HP, Park MG. 1998. Bibliographical study on microorganism of traditional Korean Nuruk (since 1945).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789-799. 

  12. Kim CJ, Kim KC, Kim DY, Oh MJ, Lee SK, Lee SO, Chung ST, Chung JH. 1990. Fermentation technology. Sunjinmunwhasa, Seoul, Korea. p 79-103. 

  13. Lee KH, Kwon HJ, Chun SS, Kim JH, Cho YJ, Cha WS. 2006.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Phellinus linteu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298-303. 

  14. Zhu T, Kim SH, Chen CY. 2008. A medicinal mushroom: Phellinus linteus. Curr Med Chem 15: 1330-1335. 

  15. Ghorai S, Prosad B, Verma D, Chowdhury S, Mukherjee S, Khowala S. 2009. Fungal biotechnology in food and feed processing. Food Res Intern 42: 557-587. 

  16. Okamura T, Ogata T, Minamimoto N, Takeno T, Noda H, Fukuda S, Ohsugi M. 2001. Characteristics of wine produced by mushroom fermentation. Biosci Biotechnol Biochem 65: 1596-1600. 

  17. Okamura T, Ogata T, Toyoda M, Tanaka M, Minamimoto N, Takeno T, Noda H, Fukuda S, Ohsugi M. 2000. Production of sake by mushroom fermentation. Mushroom Sci Biotechnol 8: 109-114. 

  18. Cho HC, Kang SA, Choi SI, Cheong C. 2013. Quality characteristic of fruit spirits from a copper distillation apparat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743-752. 

  19. Korea National Tax Service Liquor Analysis Regulation. 2008. National Tax Service Technical Service Institute, Korea. p 62-66. 

  20. Lee SJ, Ahn BH. 2010. Sensory profiling of rice wine made with Nuruks using different ingredi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119-123. 

  21. Park HS. 2011.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application of fermented brown rice with Fomitella fraxinea and Phellinus linteus mycelia. PhD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Iksan, Korea. 

  22. Lee HH, Kim IJ, Kang YH, Lee JO, Ryu CH. 2010. Development of black garlic Yakju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69-74. 

  23. Song JC, Park HJ, Shin WC. 2006. Suppression of solid matters precipitation of Takju and its quality improvement by carrageenan. Korean J Food & Nutr 19: 288-295. 

  24. Ji SH, Han WC, Lee JC, Kim BW, Jang KH. 2009.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oru wine fermented wit Rose rugosa Thun.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186-190. 

  25. Jin TY, Wang MH, Yin Y, Eun JB. 2008. Effect of Citrus junos peel on the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raditional rice win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76-82. 

  26. Jung JH, Jung ST. 1987. Odor threshold and agreeability of aroma components of Yakju.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30: 272-277. 

  27. Konigsbacher KS, Donworth ME. 1969. Beverage flavors. In Flavor Chemistry. 2nd ed.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USA. p 174-189. 

  28. Han EH, Lee TS, Noh BS, Lee DS. 1997.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63-570. 

  29. Lee HC, Moon SH, Park JS, Jung JW, Hwang KT. 2010. Volatile compounds in liquor distilled from mash produced using Koji or Nuruk under reduced or atmospheric press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880-886. 

  30. Choi SH, Jang EY, Choi BT, Im SI, Jeong YK. 2008. Analysis and comparison of volatile components in rice wine fermented with Phellinus linteus mycelium and regular commercial rice wine. Food Quality Culture 2: 32-36. 

  31. Korea food additives code. 201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 27-5-27-9. 

  32. Ryu LH, Kim YM. 2002. Esterification of alcohols with organic acids during distilled spirit distillation. Korean J Food & Nutr 15: 295-299. 

  33. Lee JS, Lee TS, Choi JY, Lee DS. 1996.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nonglutinous rice Takju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Agric Chem Soc 39: 249-254. 

  34. Lee TS, Choi JY. 1998. Volatile components in Takju fermented with mash glutinous rice and barley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638-643. 

  35. Owaki K. 1967. A view of sake component: Carbonyl. J Soc Brew Japan 62: 1098-11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