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나노다이아몬드 seed 입자의 열처리에 의한 핵형성 밀도 향상
Enhanced nucleation density by heat treatment of nanodiamond seed particles 원문보기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v.23 no.6, 2013년, pp.291 - 295  

박종천 (부산대학교 나노융합기술학과) ,  정옥근 (부산대학교 나노융합기술학과) ,  손빛나 (부산대학교 나노메카트로닉스공학과) ,  조현 (부산대학교 나노메카트로닉스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화 및 수소 분위기 열처리를 통한 화학적 표면 개질로 나노다이아몬드 seed 입자의 응집성 완화 및 초미세나노결정질 다이아몬드 (UNCD) 박막 증착을 위한 핵형성 밀도 향상을 확보하였다. 열처리에 의해 나노다이아몬드 seed 입자표면 작용기가 개질되었고, 제타 전위도 증가하였다. 또한, 응집체 평균 크기가 약 $2{\mu}m$에서 ~55 nm로 크게 감소하였다. $600^{\circ}C$, 수소 열처리된 seed 입자로 seeding 한 Si 기판으로부터 열처리하지 않은 seed 입자에 비해 현저하게 향상된 ${\sim}2.7{\times}10^{11}cm^{-2}$의 매우 높은 핵형성 밀도를 확보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rface chemical modification via air and hydrogen heat treatment was found to relieve the aggregation of nanodiamond (ND) seed particles and lead to a significantly enhanced nucleation density for ultrananocrystalline diamond (UNCD) film growth. After heat treatment in air and hydrogen, modific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나노다이아몬드 입자 표면의 불소화 처리, CH4/O2 플라즈마 또는 수소 플라즈마 처리 등의 화학적 표면 개질 기술들을 통해서도 나노다이아몬드 입자의 분산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15-17]. 본 연구에서는 폭발법으로 제조된 나노다이아몬드 seed 입자들을 산화 및 수소 분위기 하에서 열처리 하는 방법을 통하여 나노다이아몬드 입자의 화학적 표면 개질을 시도하였다. 열처리 후 나노다이아몬드 입자 표면의 화학적 작용기(chemical functionalities) 변화를 확인하였고, 응집체의 크기가 현저히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미세나노결정질 다이아몬드박막이란? 초미세나노결정질 다이아몬드(ultrananocrystalline diamond, UNCD) 박막은 나노미터 스케일의 매우 작은 크기의 입자로 구성된 미세구조를 가진 다이아몬드 박막을 말한다. UNCD 박막은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각진 입자(faceted grain) 형상을 가지는 마이크로결정질 다이아몬드(microcrystalline diamond, MCD)와 달리 매우 평탄한 표면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결정질 다이아몬드 박막에 비해 더 낮은 온도에서 증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얇은 박막의 형태로부터 천연 다이아몬드의 고유한 특성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UNCD 박막는 어떤 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가? UNCD 박막은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각진 입자(faceted grain) 형상을 가지는 마이크로결정질 다이아몬드(microcrystalline diamond, MCD)와 달리 매우 평탄한 표면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결정질 다이아몬드 박막에 비해 더 낮은 온도에서 증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얇은 박막의 형태로부터 천연 다이아몬드의 고유한 특성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우수한 기계적, 화학적, 전기적 특성을 가져 초저마모 보호코팅, 전기화학적 전극재료, MEMS/NEMS 소자 및 바이오 소자 등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이 가능하다[1-5].
마이크로결정질 다이아몬드 박막과 비교하여 UNCD 박막의 장점은? 초미세나노결정질 다이아몬드(ultrananocrystalline diamond, UNCD) 박막은 나노미터 스케일의 매우 작은 크기의 입자로 구성된 미세구조를 가진 다이아몬드 박막을 말한다. UNCD 박막은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각진 입자(faceted grain) 형상을 가지는 마이크로결정질 다이아몬드(microcrystalline diamond, MCD)와 달리 매우 평탄한 표면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결정질 다이아몬드 박막에 비해 더 낮은 온도에서 증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얇은 박막의 형태로부터 천연 다이아몬드의 고유한 특성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우수한 기계적, 화학적, 전기적 특성을 가져 초저마모 보호코팅, 전기화학적 전극재료, MEMS/NEMS 소자 및 바이오 소자 등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이 가능하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J. Hees, N. Heidrich, W. Pletschen, R.E. Sah, M. Wolfer, O.A. Williams, V. Lebedev, C.E. Nebel and O. Ambacher, "Piezoelectric actuated micro-resonators based on the growth of diamond on aluminum nitride thin films", Nanotechnology 24 (2013) 025601. 

  2. N. Moldovan, O. Auciello, A.V. Sumant, J.A. Carlisle, R. Divan, D.M. Gruen, A.R. Krauss, D.C. Mancini, A. Jayatissa and J. Tucek, "Micromachining of ultrananocrystalline diamond", Proc. SPIE. 4557 (2001) 288. 

  3. M.W. Geis, N.N. Efremow, K.E. Krohn, J.C. Twichell, T.M. Lyszczarz, R. Kalish, J.A. Greer and M.D. Tabat, "A new surface electron-emission mechanism in diamond cathode", Nature 393 (1998) 431. 

  4. J. Cvacka, V. Quaiserova, J.W. Park, Y. Show, A. Muck, Jr. and G.M. Swain, "Boron-doped diamond microelectrodes for use in capillary electrophoresis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Anal. Chem. 75 (2003) 2678. 

  5. O. Auciello, A.V. Sumant, "Status review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of ultrananocrystalline diamond (UNCD) films and application to multifunctional devices", Diamond Relat. Mater. 19 (2010) 699. 

  6. O.A. Williams, "Nanocrystalline diamond", Diamond Relat. Mater. 20 (2011) 621. 

  7. J.C. Park, O.G. Jeong, S.Y. Kim, S.J. Park, Y-.H. Yun and Hyun Cho, "Silicon surface texturing for enhanced nanocrystalline diamond seeding efficiency", J. Korean Cryst. Growth Cryst. Technol. 23 (2013) 86. 

  8. T.G. Kim, Y.H. Shin, H. Cho and J.K. Kim, "Synthesis of transparent diamond-like carbon film on the glass by radio-frequency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J. Korean Cryst. Growth Cryst. Technol. 22 (2012) 190. 

  9. V.Y. Dolmatov, "Detonation synthesis ultradispersed diamond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Russ. Chem. Rev. 70 (2008) 607. 

  10. K.V. Volkov, V.V. Danilenko and V.I. Elin, "Synthesis of diamond from the carbon in the detonation products of explosives", Fiz. Goreniya Vzryva 26 (1990) 123. 

  11. E. Osawa, in: A.V.D. Gruen, O. Shenderova (eds.), Synthesi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Ultrananocrystalline Diamond p. 231-240 (Springer, 2005). 

  12. A. Krueger, "The structure and reactivity of nanoscale diamond", J. Mater. Chem. 18 (2008) 1485. 

  13. M. Ozawa, M. Inaguma, M. Takahashi, F. Kataoka, K. Krueger and E. Osawa, "Preparation and behavior of brownish, clear nanodiamond colloids", Adv. Mater. 19 (2007) 1201. 

  14. A. Krueger, M. Ozawa, G. Jarre, Y. Liang, J. Stegk and L. Lu, "Deagglomeration and functionalisation of detonation diamond", Phys. Status Solidi A 204 (2007) 2881. 

  15. Y. Liu, Z. Gu, J.L. Margrave and V.N. Khabashesku, "Functionalization of nanoscale diamond powder:fluoro-, alkyl-, amino-, and amino acid-nanodiamond derivatives", Chem. Mater. 16 (2004) 3924. 

  16. Q. Yu, Y.J. Kim and H. Ma, "Plasma treatment of diamond nanoparticles for dispersion improvement in water", Appl. Phys. Lett. 88 (2006) 231503. 

  17. J.C. Arnault, T. Petit, H. Girard, A. Chavanne, C. Gesset, M. Sennour and M. Chaigneau, "Surface chemical modifications and surface reactivity of nanodiamonds hydrogenated by CVD plasma", Phys. Chem. Chem. Phys. 13 (2011) 11481. 

  18. H.P. Boehm, "Surface oxides on carbon and their analysis: a critical assessment", Carbon 40 (2002) 145. 

  19. O.A. Williams, J. Hees, C. Dieker, W. Jager, L. Kirste and C.E. Nebel, "Size-dependent reactivity of diamond nanoparticles", ACS Nano 4 (2010) 4824. 

  20. C. Leon, J.M. Solar, V. Calemma and L.R. Radovic, "Evidence for the protonation of basal plane sites on carbon", Carbon 30 (1992) 79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