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본 고에서는 n-Screen을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들이 활용하는 대표적인 비즈니스 모델의 패턴을 살펴보고, 통신/방송 사업자, 단말 사업자, 서비스 사업자 및 OS 사업자별로 어떤 부분을 특화하여 비즈니스모델을 구성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그 동안 n-Screen에 대한 기술적 측면과 서비스 측면에 대한 논의는 많이 있어왔지만 본격적으로 이와 관련된 비즈니스모델 측면의 검토를 했다는 것에 가치가 존재한다. 본 연구를 위해 비즈니스모델 젠1)에 포함된 툴킷 중 하나인 4by4 비즈니스 모델 매트릭스를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n-Screen을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들이 주로 상품 측면에서는 번들링, 교차보조금 방식을 채택하고 있고, 채널 측면에서는 채널통합과 채널분화, 수익모델 측면에서는 프리미엄과 구독을 주로 활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각 사업자별로 조금씩 다르게 특화되어 활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차이를 유발하는 가장 큰 요인은 각 사업자들의 근거하고 있는 주요 수익원과 핵심역량의 차이에 기인한다. 결론적으로 n-Screen을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기업들은 먼저 비즈니스 모델을 이해하고 자사의 고유역량을 극대화하여 수익원을 강화하고, 부가 수익을 창출하는 방향으로 기본전략을 잡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에 n-Screen을 사업에 활용하던 기업이나 신규로 n-Screen 사업을 시작하려고 하는 기업에게 비즈니스모델 측면에서의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업을 기획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우선 논의를 본격화하기 위하여 본 고에서는 ‘n-Screen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클라우드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n-Screen을 통해 정보와 콘텐트가 공유되고 표현되는 서비스로 정의하고자 한다.
위의 구분은 콘텐트가 스크린상에서 표현되는 목적에 따른 분류인데 이제 각각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n-Screen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 n-Screen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란 무엇인가? |
클라우드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n-Screen을 통해 정보와 콘텐트가 공유되고 표현되는 서비 스
우선 논의를 본격화하기 위하여 본 고에서는 ‘n-Screen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클라우드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n-Screen을 통해 정보와 콘텐트가 공유되고 표현되는 서비 스로 정의하고자 한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와 TV에 이르기 까지 정보 소비를 위한 기기들이 확대되면서 n-Screen은 자연 스러운 현상이 되어 이제는 n-Screen이 아닌 것을 구분해 내는 것이 더 어려워지고 있다. |
비즈니스모델의 핵심 구성요소 | 비즈니스모델의 핵심 구성요소에는 어떤것이 있는가? |
고객, 상품, 채널, 수익모델등이 있다.
여기서 n-Screen을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의 비즈니스모델 패턴을 뽑아내기 위하여 간단한 매트릭스를 활용하도록 하겠다. 비즈니스모델의 핵심 구성요소에는 고객, 상품, 채널, 수익모델등이 있다. 이들 각각을 더하고, 빼고, 곱하고, 나누는 변화를 통해 나올 수 있는 각각의 패턴을 제시하고 있다. |
n-Screen 관점에서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유형 | n-Screen 관점에서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유형을 단순화한 세가지 방식은 각각 무엇을 의미하는가? |
첫 번째 콘텐트 미러링(Contents Mirroring)은 동일한 콘텐 트나 정보를 여러 스크린 단말 상에서 공유하고 재현하는 데 중점을 둔 것이다. 스마트폰을 통해 에버노트에 올린 사진, 글 등의 정보를 PC나 태블릿에서도 동일하게 볼 수 있는 이유는 동기화를 통한 미러링의 일종이다. 앞서의 여섯 가지 패턴을 기준 으로 보면 Coherence, Synchronization, Device Shifting이 모두 해당 범주에 들어온다.두 번째 보완재(Complements)는 서로 다른 콘텐트들이 스크린 단말 위에 올라온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어 상호 보완적 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스크래블 보드 게임에서 게임 진행을 위해 공유되는 화면(아이패드)과 각 사용자가 보고 있는 화면 (아이폰)이 다른 정보를 보여주는 것이 예가 되겠다. TV로 방송 중인 내용과 관련된 설문이나 TV가이드 정보 등이 연동 되는 것도 해당될 수 있다. 앞서의 여섯 가지 패턴 중에서는 Complementarity, Simultaneity가 이에 포함된다.세번째로 스크린 공유(Screen Sharing)의 경우는 하나의 콘텐트를 각 스크린에 맞게 분할하여 표현하는 것이다. 멀리서 보면 전체적으로는 하나의 콘텐트지만 여러 스크린을 통해 분할된 모습으로 보여진다. 이는 흔히 볼 수 있는 다중 스크린을 이용한 비디오아트 영역이 n-Screen 서비스 영역으로 손쉽게 넘어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MIT 대학의 점보트론 (Jumbotron)이 사례가 될 수 있고, 여섯 개의 패턴중에서는 Screen Sharing이 이에 해당한다.
첫 번째 콘텐트 미러링(Contents Mirroring)은 동일한 콘텐 트나 정보를 여러 스크린 단말 상에서 공유하고 재현하는 데 중점을 둔 것이다. 스마트폰을 통해 에버노트에 올린 사진, 글 등의 정보를 PC나 태블릿에서도 동일하게 볼 수 있는 이유는 동기화를 통한 미러링의 일종이다. 앞서의 여섯 가지 패턴을 기준 으로 보면 Coherence, Synchronization, Device Shifting이 모두 해당 범주에 들어온다. 두 번째 보완재(Complements)는 서로 다른 콘텐트들이 스크린 단말 위에 올라온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어 상호 보완적 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스크래블 보드 게임에서 게임 진행을 위해 공유되는 화면(아이패드)과 각 사용자가 보고 있는 화면 (아이폰)이 다른 정보를 보여주는 것이 예가 되겠다. TV로 방송 중인 내용과 관련된 설문이나 TV가이드 정보 등이 연동 되는 것도 해당될 수 있다. 앞서의 여섯 가지 패턴 중에서는 Complementarity, Simultaneity가 이에 포함된다. 세번째로 스크린 공유(Screen Sharing)의 경우는 하나의 콘텐트를 각 스크린에 맞게 분할하여 표현하는 것이다. 멀리서 보면 전체적으로는 하나의 콘텐트지만 여러 스크린을 통해 분할된 모습으로 보여진다. 이는 흔히 볼 수 있는 다중 스크린을 이용한 비디오아트 영역이 n-Screen 서비스 영역으로 손쉽게 넘어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MIT 대학의 점보트론 (Jumbotron)이 사례가 될 수 있고, 여섯 개의 패턴중에서는 Screen Sharing이 이에 해당한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