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남 지역의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병 발생 양상

Pattern of the Occurrence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in Jeonnam Province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19 no.4, 2013년, pp.273 - 280  

고숙주 (전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소) ,  강범용 (전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소) ,  최덕수 (전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소) ,  김도익 (전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소) ,  이관석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김창석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최홍수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남 지역에서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병은 나주, 순천, 영광, 신안 등 8개 시군에서 발생되었으며, 영광 지역이 가장 심하였다. 시설재배에서는 주로 고추, 피망, 토마토에 발생하였고, 노지재배에서는 고추의 피해가 컸다. 고추 육묘장에서 Tomato spotted wilt virus(TSWV) 발생을 조사한 결과, 나주, 순천, 장흥 지역에서 발병주율은 1.1-30%로 조사되었다. TSWV은 일반적으로 6월 상순에 초발하여 8월까지 지속적으로 발병이 증가하였으나, TSWV에 감염된 묘가 정식된 경우 정식 초기인 5월 상순부터 발생을 시작하였다. 시설재배지에서 꽃노랑총채벌레가 대만총채벌레보다 황색점착트랩에 높은 밀도로 채집되었고, 노지고추에서는 대만총채벌레가 꽃노랑총채벌레보다 우점하였다. 동절기 휴경기에 하우스 내와 측창 사이의 잡초를 완전히 제거한 경우에는 방치한 포장에 비해 바이러스 초발일이 1개월 정도 지연되는 경향을 보였고, 측창쪽에서 가까운 열이 바이러스 발생율이 높았고 측창에서 멀어질수록 발생율이 낮아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 was occurred at 8 areas including Naju, Suncheon, Younggwang, Youngam, and Shinan in Jeonnam province and the crops of Younggwang were severely damaged by TSWV. The hot pepper (Capsicum annuum), bell pepper (Capsicum annuum v ar. angulosum) and tomato (Solanum lyco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전남 지역에서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병 발생 상황과 농가 단위의 확산 패턴 분석하였고, 바이러스 발생지에서 총채벌레 밀도와 전염원를 조사하여, 최종적으로 확산 방지 기술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코자 한다
  • 2011년은 나주, 영광, 순천, 신안에서는 발생이 확인되지 않았고, 장흥 1개소에서 추가로 발생이 확인되었으며 발병주율은 30%로 높았다(Table 3). 연도별로 바이러스가 발병한 육묘 장수 가 많지는 않으나 발생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육묘장에서 고추 묘종이 여러 지역으로 공급되면서 발병이 확산되고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SWV의 가장 중요한 전염원은?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는 호주에서 1919년 Brittlebank가 토마토에서 최초로 보고하였으며(Brittlebank, 1919), 분류학적으로는 Tospovirus, Bunyaviridae에 속하며, 84과 1,000여 종이상의 식물을 가해하는 기주 범위가 넓은 바이러스이다(Parrella 등, 2003; Van Regenmortal 등, 2000). TSWV는 순환형 및 증식형 방법으로 9종의 총채벌레에 의해 전염되며, 꽃노랑총채벌레가 가장 중요한 전염원으로 알려져 있다(Chatzivassiliou 등, 1999; Jones, 2005; Ullman 등, 1993; Wijkamp과 Peters, 1993; Wijkamp 등, 1993, 1995). TSWV는 전 세계적으로 큰 피해를 초래하는 바이러스로 미국에서 토마토와 상추에서 50−90%의 생산량 감소되며(Cho 등, 1986, 1989), 브라질은 고추에서 50−70%(Boiteux와 Giodano, 1993), 유럽 여러 국가에서도 잠두, 상추, 고추에서 재배 지역에 따라서 작물 재배를 포기할 정도로 피해가 매우 크고,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도 토마토 피해가 80−90%로(Van Zilj 등, 1986), 터키에서는 토마토에 연 간 90만 불의 경제적 손실을 입힌다(Sevik과 Arli-sokmen, 2012).
다른 나라에서 TSWV로 입은 피해의 예시는? TSWV는 순환형 및 증식형 방법으로 9종의 총채벌레에 의해 전염되며, 꽃노랑총채벌레가 가장 중요한 전염원으로 알려져 있다(Chatzivassiliou 등, 1999; Jones, 2005; Ullman 등, 1993; Wijkamp과 Peters, 1993; Wijkamp 등, 1993, 1995). TSWV는 전 세계적으로 큰 피해를 초래하는 바이러스로 미국에서 토마토와 상추에서 50−90%의 생산량 감소되며(Cho 등, 1986, 1989), 브라질은 고추에서 50−70%(Boiteux와 Giodano, 1993), 유럽 여러 국가에서도 잠두, 상추, 고추에서 재배 지역에 따라서 작물 재배를 포기할 정도로 피해가 매우 크고,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도 토마토 피해가 80−90%로(Van Zilj 등, 1986), 터키에서는 토마토에 연 간 90만 불의 경제적 손실을 입힌다(Sevik과 Arli-sokmen, 2012). 우리나라의 경우 과채류인 고추와 토마토에서 수확량이 감소하고, 국화에서는 절화 생산이 불가하다(Cho등, 2005; Chung 등, 2006).
국내에서 TSWV로 입은 피해는 무엇인가?  TSWV는 전 세계적으로 큰 피해를 초래하는 바이러스로 미국에서 토마토와 상추에서 50−90%의 생산량 감소되며(Cho 등, 1986, 1989), 브라질은 고추에서 50−70%(Boiteux와 Giodano, 1993), 유럽 여러 국가에서도 잠두, 상추, 고추에서 재배 지역에 따라서 작물 재배를 포기할 정도로 피해가 매우 크고,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도 토마토 피해가 80−90%로(Van Zilj 등, 1986), 터키에서는 토마토에 연 간 90만 불의 경제적 손실을 입힌다(Sevik과 Arli-sokmen, 2012). 우리나라의 경우 과채류인 고추와 토마토에서 수확량이 감소하고, 국화에서는 절화 생산이 불가하다(Cho등, 2005; Chung 등,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hn, S. B., Kim, I. S., Lee, M. R., Ku, D. S., Kwon, G. M. and Park, Y. M. 1998. Distribution and kinds of pests on vegetables. In: Pest Investigation Reports on Crops, ed. by NIAST, pp. 435-485, Suwon. 

  2. Arli-Sokmen, M. and Sevik, M. A. 2013. Spread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from an internal virus source by thrips species in Samsun, Turkey. Phytoparasitica 41: 159-168. 

  3. Boiteux, L. S. and Giordano, L. B. 1993. Genetic basis of resistance against two Tospovirus species in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Euphytica 71: 151-154. 

  4. Brittlebank, C. C. 1919. Tomato diseases. J. Agricul. 17: 231-235. 

  5. Chatzivassilious, E., Livieratos I. C., Katis, N., Avgelis, A. and Lykouressis, D. 1996. Occurrence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in vegetable and ornamentals in Greece. Acta Hort. 431: 44-50. 

  6. Chatzivassiliou, E. K., Nagata, T., Katis, N. I. and Peters, D. 1999. Transmission of Tomato spotted wilt tospovirus by Thrips tabaci populations originating from leek. Plant Pathol. 48:700-706. 

  7. Chatzivassiliou, E. K., Peters, D. and Katis, N. I. 2007. The role of weeds in the spread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by Thrips tabaci (Thysanoptera: Thripidae) in tobacco crops. J. Phytopathol. 155: 699-705. 

  8. Cho, J. D., Kim, J. S., Kim, J. Y., Choi, G. S. and Chung, B. N. 2009.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nucleotide relationships in Korean Tomato spotted wilt virus isolates. Plant Pathology J. 25: 26-37. 

  9. Cho, J. D., Kim, J. S., Kim, J. Y., Kim, J. H., Lee, S. H., Choi, G. S., Kim, H. R. and Chung, B. N. 2005. Occurrence and symptoms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on vegetables in Korea (I). Res. Plant Dis. 11: 213-216. (In Korean) 

  10. Cho, J. D., Kim, J. Y., Kim, J. S., Choi, H. S. and Choi, G. S. 2010. Occurrence and symptoms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on egg plant, whole radish and sugar loaf in Korea. Res. Plant Dis. 16: 232-237. (In Korean) 

  11. Cho, J. J., Mau, R. F. L., German, T. L., Hatman, R. W., Yudin, L. S., Gonsalves, D. and Provvidneti, R. 1989.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management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in Hawaii. Plant Dis. 73: 375-383. 

  12. Cho, J. J., Mau, R. F. L., Gonsalves, D. and Mitchell, W. C. 1986. Reservoir weed host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Plant Dis. 70: 1014-1017. 

  13. Choi, H. S., Lee, S. H., Kim, M. K., Kwak, H. R., Kim, J. S., Cho, J. D. and Choi, G. S. 2010. Occurrence of virus diseases on major crops in 2009. Res. Plant Dis. 16: 1-9. (In Korean) 

  14. Chung B. N., Park, H. S., Jung, J. A. and Kim, J. S. 2006. Occurrence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in chrysanthemum (Dendranthema grandiflorum) in Korea. Plant Pathology J. 22: 230-234. 

  15. Clack, M. F. and Adams, A. N. 1977. Characteristics of the microplate method of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for the detection of plant viruses. J. Gen. Virol. 34: 475-483. 

  16. Coutts, B. A., Thomas-Carroll, M. L. and Jones, R. A. C. 2004. Patterns of spread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in field crops of lettuce and pepper: spatial dynamics and validation of control measures. Ann. Appl. Biol. 146: 95-103. 

  17. Gitaitis, R. D., Dowler, C. C. and Chalfant, R. B. 1998. Epidemiology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in pepper and tomato in southern Georgia. Plant Dis. 82: 752-756. 

  18. Groves, R. L., Walgenbach, J. F., Moyer, J. W. and Kennedy, G. G. 2002. The role of weeds hosts and tobacco thrips, Frankliniella fusca, in the epidemiology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Plant Dis. 86: 573-O582. 

  19. Jones, D. R. 2005. Plant viruses transmitted by thrips. Eur. J. Plant Pathol. 113: 119-157. 

  20. Kim, J. H., Byeon, Y. W., Choi, M. Y., Ji, C. W., Heo, S. Y., Park, E. M. and Kang, E. J. 2012. Control efficacy of natural enemies on four arthropod pests found in greenhouse hot pepper. Korean J. Appl. Entomol. 51: 83-90. (In Korean) 

  21. Kim, J. H., Choi, G. S., Kim, J. S. and Choi, J. K. 2004. Characteristics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from paprika in Korea. Plant Pathology J. 20: 297-301. 

  22. Kim, J. S., Cho, J. D., Kim, J. Y., Lee, S. H., Chung, B. N. and Kim, J. H. 2006. Occurrence and symptoms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on ornamental plants in Korea. Res. Plant Dis. 12:148-151. (In Korean) 

  23. Kim, J. S., Lee, S. H., Choi, H. S., Choi, G. S., Cho, J. D. and Chung, B. N. 2008. Survey of viral diseases occurrence on major crops in 2007. Res. Plant Dis. 14: 1-9. (In Korean) 

  24. Kim, J. Y., Cho, J. D. J., Kim, J. S., Hong, S. S., Lee, J. G., Choi, G. S. and Lim, J. W. 2009. Reduction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on table tomatoes in greenhouses by soil fumigation. Plant Pathology J. 25: 151-156. 

  25. Moon, H. C., Cho, I. K., Im, J. R., Goh, B. R., Kim, D. H. and Hwang, C. Y. 2006. Seasonal occurrence and damage by thrips on open red pepper in Jeonbuk Province. Korean J. Appl. Entomol. 45: 9-13. (In Korean) 

  26. Parrella, G., Gognalons, P., Gebre-Selassie, K., Vovlas, C. and Marchoux, G. 2003. An update of the host range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J. Plant Pathol. 85: 227-0264. 

  27. Sevik, M. A. and Arli-Sokmen, M. 2012. Estimation of the effect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 infection on some yield components of tomato. Phytoparasitica 40: 87-93. 

  28. Ullman, D. E., German, T. L., Sherwood, J. L.,Westcot, D. M. and Cantone, F. A. 1993. Tospovirus replication in insect vector cells: Immunocytochemical evidence that the nonstructural protein encoded by the S RNA of Tomato spotted wilt tospovirus is present in thrips vector cells. Phytopathology 83: 456-0463. 

  29. Van Regenmortel, M. H. V., Fauquet, C. M., Bishop, D. H. L., Carstens, E. B. Estes, M. K., Lemon, S. M., Manioff, J., Mayo, M. A. McGeich, D. J., Pringle, C. R. and Wickner, R. B. 2000. Virus Taxonomy: Classification and Nomenclature of Virus. Seventh Report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San Diego: Academic Press, NY. 

  30. Van Zilj, J. J. B., Bosch, S. E. and Coetzee, C. P. J. 1986. Breeding tomatoes for processing in South Africa. Acta Hort. 194: 69-75. 

  31. Wijkamp, I. and Peters, D. 1993. Determination of the median latent period of two tospoviruses in Frankliniella occidentalis using a novel leaf disk assay. Phytopathology 82: 986-991. 

  32. Wijkamp, I., Van Lent, J., Koremelink, R., Goldbach, R. and Peters, D. 1993. Multiplication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in its insect vector, Frankliniella occidentalis. J. Gen. Virol. 74: 341-349. 

  33. Wijkamp, I., Alarza, N., Goldbach, R. and Peters, D. 1995. Distinct levels of specificity in thrips transmission of tospoviruses. Phytopathology 85: 1069-11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