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무직 근로자를 위한 사회인지이론 기반 걷기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Walking Program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for Office Worker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5 no.6, 2013년, pp.712 - 724  

최혜영 (동명대학교 간호학과) ,  양숙자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walking program for office workers in terms of social cognitive theory, walking activities and physiological indexe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sample consisted of 50 office worker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걷기 프로그램의 목표는 대상자의 걷기운동에 대한 자기 조절, 자기효능감, 결과기대를 향상시키는데 있으며 이를 통해 걷기운동 실천 및 그에 따른 생리적 지표의 개선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매주 변화시키고자 하는 타겟 중재변수를 정하고 이를 위한 세션별 주제를 구성하였으며, 이메일 교육, 전화코칭과 자조모임의 방법으로 전달되었다.
  • 본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걷기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정하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 ‧ 후 유사실험 설계이다.
  • 본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걷기 프로그램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사무직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사회인지이론의 자기조절,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개념을 포함시켜 일상에서 쉽고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걷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사회인지이론에 기반을 둔 걷기 프로그램을 이메일 전달매체를 활용하여 개발, 적용함으로써 자기효능감, 결과기대를 향상시키고, 이를 통한 걷기활동 증진과 체질량지수, 혈압의 생리적 지표의 개선 효과를 검정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3-1. 걷기 프로그램 중재 전과 후, 실험군의 생리적 지표(체질량지수, 혈압)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1-1. 걷기 프로그램 중재 전과 후, 실험군의 운동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2. 걷기 프로그램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걷기활동(걷기활동량, 걷기실천자수, 운동보행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3-2. 걷기 프로그램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생리적 지표(체질량지수, 혈압)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1-2. 걷기 프로그램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운동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장인을 위한 신체 활동 중재안으로 걷기운동이 적극 제안되고 있는 이유는? , 2007), 이 중 걷기는 일상생활에서 누구나 쉽게 실천할 수 있는 범대중적 운동이며 안전성과 함께 건강효과도 매우 커서 건강관리 전문가로부터 권장되는 중등도의 유산소운동이다(Lee & Buchner, 2008). 업무로 바쁜 직장인에게 걷기운동은 휘트니스나 자전거 운동 보다 신체활동을 증가시키는데 4배 정도 높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직장인을 위한 신체 활동 중재안으로 적극 제안되고 있다(Abraham & GrahamRowe, 2009). 또한, 주 5일 이상 하루에 45~60분 활발하게 걷기와 같은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을 하면 체중증가를 방지할 수 있으며(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ACSM], 2006; Haskell et al.
사회인지이론에 근거한 걷기 프로그램에 기대하는 바는? 따라서, 사회인지이론에 근거한 걷기 프로그램은 사무직 근로자의 신체활동 향상과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산업장에서 근로자를 위한 효율적인 건강관리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산업장을 포함한 지역사회 전반에서 간호사의 운동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역량을 확장시키고 간호실무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건강을 위한 신체활동으로는 어떠한 것들이 권장되는가? 건강을 위한 신체활동으로는 격렬한 신체활동, 중등도 신체활동 또는 활발하게 걷기가 권장되는데(Haskell et al., 2007), 이 중 걷기는 일상생활에서 누구나 쉽게 실천할 수 있는 범대중적 운동이며 안전성과 함께 건강효과도 매우 커서 건강관리 전문가로부터 권장되는 중등도의 유산소운동이다(Lee & Buchner,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braham, C., & Graham-Rowe, E. (2009). Are worksite interventions effective in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ealth Psychology Review, 3, 108-144. http://dx.doi.org/10.1080/17437190903151096 

  2. Ai, X., Amoah, A., Candeias, V., Cooper, J., Willi, G. C., Daniel, R., et al. (2008). Preventing noncommunicable diseases in the workplace through diet and physical activity. Retrieved May 18, 2012, from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World Economic Forum Report of a Joint Event Web site: http://libdoc.who.int/publications/2008/9789241596329_eng.pdf 

  3. Amaya, M., & Petosa, R. L. (2012). An evaluation of a worksite exercise intervention using social cognitive theory: A pilot study. Health Education Journal, 7, 133-143. http://dx.doi.org/10.1177/0017896911409731 

  4.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06). ACMS'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7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5. Anderson, E. S., Winett, R. A., Wojcik, J. R., & Williams, D. M. (2010). Social-cognitive mediators of change in a group randomized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Social support,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s, and self-regulation in the guide-to-health trial.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5, 21-32. http://dx.doi.org/10.1177/1359105309342297 

  6.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c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7. Canadian Society for Exercise Physiology (2002). PAR-Q and You. Retrieved November 18, 2010, from the Canadian Society for Exercise Physiology Web site: http://www.csep.ca/cmfiles/publications/parq/par-q.pdf 

  8. Chobanian, A. V., Bakris, G. L., Black, H. R., Cushman, W. C., Green, L. A., Izzo, J. L., et al. (2003). 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Hypertension, 42, 1206-1252. http://dx.doi.org/10.1161/01.HYP.0000107251.49515.c2 

  9. Choi, J. I., & Kim, H. S. (2008). Research for health-life habits of the frequency of exercise in worker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34, 595-605. 

  10. Dinger, M. K., Heesch, K. C., Cipriani, G., & Qualls, M. (2007). Comparison of two email-delivered, pedometer-based interventions to promote walking among insufficiently active women. Journal of Science and Medicine in Sports, 10, 297-302. http://dx.doi.org/10.1016/j.jsams.2006.07.011 

  11.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 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 175-191. http://dx.doi.org/10.3758/BF03193146 

  12. Gilson, N., McKenna, J., Cook, C., & Brown, W. (2007). Walking towards health in a university community: A feasibility study. Preventive Medicine, 44, 167-169. http://dx.doi.org/10.1016/j.ypmed.2006.09.012 

  13. Go, Y. A., Baek, H. C., & Hwang, I. Y. (2007). Effects of community-based group walking exercise progra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1, 5-14. 

  14. Hallam, J. S., & Petosa, R. (2004). The long-term impact of a four-session work-site intervention on selected social cognitive theory variables linked to adult exercise adherence. Health Education & Behavior, 31, 88-100. http://dx.doi.org/10.1177/1090198103259164 

  15. Haskell, W. L., Lee, I. M., Pate, R. R., Powell, K. E., Blair, S. N., Franklin, B. A., et al. (2007). Physical activity and public health: Updated recommendation for adults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nd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116, 1081-1093. http://dx.doi.org/10.1161/CIRCULATIONAHA.107.185649 

  16. Hyoung, H. K., Moon, I. O., & Jeong, Y. S. (2008). The effect of an exercise program on middle-aged and aged women in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 545-553. 

  17.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Research Committee. (2005). Guidelines for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short and long forms. Retrieved November 18, 2010, from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Web site: http://www.ipaq.ki.se/scoring.pdf 

  18. Jeffery, R. W., Sherwood, N. E., Brelje, K., Pronk, N. P., Boyle, R., Boucher, J. L., et al. (2003). Mail and phone interventions for weight loss in a managed-care setting: Weigh-To-Be one-year outcome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7, 1584-1592. http://dx.doi.org/10.1038/sj.ijo.0802473 

  1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200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valuation statistics, Decks-year Two. Retrieved July 8, 2011, from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eb site: http://knhanes.cdc.go.kr/knhanes/index.do 

  2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valuation statistics, Decks-year three. Retrieved April 20, 2012, from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eb site: http://knhanes.cdc.go.kr/knhanes/index.do 

  21.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11). 2010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es statistics: Occupational illness. Retrieved April 20, 2012, from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Web site: http://www.kosha.or.kr/board.do?menuId555 

  22. Lee, I. M., & Buchner, D. M. (2008). The importance of walking to public health.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40, S512-S518. http://dx.doi.org/10.1249/MSS.0b013e31817c65d0 

  23. Lee, L. L., Watson, M. C., Mulvaney, C. A., Tsai, C. C., & Lo, S. F. (2010). The effect of walking intervention on blood pressure control: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7, 1545-1561.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10.08.008 

  24. Resnick, B., Zimmerman, S. I., Orwig, D., Furstenberg, A. L., & Magaziner, J. (2000). Outcome expectations for exercise scale: Utility and psychometric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55B, S352-S356. 

  25. Rhodes, R., & Pfaeffli, L. (2010). Mediators of physical activity behaviour change among adult non-clinical populations: A review update.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7 (37), 1-11. http://dx.doi.org/10.1186/1479-5868-7-37 

  26. Rosenthal, T. (2004). Seasonal variations in blood pressure.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Cardiology, 13, 267-272. http://dx.doi.org/10.1111/j.1076-7460.2004.00060.x 

  27. Seo, D. I., Kim, S. K., & Chang, H. K. (2009). The effects of 12 weeks of walking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in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3 (1), 61-68. 

  28. Shin, Y. H., Jang, H. J., & Pender, N. J. (2001).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exercise self-efficacy scale among Korean adults with chronic disease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4, 68-76. 

  29. Speck, B. J., & Looney, S. W. (2001). Effects of a minimal intervention to increase physical activity in women, Nursing Research, 50, 374-378. 

  30. Yap, T. L., Davis, L. S., Gates, D. M., Hemmings, A. B., & Pan, W. (2009). The effect of tailored E-mails in the workplace. part II. Increasing overall physical activity. AAOHN Journal, 57, 313-319. http://dx.doi.org/10.3928/08910162-20090716-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