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기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증상을 경험한 성인의 정신병리와 기질 성격 요인
Psychopathology, Temperament, and Character Factors of Adults with Childhood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Symptoms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4 no.4, 2013년, pp.191 - 198  

송열매 (국립공주병원 뇌기능연구소) ,  이건석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한덕현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중앙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영식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중앙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민경준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중앙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박진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준원 (국립공주병원 뇌기능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psychopathology, temperament, and character factors between young adults with and without childhood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symptoms. Methods : The subjects consisted of 314 university students (male=7...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loninger의 심리생물학적 인성모델에 기초하여 개발된 검사로서 한 개인의 기질 및 성격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이다. 국내에서는 Min 등20)에 의해 표준화된 것을 사용하였으며 총 240문항의 자기 보고형 도구로 문항 수나 세부 항목의 구조는 영문판과 동일하다.
  • 아동기 우울, 불안, 인지나 학습 장애, 가정불화와 같은 심리사회적 원인들은 이차적으로 집중력의 저하나 과잉행동-충동성 증상을 보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이에 대한 통제가 필요하나 본 연구에서는 이에 관한 자료가 부족하여 결과 해석에 주의를 요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거 아동기에 ADHD 증상을 경험했다고 지각한 대상자의 특성을 기술한 것이기 때문에 과거에 ADHD로 진단되었던 대상자의 특성과는 구별하여 해석하여야 한다. 둘째, 종속변수를 측정한 웬더 유타 척도는 과거를 회상하여 평가하는 후향적인 검사로 회상 비뚤림(recall bias) 발생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 본 연구는 아동기에 ADHD 증상을 경험한 성인의 정신병리와 기질 성격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증상 경험군과 정상군으로 집단을 나누어 비교하였다. 증상 경험군은 정상군에 비해 사회경제적 상태와 자아존중감이 낮았고, 성인 ADHD 부주의·과다행동-충동성 증상, 운동·인지 충동성, 우울, 불안, 인터넷 중독 정도, 편집성향이 높았다.
  • 11) 그러므로 저자들은 아동기에 ADHD 증상을 경험한 증상 경험군과 그렇지 않은 정상군에서 정신병리와 기질 성격 요인의 차이를 비교하였고, 아동기 ADHD 증상과 이들 변인 간의 상관관계 및 증상을 설명할 수 있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아동기에 ADHD 증상을 경험했던 정상 성인의 기질 성격적 특성과 현재 겪고 있는 정신과적 어려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하지만 과거 정신건강의학과 병력이 있거나 설문지 항목에 누락이 많은 경우는 연구에서 제외하고 총 314명(남 : 72명, 여 : 24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피험자들에게 자기보고식 설문지와 기질 및 성격 특성에 관한 검사를 진행하였고, 연구의 목적, 설문 결과에 대한 익명성 보장과 연구목적으로의 사용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에 대한 서면동의를 받았다. 본 연구는 국립공주병원 임상연구 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인 ADHD의 특징은? 2) 하지만 최근 발표된 장기간 추적연구에 따르면, 아동기에 ADHD로 진단된 환자의 30-70%가 성인이 되어서도 진단 기준을 만족하며 유병률은 1-6%로 보고하고 있다.3) 성인 ADHD는 과잉행동보다 주의력결핍, 충동성이 더 큰 문제를 일으키고 다양한 정신과적 증상이 공존하므로 이로 인한 대인관계의 어려움, 잦은 교통사고, 사회경제적 성취도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4) 또 다른 추적연구에서도 성인 ADHD 환자들은 낮은 학력과 사회경제적 상태, 높은 이혼율과 빈번한 직업적 문제들을 가졌고 사회기술능력 또한 떨어져 있었다.
ADHD를 아동기에 국한된 장애가 아니라는 근거는? 1) 아동이 성장하면서 ADHD 증상이 호전된다고 생각하여 오랫동안 ADHD를 아동기에 국한된 장애로 여겨왔다.2) 하지만 최근 발표된 장기간 추적연구에 따르면, 아동기에 ADHD로 진단된 환자의 30-70%가 성인이 되어서도 진단 기준을 만족하며 유병률은 1-6%로 보고하고 있다.3) 성인 ADHD는 과잉행동보다 주의력결핍, 충동성이 더 큰 문제를 일으키고 다양한 정신과적 증상이 공존하므로 이로 인한 대인관계의 어려움, 잦은 교통사고, 사회경제적 성취도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주의력결핍, 충동성, 과잉행동을 주증상으로 하며 소아청소년 정신건강의학과 외래 환자의 50%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질환이다.1) 아동이 성장하면서 ADHD 증상이 호전된다고 생각하여 오랫동안 ADHD를 아동기에 국한된 장애로 여겨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antwell DP. Attention deficit disorder: a review of the past 10 year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6;35:978-987. 

  2. Spencer TJ, Biederman J, Mick E.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diagnosis, lifespan, comorbidities, and neurobiology. J Pediatr Psychol 2007;32:631-642. 

  3. Park S, Cho MJ, Chang SM, Jeon HJ, Cho SJ, Kim BS, et al. Prevalence, correlates, and comorbidities of adult ADHD symptoms in Korea: results of the Korean epidemiologic catchment area study. Psychiatry Res 2011;186:378-383. 

  4. Bahn GH, Son SJ, Park YC, Cho AR, Park JK. Occupational & military issues of adult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 Kyung Hee Univ Med Cent 2006;22:112-116. 

  5. Goodman DW, Thase ME. Recognizing ADHD in adults with comorbid mood disorders: implications for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Postgrad Med 2009;121:20-30. 

  6. McGough JJ, Smalley SL, McCracken JT, Yang M, Del’Homme M, Lynn DE, et al. Psychiatric comorbidity in adul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findings from multiplex families. Am J Psychiatry 2005;162:1621-1627. 

  7. Mannuzza S, Klein RG, Bessler A, Malloy P, LaPadula M. Adult outcome of hyperactive boys. Educational achievement, occupational rank, and psychiatric status. Arch Gen Psychiatry 1993;50:565-576. 

  8. Yang J, Kim JH, Kim JW, Choi J, Hong HJ, Joung YS. Treatment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adults.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12;23 Suppl:S72-S89. 

  9. Koo YJ, Choi KS, Bang YW, Kim OS, Song HJ, Joo EJ. Factor structure of Wender Utah Rating Scale (Korean) in normal female adults. J Soc Korean Women Psychiatr 2009;7:63-67. 

  10. Kwon SM. Assessment of psychopathology in anxiety disorder. Korean J Psychopathol 1997;6:37-51. 

  11. Cloninger CR, Svrakic DM, Przybeck TR. A psychobiological model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Arch Gen Psychiatry 1993;50:975-990. 

  12. Lee EK, Lee J. A study on two types of excessive internet use revealed in Iowa Gambling Task, Balloon Analogue Risk Task, and Psychological Rating Scales. J Korean Acad Addict Psychiatry 2012;16:54-61. 

  13. Kim E. The validation of Korean Adult ADHD scale. Korean J Clin Psychol 2003;22:897-911. 

  14. Sung HM, Kim JB, Park YN, Bai DS, Lee SH, Ahn HN.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BDI-II). 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 2008;14:201-212. 

  15. Young KS.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psychol Behav 1998;3:237-244. 

  16. Heo SY, Oh JY, Kim JH. The Korean version of the Barratt Impulsiveness Scale, 11th version: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Kor J Psychol: Gen 2012;31:769-782. 

  17. Won HT, Lee HJ. The self-concept and attributional style in paranoid group. Korean J Clin Psychol 1997;16:173-182. 

  18. Lee YJ, Seok JH, Jeon JH, An SK, Kim JJ, Lee HS.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Schizotypal Ambivalence Scale (K-SA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5;44:58-64. 

  19. Lubben JE. Assessing social networks among elderly populations. Family & Community Health 1988;11:42-52. 

  20. Min B, Oh H, Lee J. Temperament a nd Character I nventory-Revised- Short. Seoul: Maumsarang;2007. 

  21. Oncu B, Olmez S, Senturk V.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urkish version of the Wender Utah Rating Scale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adults]. Turk Psikiyatri Derg 2005;16:252-259. 

  22. Campbell SB, Paulauskas S. Peer relations in hyperactive children. J Child Psychol Psychiatry 1979;20:233-246. 

  23. Barkley R, Murphy K, Fischer M. ADHD in Adults: What the science says. New York: Guilford Press;2008. 

  24. Faraone SV, Perlis RH, Doyle AE, Smoller JW, Goralnick JJ, Holmgren MA, et al. Molecular genetics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Biol Psychiatry 2005;57:1313-1323. 

  25. Tillman R, Geller B, Craney JL, Bolhofner K, Williams M, Zimerman B, et al. Temperament and character factors in a prepubertal and early adolescent bipolar disorder phenotype compared to attention deficit hyperactive and normal controls. J Child Adolesc Psychopharmacol 2003;13:531-543. 

  26. Jang WS, Hong SD, Joung Y. Temperament and character patterns of pati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6;45:77-82. 

  27. Cloninger CR, Svrakic DM. Integrative psychobiological approach to psychiatric assessment and treatment. Psychiatry 1997;60:120-141. 

  28. Downey KK, Stelson FW, Pomerleau OF, Giordani B. Adul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psychological test profiles in a clinical population. J Nerv Ment Dis 1997;185:32-38. 

  29. Gaub M, Carlson CL. Gender differences in ADHD: a meta-analysis and critical review.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7;36:1036-1045. 

  30. Barkley RA. Behavioral inhibition, sustained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s: constructing a unifying theory of ADHD. Psychol Bull 1997;121:65-94. 

  31. On SG, Kim EJ. Social understanding and behavior in Children with ADHD. Korean J Clin Psychol 2003;22:793-813. 

  32. Yoo H, Kim JY, Jeon J, Park S, Hong JP, Kim SY, et al. Temperament and character factors according to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ubtype. Korean J Psychopathol 2005;14:21-27. 

  33. Mannuzza S, Klein RG, Klein DF, Bessler A, Shrout P. Accuracy of adult recall of childhoo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m J Psychiatry 2002;159:1882-18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