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식물병원균류에 대한 살균 효과

Fungicidal Effect of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Water against Phytopathogenic Fungi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1 no.4, 2013년, pp.274 - 279  

송정영 (충남대학교 응용생물학과) ,  김나래 (충남대학교 응용생물학과) ,  남명현 (충남농업기술원 논산딸기시험장) ,  박범진 (한국코스믹라운드(주)) ,  황의일 ((주)케이티엔지 R&D본부 기술연구소) ,  최종명 (충남대학교 원예학과) ,  김홍기 (충남대학교 응용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는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들에 대해 강력한 살균력을 나타내지만 인간과 자연에 무해한 살균제로 잘 알려져 있다. 4%의 희석된 염산만으로 무격막 전해조에서 전기분해를 통해 만들어졌으며 유효염소 농도가 20~30 ppm(HOCl 97%)이고 pH 5.0~6.5인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식물병원균들에 대한 살균효과를 조사하였다. Botrytis cinerea, Colletotrichum acutatum, Phytophthora capsici 등의 포자들에 대해서는 대략 10초 정도의 처리시간으로도 100% 살균효과가 나타났으나 Penicillium hirsutum의 경우는 3분 이상의 처리시간이 요구되었다. 희석농도에 따른 C. acutatum에 대한 살균효과를 조사한 결과 1:1(미산성 차아염소산수:멸균수)의 비율로 희석한 처리구에서는 포자발아가 100% 억제되었으나 1:2 처리구에서는 63%로 억제율이 낮아졌다. 고추탄저병균 C. acutatum을 고추열매에 접종한 후 24시간이 지나서 처리된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병방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방제가는 70.4%였다. 본 연구를 통해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강하고 광범위한 살균력이 확인되었으며 식물병 방제를 위한 살균제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water (SAHW) is well known for having a powerful and broad spectrum antimicrobial activity, and is harmless to the environment and humans. SAHW (pH 5~6.5, 20~30 ppm available chlorine concentration) was generated by electrolysis of dilute solution of HCl (4%) in a chamb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식물병원균류들에 대한 살균 효과를 조사하여 농업현장에서 친환경 방제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강산성 차아염소수는 어떤 방면으로 활용됐는가? 일본 후생노동성은 2002년 식염수 또는 희석염산을 제조장치 내에서 전해된 차아염소산수를 주성 분으로 하는 산성의 수용액을 식품첨가물로 지정하였다. 한편, 국내에서는 2007년 강산성 차아염소산수(유효염소 20~60 ppm)와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유효염소 10~30 ppm)가 식품첨가물 공전에 식품의 살균 목적으로 사용 가능한 품목으로 지정됐으며, 주로 강산성 차아염소수가 식품산업의 위생관리와 다양한 식물병의 방제에 활용되어 왔다(Al-Haq et al., 2001, 2002; Jeong and Park, 2012; Oh, 2012).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는 어떤 장점이 있는가? 한편, 강산성 차아염소산수와 유사한 살균력을 갖고 있는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는 식염수를 전기분해로 얻어지는 차아염소산나트륨과는 달리 희석염산만을 전해질로 무격막전해조에서 전기분해하여 만들어진 차아염소산이 주성분으로 pH는 5.0~6.5이며, 유효염소 농도가 10~30 ppm으로 염소가스를 거의 발생시키지 않고 투입 원수 전액의 활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Issa-Zacharia et al., 2010; Jeong & Park, 2012; Soli et al.
전기분해를 통해 얻어지는 전해수는 어떤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가? , 2010). 또한, 전세계적으로 식품, 의료, 생활환경, 농업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친환경적인 살균제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데 미국에서는 차아염소산을 무해물질로 인정하고 전해수 제조장치를 살균제 제조장치로 인가하였으며 미국식품의약국은 1999년부터 강산성 차아염소산수를 농수산물 세정에 사용을 허용하였다(Oh, 2012). 일본 후생노동성은 2002년 식염수 또는 희석염산을 제조장치 내에서 전해된 차아염소산수를 주성 분으로 하는 산성의 수용액을 식품첨가물로 지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l-Haq, M. I., Seo, Y., Oshita, S. and Kawagoe, Y. 2001. Fungicidal effectiveness of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on postharvest brown rot of peach. Hort. Sci. 36:1310. 

  2. Al-Haq, M. I., Seo, Y., Oshita., S. and Kawagoe, Y. 2002. Disinfection effects of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on suppressing fruit rot of pear caused by Botryosphaeria berengeriana. Food Res. Inter. 35:657-664. 

  3. Al-Haq, M. I., Sugiyama, J. and Isobe, S. 2005. Applications of electrolyzed water in agriculture & food industries. Food Sci. Technol. Res. 19:135-150. 

  4. Buck, J. W., van Iersel, M. W., Oetting, R. D. and Hung, Y. C. 2002. In vitro fungicidal activity of acidic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Plant Dis. 86:278-281. 

  5. Buck, J. W., van Iersel, M. W., Oetting, R. D. and Hung, Y. C. 2003. Evaluation of acidic electrolyzed water for phytotoxic symptoms on foliage and flowers of bedding plants. Crop Prot. 22:73-77. 

  6. Copping, L. G. and Duke, S. O. 2007. Natural products that have been used commercially as crop protection agent. Pest Manag. Sci. 63:524-554. 

  7. Guentzel, J. L., Callan, M. A., Lam, K. L., Emmons, S. A. and Dunham, V. L. 2011. Evaluation of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for phytotoxic effects and pre-harvest management of gray mold disease on strawberry plants. Crop Prot. 30:1274-1279. 

  8. Hao, J. X., Li, L. T., Ma, Z. H., Cheng, Y. Q., Cai, C. J. and Liu, H. J. 2006. Study on electrolyzed functional water against wheat stripe rust. China Plant Protection 26:21-23. (in Chinese). 

  9. Huang, Y. R., Hung, Y. C., Hsu, S. Y., Huang, Y. W. and Hwang. D. F. 2008. Application of electrolyzed water in the food industry. Food Cont. 19:329-345. 

  10. Issa-Zacharia, A., Kamitani, Y., Morita, K. and Iwasaki, K. 2010. Sanitization potency of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against pure cultures of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in comparison with that of other food sanitizers. Food Cont. 21:740-745. 

  11. Jang, K. I., Lee, J. H., Choi, S. G. and Lee, H. B. 2008. Quality of stored grape (Vitis labruscana) treated with electrolyzed acid water humidification, electrolyzed acidic water sterilization and ozon water sterilization. J. Agri. Life Sci. 42:47-57. (in Korean). 

  12. Jeong, K. J. and Park, S. G. 2012. Sterilization effect of electrolyzed oxidized water by electrochemical methode. J. Indust. Sci. Technol. 12:119-123. (in Korean). 

  13. Kang, K. S., Kim, T. I., Lee, H. I., Han, H. J., Park, S. G., Kim, H. J., Han, S. D., Park, K. Y. and Rhee. Y. W. 2010. Investigation on the technology trend in electrolyzed sterilizing water by the patent analysis. Appl. Chem. Engin. 21: 188-194. (in Korean). 

  14. Nimitkeatkai, H. and Kim, J. G. 2009. Washing efficiency of acidic electrolyzed water on microbial reduction and quality of 'Fuji' apples. Kor. J. Hort. Sci. Technol. 27:250-255. 

  15. Oh, D. H. 2012. Application and technology trend of slightly acidic low concentration electrolyzed water. Safe Food 7:35-45. (in Korean). 

  16. Okamoto, M., Komagata, Y., Okuda, S., Nishimoto, Y., Kamoshida, M., Nakamura, T. and Komiyama, K. 2006. Microbicidal effect of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J. Antibact. Antifungal Agents 34:3-10. (in Japanese). 

  17. Prutz, W. A. 1996. Hypochlorous acid iInteractions with thiols, nucleotides, DNA, and other biological substrates. Arch. Biochem. Biophy. 332:110-120. 

  18. Soli, K. W., Motomatsui, A., Yoshizumi, A., Yamakawa, M., Misshima, T., Honjoh, K. I. and Miyamoto T. 2010. Comparison of the bactericidal effect of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water with that of conventional sterilizers. J. Fac. Agr. Kyushu Univ. 55:275-280. 

  19. Tamaki, M., Kondo, S. and Sakai, Y. 2001. A study on the control of rice disease by electrolyzed water. Environ. Cont. Biol. 39: 85-101. (in Japanese). 

  20. Whangchai, K., Saengnil, K., Singkamanee, C. and Uthaibutra, J. 2010. Effect of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and continuous ozone exposure on the control of Penicillium digitatum on tangerine cv. 'Sai Nam Pung'during storage. Crop Prot. 29: 386-389. 

  21. Wu, L., Xiao, W. H. and Li, L. T. 2004. Test of electrolyzed functional water inhibiting grape anthracnose. Plant Prot. 30:82-83. (in Chinese). 

  22. Xiao, W. H., Li, L. T., Wang, H. M. and Li, Z. G. 2003. Report on the electrolyzed functional water against cucumber powdery mildew test. Plant Prot. 29, 50-51. (in Chinese). 

  23. Xiong, K., Liu, H., Liu, R. and Li, L. 2010. Differences in fungicidal efficiency against Aspergillus flavus for neutralized and acidic electrolyzed oxidizing waters. Int. J. Food Microbiol. 137:67-75. 

  24. Zheng, L., Liu, H. J., Hao, J. X., Yang, H. B. and Li, L. T. 2010. Control of tomato leaf mold with electrolyzed functional water in greenhouses. Plant Prot. 36:162-164. (in Chi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