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보건적 요소가 도시 내 폭염 취약성 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Impact of Environmental Health Factors on Extreme-heat Vulnerability Assessment in a Metropolitan City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39 no.6, 2013년, pp.492 - 504  

이원정 (부산대학교 환경시스템협동과정) ,  강재은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 ,  김유근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analysis seeks to evaluate the impact of environmental health factors (EHF; e.g. hospital beds per capita, employees of medical institutions) on extreme-heat vulnerability assessment in Busan Metropolitan City during 2006-2010. Methods: According to the vulnerability concept sugg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과 밀접한 환경보건적 요소의 물적 · 인적 인프라가 폭염 취약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인한 기상재해 중 하나인 폭염에 대한 취약성에 대한 환경보건적 요소의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고온현상의 발생빈도가 최근 증가하고 있으며 고온에 취약한 인구 계층이 많이 분포한 한반도 남동연안의 부산광역시(16개 행정구역별)를 대상으로 폭염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 적응능력은 사회적 시스템이 폭염 영향에 대처할 능력으로서, 지역적 특성을 나타내는 사회적 물적 인프라, 경제적 능력, 제도적 역량의 요소로 1인당 GRDP(백만원), 1인당 공무원 수, 재정자립도(%), 녹지면적(m2)이 포함되며, 적응능력 내 환경보건적 요소로 병상 수, 병원 수, 의료종사자 수, 보건소 인력 수, 건강보험적용 인구수를 적용했다. 여기에서 사용된 환경보건적 요소는 환경보건법 제 2조 1항에 용어정의에 근거하여 환경적 요인이 사람의 건강,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평가하고 예방관리 가능한 물적 인프라로 보고 이에 준하는 요소를 변수로 정하였다. 적응능력 카테고리의 변수로 환경보건적 요소가 고려되지 않은 경우를 Case 1으로, 고려된 경우를 Case 2로 하여 각각 취약성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환경보건적 요소가 폭염 취약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연재난에 대한 취약성의 정의는 무엇인가? 자연재난에 대한 취약성이란 잠재적 피해 현상으로부터 생긴 손실의 정도로 정의될 수 있으며, 기후 변화에 의한 기상이변 및 악영향의 최소화를 위해 자연적 · 인위적 조절작용으로 그 피해를 줄이도록 하는 적응대책 수립에 취약성 평가가 적용된다.4,10) 대표적으로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에서 취약성은 ‘한 시스템이 기후변화의 악영향에 쉽게 영향을 받거나 대처하지 못하는 정도’로 보고, 시스템이 자극에 노출(접촉)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노출(exposure)과 자극에 의해 시스템이 영향을 받는 정도를 나타내는 민감도(sensitivity), 그리고 시스템이 자극에 의한 영향에 대해 적응할 수 있는 잠재력 또는 능력을 의미하는 적응능력(adaptive capacity)으로 정의하였으며,4) 본 연구에서는 IPCC의 취약성 개념을 차용하여 취약성 평가의 함수로 적용하였다(노출과 민감도를 잠재적 영향(potential impact)으로 봄).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서 취약성은 무엇이라고 보는가? 자연재난에 대한 취약성이란 잠재적 피해 현상으로부터 생긴 손실의 정도로 정의될 수 있으며, 기후 변화에 의한 기상이변 및 악영향의 최소화를 위해 자연적 · 인위적 조절작용으로 그 피해를 줄이도록 하는 적응대책 수립에 취약성 평가가 적용된다.4,10) 대표적으로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에서 취약성은 ‘한 시스템이 기후변화의 악영향에 쉽게 영향을 받거나 대처하지 못하는 정도’로 보고, 시스템이 자극에 노출(접촉)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노출(exposure)과 자극에 의해 시스템이 영향을 받는 정도를 나타내는 민감도(sensitivity), 그리고 시스템이 자극에 의한 영향에 대해 적응할 수 있는 잠재력 또는 능력을 의미하는 적응능력(adaptive capacity)으로 정의하였으며,4) 본 연구에서는 IPCC의 취약성 개념을 차용하여 취약성 평가의 함수로 적용하였다(노출과 민감도를 잠재적 영향(potential impact)으로 봄).10,12) 취약성 정의는 차이를 가질 수 있으나, 취약성 평가시 각 함수별 평가 목적에 적합한 변수를 설정하여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취약성 평가를 카테고리 중 민감도의 대응변수는 무엇인가? 폭염 취약성을 위한 노출은 폭염의 기후적 영향을 나타내는 폭염발생일(일최고기온 33℃ 이상)과 함께 열대야일수(일최저기온 25℃ 이상)를 포함한다.22) 민감도는 폭염 노출에 대하여 생물물리적 시스템이 반응하는 정도로서, 폭염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고, 부정적 영향을 받는 요소로 선정하였으며, 그 변수로는 도로 면적(m2), 독거노인 수, 기초생활수급자 수, 인구밀도(people/km2), 1979년 이전 건물수, 65세 이상 인구수가 적용된다. 적응능력은 사회적 시스템이 폭염 영향에 대처할 능력으로서, 지역적 특성을 나타내는 사회적 물적 인프라, 경제적 능력, 제도적 역량의 요소로 1인당 GRDP(백만원), 1인당 공무원 수, 재정자립도(%), 녹지면적(m2)이 포함되며, 적응능력 내 환경보건적 요소로 병상 수, 병원 수, 의료종사자 수, 보건소 인력 수, 건강보험적용 인구수를 적용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DI(Busan Development Institute). Adaptation of Busan getting hot the city. BDI Focus. June 27th 2011; 108. 

  2. Kysel J. Mortality and displaced mortality during heat waves in the Czech Republic.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2004; 49(2): 91-97. 

  3. Meehl G and Tebaldi C. More intense, more frequent and longer lasting heat waves in the 21st centrury. Journal of Science. 2004; 305: 994-997. 

  4. IPCC(Intergovernmental Pannel on Climate Change). Climate change 2007: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5. Lim YH and Kim H. Climate change and health $^{\circ}(C)$ A systemic review of low and high temperature effects on mortality.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 2011; 37(6): 397-405. 

  6. Debby GS, Femke V, Regina B, Sylvain P. Annual disaster statistical review 2010. Centre for Research on the Epidemiology of Disasters, 2011; p.15, p.32. 

  7. Park JK, Jung WS, Kim EB.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extreme heat standard in Korea.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2008; 17(6): 657-669. 

  8. Hong YC. Climate change and human health. Journal of Korean Med Assoc. 2008; 51(8): 764-769. 

  9. Yang JH and Ha JS. Estimation of future death burden of high temperatures from climate change. Journal of the Environ Health Sci. 2013; 39(1): 19-31. 

  10. Bohle H, Downing TE, Watts M. Climate change and society vulnerability: the sociology and geography of food insecurity. Journal of Global Environmental Change. 1994; 4(1): 37-48. 

  11. Fssel HM and Klein RJT.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s: and evolution of conceptual thinking. Journal of Climatic Change. 2006; 75: 301-329. 

  12. KEI(Yu GY and Kim I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dex. KEI/2008/RE-05. 2008. 

  13. Chipanshi AC, Chanda R, Totolo O. Vulnerability assessment of the maize and sorghum crops to climate change in Bostswana. Journal of Climate change. 2003; 61: 339-360 

  14. Mavroulidou M, Hughes SJ, Hellawell EE. Aqualitative tool combining an interaction matrix and a GIS to map vulnerability to traffic induced air pollu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2004; 70: 283-289 

  15. Namdeo A, Tiwary A, Farrow E. Estimation of age-related vulnerability to air poluution: Assessment of respiratory health at local scale. Journal of Environment International. 2011; 37: 829-837 

  16. Wu G, Li L, Ahmad S, Chem X, Pan X. A dynamic model for vulnerability assessment of regional water resources in arid area: a case study of Bayingolin, China. Journal of Water Resour Manage. 2013; 27: 3085-3101 

  17. GRI(GO JK). A study on vulnerability assessment to climate change in Gyeonggi-Do.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09. 

  18. Choi HA, Lee WK, Kwak HB, Choi SH, Byun JG, Yoo SJ.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based on spatio-temporal information.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2009; 11(3): 63-69. 

  19. Hwang HS and Byun BS. Building vulnerability index on climate change: Focused on Seoul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 2011; 19(4): 93-119. 

  20. Yoo SJ, Lee WK, Oh SH, Byun JY.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public health to climate change using spatio-temporal information based on GIS.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2012; 20(2): 13-24. 

  21. Kim SM and Kim NE. A study on vulnerability assessment to climate change - Focused on 22 municipalities of JeollaNamDo.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governance. 2012; 19(2): 99-123. 

  22. NIER(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Sectoral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map. 2012. 

  23. MW(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al year book 2012". 2012; 58. 

  24. Busan City hall. Busan Statistics Data Base. http://stat.kosis.kr/nsieu/view/tree.do?taskbranchView&id202_202_1001*MT_OTITLE&hOrg202. [accessed December 2012-October 2013] 

  25.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Subjective Statistics.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entIdA. [accessed December 2012-October 2013] 

  26. Lee JB, Lee HJ, Moon KJ, Hong SC, Kim DR, Song CK, Hong YD. Vulnerability assessment of human health sector due to climate change: Focus on ozon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012; 28(1): 22-38. 

  27. Nardo M, Saisana M, Saltell A, Taranta S. Tools for composite indicators building. European Communities. 2005; EUR 21682EN. 

  28. IPCC. Climate Change 2001: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Third Assessment Repor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29. Ahn KS.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counterplan for disaster from climate change in the shinangun, Jeollanamdo. Journal of Korean island. 2011; 23(4): 163-181. 

  30. Hardy JT. Climate Change: Cause, Effects and Solutions. John Wiley & Sons. LTD. 2003; 230. 

  31. Kim EY, Jeon SW, Lee JW, Park YH, Lee DK. Local adaptation plan to climate change impact in Seoul: Focused on heat wave effec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011; 21(1): 71-80. 

  32. Carina E and Keskitalo H. Climate Change and Globalization in the Arctic: An Integrated approach to vulnerability assessment. Stylus Pub Llc. the UK and USA. 2008. 

  33. Winston TLC, Chuang WC, Gober P. Vulnerability to extreme heat in metropolitan phoenix: Spatial, temporal and demographic dimensions. The Professional Geographer. 2012; 64(2): 286-3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