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시마를 첨가한 기능성 멸치액젓 제조조건 확립
Optimization of Processing Process for Functional Anchovy Fish Sauce in Addition with Raw Sea Tangle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5 no.6 = no.66, 2013년, pp.1408 - 1418  

정민홍 (부경대학교) ,  정우영 (부경대학교) ,  계현진 (부경대학교) ,  정상원 (부경대학교) ,  박현규 (부경대학교) ,  조영제 (부경대학교) ,  심길보 (국립수산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통적인 방법을 이용한 기능성 멸치액젓 제조를 위하여 다시마를 농도별로 첨가하고 숙성기간에 따른 멸치액젓 내의 일반성분의 변화는 초기 60일까지 수분함량은 감소하였으며, 이후에는 큰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회분, 조지방 함량은 숙성 초기에 다소 변화하지만 일정숙성기간이 지나면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조단백질함량은 숙성기간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다시마의 기능성 성분인 알긴산식이섬유 함량은 다시마 내에 존재하는 알긴산의 70%, 식이섬유는 50%가 멸치액젓으로 이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푸코이단과 요오드 함량은 숙성기간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180일 이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숙성기간이 450일 이후에는 멸치액젓의 일반성반을 비롯한 기능성 성분의 변화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고 있다. 따라서 전통적인 방법의 다시마 첨가한 멸치액젓의 의 최적 제조조건은 2% 이상의 생 다시마 첨가와 $20^{\circ}C$에서 450일 이상 숙성기간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최적조건으로 제조된 다시마 멸치액젓은 맛과 기능성이 기존 전통 멸치액젓에 비하여 우수하며, 경쟁력을 갖춘 수산발효식품으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quality properties of functional anchovy fish sauce added with raw sea tangle, 2%, 5%, and 10% (w/w) of sea tangle was added to 25% (w/w) salted anchovy and then fermented at $20^{\circ}C$. During fermentation period, the amino nitrogen contents were increased at all g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발효식품이며 부산 지역의 특산품인 멸치액젓에 다시마의 기능성분이 첨가된 새로운 수산가공식품개발을 시도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다시마를 첨가한 멸치액젓의 숙성기간별로 성분변화를 조사하여 최적 생 다시마 첨가농도 및 숙성조건 확립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멸치의 효능은 무엇인가? 20 g/man/day로 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장 많이 섭취하는 수산물이다. 멸치는 고단백, 고칼슘 국민건강 식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항산화 효과와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출 뿐만 아니라 혈압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고 성장에 좋은 타우린이 풍부하다. 또한 지능발달에 효과가 있는 EPA, DHA 등의 고도불포화 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시원하고 감칠맛을 내는 이노신산과 각종 유리아미노산이 풍부하다(Hew and Kim, 2002).
2011년 1인 1일 공급량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장 많이 섭취하는 수산물은 무엇인가? 멸치는 1인 1일 공급량을 기준으로 2011년 15.20 g/man/day로 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장 많이 섭취하는 수산물이다.
멸치 액젓이 자동화가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멸치 액젓은 식염 농도가 높고 기호성이 낮으며 그 기능성이 부족하다. 또 제조시 숙성기간이 길기 때문에 자동화가 어려운 품목이며, 원료도 계절성, 지역성, 비계획 생산이 특징이라 판매 및 생산에 많은 어려움이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Lee,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Anno, K. Terahata, H. Hayashi, Y. & N. Seno (1966).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fucoidan from Brown Seaweed Pelvetia wrightii, Agr. Biol. Chem., 30, 495. 

  2. AOAC(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lington, 17, 868, 931, 932. 

  3. Ayako, Y. Y. Koichi & O. Keiichi(1992). Iodine distribution in blades of several Laminarias grown in the same sea area, Nippon Suisan Gakkaishi, 58, 1373-1379. 

  4. Bernardi, G. & G. F. Springer(1962). Properties of highly purified Fucan, J. Biol. Chem., 273, 75-81. 

  5. Cho, Y. J. Y. S. Im. H. Y. Park. & Y. J. Chi(2000), Changes of components in salt-fermented anchovy, Engraulis Japonicus sauce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Fish Soc. 33(1), 9-15. 

  6. Choi, J. H. Rhim, C. H. Kim, J. Y. Yang, J. S. Choi, J. S. & Byun, D. S(1986). Basic studies in the development of alginic acid as a diet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1. The inhibitory effect of alginic acid as a deitary fiber on obesity. Bull. Kor. Fish. Soc., 19, 303-311. 

  7. Choi, J. H. & Yoon, H. S.(1995). Manufacturing method of alginic acid added juice for preventing obesity, Korea patent system 95-26403 

  8. Clugston G. A, Hetzel B. S. Iodine. In Modern Nutrition in Health and Disease. 8th ed.(1994), pp252-262, Lea & Febiger. 

  9.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odex General Standard for Food Additives, Codex Stan 302-2011. 

  10. Committee on diet & health, NRC(1989). In diet and health.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 C. 347-366. 

  11. Cui, C. B. E. Y. Lee D.S Lee & S. S. Han(2002).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korean traditional Doenjang added sea tang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322-328. 

  12. Ha, S. D. & A. J. Kim(2005). Technological trade in safety of jeotgal, Dep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6, 46-64. 

  13. Han, J. S. H. R. Cho & H. S. Cho(2005). Study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quality index of low-salted Myungran-jeot,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440-446. 

  14. Han, K. H. M. S. Choi C. K. Ahn M. J. Yoon & T. H. Song(2002). Soboru bread enriched with dietary fibers extracted from kombu, J. Korean Soc. food Cookery Sci., 18, 619-624. 

  15. Hew, M. S. & J. S. Kim(2002). Comparison of quality among boiled-dried anchoves caught from different sea, J. Korean Fish Soc. 35, 173-178. 

  16. Jeong, E. J. B. H. Bang(2003). The effect on the quantity of yogurt added water extracted from sea tangle, J. Korean food & Nutr., 16, 66-71. 

  17. Joo, D. S. J. S. Lee S. Y. Cho S. J Shin & Lee E. H(1995). Change in funtional properties of alginic acid by enzymatic degradation, J. Korean Food Sci. Technol., 27, 86-91. 

  18. Kang, Y. J. Ryu, K. T & Kim, H. S(1996). Preparation of cellular liquid from brown seaweeds for functional tonic products, J. Korean Soc. Food Nutr. 25, 94-103. 

  19. Kim. D. S. Koo, J. K. Do, J. R.(1994). Manufacturing method of juice utilizing seaweed, Korea patent system 94-3495 

  20. Kim, G. S.(1996). Softening processing method of kelp tissue, Korea patent system 96c16767. 

  21. Kim, I. S. H. S. Kim B. W. Han K. T. Kang J. M Park H. S. Oh G. U. Han J. S. Kim M. S. Heu(2006).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enzymatic salt-fermented pearl oyster, Pinctada fucata martensii, J. Kor. Fish. Soc. 39, 9-15. 

  22. Kim, J. S. & K. J Kang(1998). Effect of Laminaria addition on the shelf-life and of bread, J. Korean food & Nutr., 11, 556-560. 

  23. Kim, K. H. & D. J. Cheng(1984). Optimum conditions for extracting alginic acid from Undaria Pinnatifida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its extraction residue, J. Korean Food Sci. Technol., 16, 336. 

  24. Kim, S. A. K.H. Lee & D. K. Park(1970). Pigment stsbilization of fresh Undaria pinnatifida when treatment with ashes, Bull. Kor. Fish. Soc., 3, 120-128. 

  25. Kim, S. J. S. J. Ma & H. L. Kim(2005). Probiotic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food, Jeot-gal, Korean J. Food Preserv. 12, 184-189. 

  26. Koo, J. C. K. S. Jo J. R. Do & S. J. Woo(1995). Isolation and purification pf fucoidans from Laminaria religiosa and Undaria pinnatifida in Korea, Bull. Korean Fish. SOc., 28, 227. 

  27. Kwon, E. A. M. J. Chang & S. H. Kim(2003). Quantity characteristics of bread containing laminaria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406-412. 

  28. Lee, D. S. H. R. Kim & J. H. Pyun(1998). Effects of low-molecularization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alginate, J. Korean Fish Soc., 31, 82-89. 

  29. Lee, J. H. & N. J Sung(1983). The content of minerals in algae, J. Kor. Soc. Food Sci., 12, 51-58. 

  30. Lee, K. H. B. K. Song I. H. Jeong B. I. Hong B. C. Chung & D. H. Lee(1997). Processing conditions of seasoning material of the mixture of laminaria and enzyme-treated mackerel meat, J. Korean Food Sci. Technol., 29, 77-81. 

  31. Lee, W. D.(2001). Recent development of jeotgal(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eafood) and its future, Food Ind. Nutr. 6, 23-27. 

  32. Lim, Y. S.(2000). Studies on the quality standards for the grading of salt-fermented fish sauce, Ph.D. thesis, Pukyu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33. Lizima-Mizui, N. Fujihara, M. Himeno, J. Komiy-ama, K. Umezawa, I. & T. nagumo(1985). Antitumor Activity of Polysaccharide Fractions, Kitassato Arch. of Exp. Med., 58, 59. 

  34. McCarron, D. A. & C. D. Morris(1985). Blood pressure response to oral calcium in persons with mild to moderate hypertension. Ann. Inter. Med., 103, 825-831. 

  35.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2000). Experiment for processed food development utilizing laver, sea mustard and kelp. 

  36. Moon, S. J. Kim. J. Y. Jung. Y. J. & Jung. Y. S(1998). The Iodine Content in Common Korean Foods, J. Kor. nut. 31, 206-212. 

  37. Oh, K. S.(1995). The comparison and index components in quality of salt-fermented anchovy sauce that added sea tang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487-494. 

  38. Park, C. G.(1995).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of anchovy sauce and their qyality standardization, Korean J. Food Sic. Technol. vol. 27, Nol. 4, 471-477 

  39. Park, M. J.(1999), A study of a physiological properties and use of alginic acid., J. Resource Sci., 7, 217-240. 

  40. Ryu, B. H. D. S. Kim K. J. Cho & D. B. Sim(1989). Antitumer activity of seaweeds toward saroma-180, J. Korean Food Sci. Technol., 21, 595-600. 

  41. Sekimoto, K. A. Ando & S. Kamamine(1986). Comparison of extraction rate of minerals from Suboshi Haiboshi and Enzo Wakame(Undaria pinnatifida) during water immersion treatment, J. Japan Soc. Nutr. Food Sci., 19, 67. 

  42. Seo, K. B. Choi, D. Y. Yoon, S. H.(1975). Seaweed utilizing processing experiment,(해조류 이용가공시험). 

  43. Skoog D. A D. M West & F. J. Holler(1996). Fundamentrals of analytical chemistry, 7th Edition, Thomson Learning, Inc, USA. 

  44. Skoryna, SC, E. Waldron and T.M. Paul(1965). Proc. V Intern. : Seaweed Symp., Pergamon, London, 395. 

  45. Sorensen(1907). Biochem, Z, 7, 45 

  46. Sosulski, F. W. & A. M. Cadden(1982).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several sources of dietary fiber, J. Food Sci., 47, 1472-1477. 

  47. Takagi, K.(1975). Seaweeds as Medicine, advances of phycology in Japan, Castav, Fisher Jena., 321. 

  48. Tashino, T.(1983). Analysis of nucleic acid related substsnces of dried purle laver. Bull, Japan Soc. Sci. Fish, 49, 1121-1125. 

  49. Watanabe, Y.(1968). Oral presentation at the General meeting of Nippon Dieteticl and Food technology Society. 

  50. You, B. J. Y. S. Lim I. H. Jeong & K. H. Lee.(1997). Effect of extracting and drying method on physical properties of alginates from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J. Kor. Fish. Soc., 36, 340-345. 

  51. 日本厚生省編(1960). 食品衛生檢査指針 - I. 揮發性鑒基窒素, 日本衛生協會, 東京, 30-3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