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 전설 모음의 포먼트 전이 형태
Formant Transition Shapes of Korean Front Vowel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5 no.4, 2013년, pp.195 - 200  

오은진 (이화여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formant transition shapes of Korean front vowels produced by native speakers of Seoul Korean. Sixteen speakers (eight male and eight female speakers) produced [pVt] syllables where the vowels were [i, e, ɛ]. F1, F2, and F3 transition shapes were estimated by presenting form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국어 서울 방언의 남성 및 여성 화자가 조음한 한국어 전설 모음 [이, 에, 애]의 포먼트 전이 형태를 고찰하였다. 한국어 전설 모음의 최댓값과 최솟값 도달 측정점 및 포먼트 이동 형태에 대해 남성과 여성은 대체로 유사한 모습을 나타냈다.
  • 또한 Yang(2010)은 모국어 화자 및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조음한 영어 긴장 및 이완 고모음의 전이 형태를 음향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들의 음향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한국어 전설 모음의 포먼트 전이 형태를 고찰하고자 한다(2절).
  • 지각 실험에서 청자들이 [에]와 [애]를 바꾸어 지각하여 평균 정답률이 50%이하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서울 방언의 모음 [에]와 [애]가 안정 상태 포먼트 값뿐 아니라 동적 전이 형태에 대해서도 융합이 완성되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3.2절).
  • 본 절에서는 모음 안정 상태 값의 융합이 완성된 것으로 알려진 한국어 [에]와 [애]의 포먼트 전이 형태를 살펴보고, 두 모음이 안정 상태 값뿐 아니라 동적인 전이 형태까지도 융합되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 이는 모음의 동적 전이 형태 및 동적 전이 정보가 모음 인지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해 다양한 방언 및 언어 연구의 필요성이 있음을 제기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서울 방언의 전설 모음 [이, 에, 애]의 포먼트 전이 형태를 살펴보고자 한다(3.1절). 남성과 여성 화자의 자료를 통해 모음 전이 형태에 성별 간 차이가 있는지도 고찰할 것이다(3.
  • 모음 길이도 모든 모음에 대해 성별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포먼트 이동 형태에 관해 이루어진 성별 간 비교의 결과는 모음 길이의 변수와 상관없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화자 및 성별 간 발화 속도의 차이를 가급적 줄이고자 문장 당 발화 시간을 제한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보였다. 한국어 모음 [에]와 [애]에 대해서는 남성과 여성 화자 모두 F1, F2, F3의 최댓값, 최솟값, 최댓값과 최솟값 간 차이, 최댓값과 최솟값 도달 측정점, 각 측정점별 포먼트 값 등 모두에 대해 유사한 모습을 나타내 두 모음이 안정 상태 값뿐 아니라 동적 전이의 형태까지도 융합을 이루었음을 암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음 포먼트의 전이에 포함된 정보는 무엇인가? 모음 포먼트의 전이에는 두 가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인접 자음으로 인한 전이 및 모음 고유의 특성으로서의 전이가 그것이다. 인접 자음으로 인한 전이 정보가 중요 함을 밝힌 연구로 Strange, Jenkins, & Johnson(1983)에 따르면, C1VC2 음절에서 모음 중간 부분의 소리를 없애고 두 전이부(즉, C1에서 V 및 V에서 C2로의 전이부)만 남긴 자극과 모음 중간부분만 남기고 두 전이부는 없앤 자극 중 전자는 원 음절만큼 정확히 인지된 반면 후자는 그보다 덜 정확히 인지되었다 (Strange, 1987도 참조).
전통적으로 단모음의 특성 무엇에 의해 결정된다고 알려져 있는가? 전통적으로 단모음의 특성은 모음 안정 상태의 포먼트 주파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기술되어왔다(예를 들어, Peterson & Barney, 1952). 청자들이 모음을 인지할 때에 안정 상태의 포먼트 값 정보가 중요하지만,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포먼트 전이 (formant transition)의 정보도 모음을 인지하는 데에 중요함을 증명한 일련의 연구들이 있다(Strange, Jenkins, & Johnson, 1983; Nearey & Assmann, 1986; Strange, 1987; Zahorian & Jagharghi, 1993).
인접 자음으로 인한 전이 정보가 중요 함을 밝힌 연구에는 어떠한 내용이 있는가? 인접 자음으로 인한 전이 및 모음 고유의 특성으로서의 전이가 그것이다. 인접 자음으로 인한 전이 정보가 중요 함을 밝힌 연구로 Strange, Jenkins, & Johnson(1983)에 따르면, C1VC2 음절에서 모음 중간 부분의 소리를 없애고 두 전이부(즉, C1에서 V 및 V에서 C2로의 전이부)만 남긴 자극과 모음 중간부분만 남기고 두 전이부는 없앤 자극 중 전자는 원 음절만큼 정확히 인지된 반면 후자는 그보다 덜 정확히 인지되었다 (Strange, 1987도 참조). 포먼트의 전이부에 모음 인지를 위한 중요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음을 의미한다고 해석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Guion, S. G. (2003). The vowel systems of Quichua-Spanish bilinguals: Age of acquisition effects on the mutual influence of the first and second languages. Phonetica, 60(2), 98-128. 

  2. Harrington, J., & S. Cassidy. (1994). Dynamic and target theories of vowel classification: Evidence from monophthongs and diphthongs in Australian English. Language and Speech, 37(4), 357-373. 

  3. Hillenbrand, J., Getty, L. A., Clark, M. J., & Wheeler, K. (1995). Acoustic characteristics of American English vowels.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97(5), 3099-3111. 

  4. Hwang, H., & S. Moon. (2005). An acoustic comparative study of Korean /에, 애/ and English / ${\varepsilon}$ , ${\ae}$ / pronounced by Korean young male speakers. Malsori, 56, 29-47. (황혜정?문승재 (2005). 한국인이 발음한 한국어 /에, 애/와 영어 / ${\varepsilon}$ , ${\ae}$ / 모음. 말소리 56, 29-47.) 

  5. Moon, S. (2007). A fundamental phonetic investigation of Korean monophthongs. Malsori, 62, 1-17. (문승재 (2007). 한국어 단모음의 음성학적 기반연구. 말소리 62, 1-17.) 

  6. Nearey, T. M. (1989). Static, dynamic, and relational properties in vowel perception.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85(5), 2088-2113. 

  7. Nearey, T. M., & P. F. Assmann. (1986). Modelling the role of inherent spectral change in vowel identification.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80(5), 1297-1308. 

  8. Oh, E. (2013). Dynamic spectral patterns of American English front monophthong vowels produced by Korean-English bilingual speakers and Korean late learners of English. Linguistic Research, 30(2), 293-312. 

  9. Peterson, G. E., & H. L. Barney. (1952). Control methods used in a study of the vowels.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24(2), 175-184. 

  10. Simpson, A. P. (2009). Phonetic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peech. Language and Linguistics Compass, 3(2), 621-640. 

  11. Strange, W. (1987). Information for vowels in formant transitions.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26(5), 550-557. 

  12. Strange, W., J. J. Jenkins, & T. L. Johnson. (1983). Dynamic specification of coarticulated vowels.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74(3), 695-705. 

  13. Traunmuller, H. (1990). Analytical expressions for the tonotopic sensory scal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88(1), 97-100. 

  14. Watson, C. I., & J. Harrington. (1999). Acoustic evidence for dynamic formant trajectories in Australian English vowels.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06(1), 458-468. 

  15. Yang, B. (2009a). Formant trajectories of English vowels produced by American male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1(3), 65-72. (양병곤 (2009a). 미국인 남성이 발음한 영어모음의 포먼트 궤적. 말소리와 음성과학, 1(3), 65-72.) 

  16. Yang, B. (2009b). Formant trajectories of English vowels produced by American female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1(4), 3-9. (양병곤 (2009b). 미국인 여성이 발음한 영어모음의 포먼트 궤적. 말소리와 음성과학, 1(4), 3-9.) 

  17. Yang, B. (2010). Formant trajectories of English high tense and lax vowels produced by Korean and American speakers.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 35(2), 407-423. 

  18. Zahorian, S. A., & A. J. Jagharghi. (1993). Spectral-shape features versus formants as acoustic correlates for vowels.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94(4), 1966-19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