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 검색어에 아래의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색연산자
검색도움말
검색연산자 기능 검색시 예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예1) (나노 (기계 | machine))
공백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예) semi*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통합검색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문 상세정보

기관지천식 증상에 대한 마황정천탕의 안전성 유효성 예비 임상 연구

Clinical Trial of Herbal Medicine Formula Mahwangjeongcheon-tang on Patients with Asthmatic Symptom: A Preliminary Study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clinical trial was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Mahwangjeongcheon-tang (MJT). Methods Twenty six volunteers were recruited as subject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were MJT test group and placebo group. The investigated items related to the safety were the weight, the results of renal function and liver function. The investigated items related to the efficacy are the results of the spirometer, the clinical asthma measurement scale in oriental medicine-V (CAMSOM-V) and the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for adult Korean asthmatics (QLQAKA). Results There are no difference in the weight, the results of the renal functions and the liver functions between MJT test group and placebo group. There are the some differences in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s related to the efficacy between MJT test group and placebo group. The significant difference were observed in the CAMSOM-V at the 4th visit. Conclusion MJT is the safe and effective herbal prescription that is useful to the asthma patients.

본문요약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태음인 마황정천탕을 이용한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대조군 설계로 체중, 신기능, 간기능의 지표를 이용하여 안전성을 확인하였으며, 폐기능 검사 항목, 천식 중등도 평가 설문지, 삶의 질 평가 설문지를 이용하여 유효성을 확인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태음인 마황정천탕을 이용한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대조군 설계로 체중, 신기능, 간기능의 지표를 이용하여 안전성을 확인하였으며, 폐기능 검사 항목, 천식 중등도 평가 설문지, 삶의 질 평가 설문지를 이용하여 유효성을 확인한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키워드에 따른 질의응답 제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의학의 천식을 치료하는 약물
서의학의 천식을 치료하는 약물로는 어떤 것이 사용되고 있는가?
기관지확장제와 스테로이드

서의학의 천식을 치료하는 약물로는 기관지확장제와 스테로이드가 대표적이며 이러한 약물은 부작용을 고려하여 사용을 결정하여야 하며, 사용시에는 비용을 최소로 하고 안전성을 최대로 하는 가장 낮은 치료 단계의 용량을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4 . 한약 처방을 이용하여 천식을 치료하고자 하는 연구도 여러 방면에서 이루어져 왔는데, 영지, 고삼, 감초로 구성된 영지고삼탕을 스테로이드 치료를 받고 있는 92명의 알러지성 천식 환자에게 4주간 투여하여 유의한 효과를 얻은 바 있으며, 육미지황원과 맥문동탕을 120명의 알러지성 천식 환자에게 6개월간 투여하여 폐활량 수치와 면역글로불린의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었다5,6.

천식의 유병율
우리나라 천식의 유병율은 어떠한가?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2007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통계자료에 의하면 천식의 유병율이 20-60세에서 2.3-8.9%, 70세 이상 노인에서 15.6%에 달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8%로 증가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2007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통계자료에 의하면 천식의 유병율이 20-60세에서 2.3-8.9%, 70세 이상 노인에서 15.6%에 달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1-3.

마황정천탕의 안전성 유효성
본 연구에서 마황정천탕의 안전성 유효성을 확인한 결과는 어떠한가?
1. 마황정천탕의 2주간 경구 복용은 안전성과 관련된 지표인 체중, 신기능, 간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2. 마황정천탕의 2주간 경구 복용은 유효성과 관련된지표인 폐기능 검사 결과, 천식 중증도 검사, 삶의 질 평가 지표 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마황정천탕 경구 복용후 10일이 경과한 시점에서천식 중증도 검사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1. 마황정천탕의 2주간 경구 복용은 안전성과 관련된 지표인 체중, 신기능, 간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마황정천탕의 2주간 경구 복용은 유효성과 관련된지표인 폐기능 검사 결과, 천식 중증도 검사, 삶의 질 평가 지표 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마황정천탕 경구 복용후 10일이 경과한 시점에서천식 중증도 검사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1. Eder W, Ege MJ, von Mutius E. The asthma epidemic. N Engl J Med. 2006;355(21):2226-2235. 
  2. 2. Nishima S, Chisaka H, Fujiwara T, Furusho K, Hayashi S, Hiraba K, et al. Surveys on the prevalence of pediatric bronchial asthma in Japan: a comparison between the 1982, 1992, and 2002 surveys conducted in the same region using the same methodology. Allergol Int. 2009;58(1):37-53. 
  3. 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Health Statistics 2007. the 4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 1st year. 2008. (Korean) 
  4. 4. Yoon HJ. Updated drug therapy guideline of asthma. Korean J Int Med. 2009;76(3):260-267. (Korean) 
  5. 5. Wen MC, Wei CH, Hu ZQ, Srivastava K, Ko J, Xi ST, et al.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anti-asthma herbal medicine intervention in adult patients with moderate-severe allergic asthma. J Allergy Clin Immunol. 2005;116(3):517-524. 
  6. 6. Chang TT, Huang CC, Hsu CH. Clinical evaluation of the Chinese herbal medicine formula STA-1 in the treatment of allergic asthma. Phytother Res. 2006;20(5):342-347. 
  7. 7. Choi JY, Hwang WK, Lee JS, Jung HJ, Rhee HK, Jung SK. The Clinical Effects of Gamipaimo-tang in Asthmatic Patients According to the Easiness of Sputum Expectoration. Korean J Orient Int Med. 2003;24(3):588-596. (Korean) 
  8. 8. Hwang WS, Chung KJ, Ju CY, Hong JP, Lee JS, Jung HJ, et al. The Clinical Effects of Socheongryong-tang in Asthmatic Patients. Korean J Orient Int Med. 2002;23(4):651-660. (Korean) 
  9. 9. Choi JY, Hwang WS, Lee JS, Jung HJ, Rhee HK, Jung SK. An Analysis of Therapeutic Effects of Chungsangboha-tang in 36 Cases of Asthma Based on Criteria for Deficiency-Excess Differentiating Syndromes of Asthma. The Society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03:91-99. (Korean) 
  10. 10. Kim JH, Kim HW, Song JM. A Case Study of 3 Asthma Patients-Soeumin, Soyangin, Taeumein. J of Sasang Const Med. 2002;14(1):112-117. (Korean) 
  11. 11. Kim DR, Kim SH, Se YG. A Clinic Study of the Treatment for Asthma in Taeumin with RBBB(Right Bundle Branch Block). J of Sasang Const Med. 2007;19(3):293-299. (Korean) 
  12. 12. Dep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in Korea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nd rev ed. Seoul:Gibmundang. 2006:712, 717. (Korean) 
  13. 13. Heojun. Donguibogam. Seoul:Namsandang. 1989:145, 560. (Korean) 
  14. 14. Go SG. Research on outcome indicators for clinical trials of herbal medicinal products. KFDA. 2006. (Korean) 
  15. 15. Jung JY, Son JY, Hong SJ, Lee YW, Sin YS, Park JW, et al. Comparison of the patient's global self-assessment scoring method with the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for adult Korean asthmatics.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08;28(2):134-142. (Korean) 
  16. 16. Park JW, Cho YS, Lee SY, Nahm DH, Kim YK, Kim DK, et al. Multi-center study for the utilization of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for adult Korean asthmatics.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00;20(3):467-479. (Korean) 
  17. 17. Ng TP, Wong ML, Hong CY, Koh KTC, Goh LG. The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by asthma patient. Q J Med. 2003;96(10):747-754. 
  18. 18. Ziment I, Tachkin DP. Alternative medicine for allergy and asthma. J Allergy ClinImmunol. 2000;106(4):603-614. 
  19. 19. Ernst E. Complementary therapies for asthma : what patients use. J Asthma. 1998;35(8):667-671. 
  20. 20. Schafer T, Riehle A, Wichmann HE, Ring J. Alternative medicine in allergies : prevalence, pattern of use, and costs. Allergy. 2002;57(8):694-700. 
  21. 21. Lai X, Li Y, Fan Z, Zhang J, Liu B. An analysis of therapeutic effect of drug acupoint application in 209 cases of allergic asthma. J Tradit Chin Med. 2001;21(2):122-126. 
  22. 22. McCarney RW, Brinkhaus B, Lasserson TJ, Linde K. Acupuncture for chronic asthma. Cochrane Databases Syst Rev. 2004;(1):CD000008. 
  23. 23. Lee SY, Shin KM, Hong JM, Choi SY, Bae KR, Kim HK. The clinical study on the effect of hominis placenta pharmacopuncture on asthma. Journal of pharmacopuncture. 2008;11(4):79-86. (Korean) 
  24. 24. Graham DM, Blaiss MS. Complementary/alternative medicine in the treatment of asthma. Ann Allergy Asthma Immunol. 2000;85(6 pt 1):438-447. 
  25. 25. Choi JY, Bang JH, Shen FY, Jung HJ, Jung SK. A systematic Review from the Journals of the Korean Oriental Medical Society. J Korean Oriental Med. 2010;31(1):14-22. (Korean) 
  26. 26. Oh M, Lee J, Jang B, Jung S, Sun S, Ko H, et al. Research on outcome indicators in clinical trials of asthma, cough, and sputum by reviewing papers searched from pubmed. Korean J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07;28(3):519-530. (Korean) 
  27. 27. Mousa KE, Hani MT, Sugathan TN, Girma T, Onadeko BO. The predictive value of provisional clinical diagnosis in the evaluation of respiratory disorders. Ann Saudi Med. 1999;19(2):93-96. 
  28. 28. Birnbaum HG, Ivanova JI, Yu AP, Hsieh M, Seal B, Emani S, et al. Asthma severity categorization using a claims-based algorithm or pulmonary function testing. J Asthma. 2009;46(1):67-72. 

문의하기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Q&A 등록

원문보기

원문 PDF 다운로드

  • ScienceON :
  • KCI :
  • AccessON :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오픈액세스(OA) 유형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