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질환 교육이 고혈압, 당뇨병 환자의 지식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ronic Disease Education for Hypertension, Diabetes Patients's Knowledge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0 no.5, 2013년, pp.79 - 90  

이요셉 (가천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  임준 (가천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과) ,  임정수 (가천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과) ,  오대규 (가천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과) ,  한진옥 (가천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is based on Public Care Service for Chronic Disease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featuring Health-Point Service. It is objective to evaluate whether the service could improve self-management ability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patients. Methods: The knowledge about diabet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육프로그램은 인천광역시내에 거주하는 고혈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만성질환에 관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의 자가관리능력과 교육을 매개로 지속치료율 및 혈압·혈당 조절능력의 향상시키고, 합병증을 예방하며 건강 수준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 기존 환자를 대상으로 만성질환 교육경험여부와 인천광역시 만성질환예방관리사업의 등록여부가 고혈압, 당뇨병과 관련된 지식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단면연구를 수행하였다. 등록군에서의 교육이수율은 41.
  •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기존에 인천광역시 만성질환예방관리사업의 효과평가를 위하여 이루어졌던 연구들과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는 대상자에 인천광역시 만성질환관리사업의 비등록군을 포함하여 등록군과 비등록군의 비교성을 가질 수 있었으며 면접조사를 통하여 신뢰도 있는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또한 인천광역시 만성질환예방관리사업 중 교육사업에 초점을 맞춰 교육이 만성질환 지식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함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기존에 인천광역시 만성질환예방관리사업의 효과평가를 위하여 이루어졌던 연구들과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는 대상자에 인천광역시 만성질환관리사업의 비등록군을 포함하여 등록군과 비등록군의 비교성을 가질 수 있었으며 면접조사를 통하여 신뢰도 있는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또한 인천광역시 만성질환예방관리사업 중 교육사업에 초점을 맞춰 교육이 만성질환 지식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함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는 많은 한계점이 존재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 만성질환예방관리사업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교육이 환자의 지식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새로 고혈압,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등록군과 비등록군으로 구분하여 유사실험연구로서 지역기반 중재연구를 시행하였다. 또한 추적관찰기간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기존환자를 대상으로 교육경험유무에 따른 지식수준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단면연구를 추가로 시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강포인트제도에 기반한 인천광역시 만성질환예방관리사업의 교육프로그램의 효과평가를 위하여 교육전후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인천광역시 만성질환예방관리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교육이 고혈압 및 당뇨병 환자의 지식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 (2012)의 연구에서는 등록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여 비등록환자와의 비교성은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만성질환예방관리사업 중 교육사업이 등록환자의 만성질환 지식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강포인트제도에 기반한 인천광역시 만성질환예방관리사업의 교육프로그램의 효과평가를 위하여 교육전후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인천광역시 만성질환예방관리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교육이 고혈압 및 당뇨병 환자의 지식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고혈압, 당뇨병 환자에게 교육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된 지역기반 중재연구의 대상자는 2012년 3월부터 8월까지 인천시 만성질환예방관리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의원급 의료기관에 내원하는 환자 중 최근 3개월 이내에 새로이 고혈압이나 당뇨병을 진단받은 자로 제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산출은 1종 오류 값을 0.05, 2종 오류 값을 0.2로 하고, 흡연 여부를 두 범주로 나누었을 때 높은 범주에 비해 낮은 범주일 때의 교차비를 1.5, 폭로율을 25%로 가정하여 Power Program V3.0 (Lubin et al, NCI)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등록군과 비등록군 각각 467명이 산출되었으며 중도탈락율을 고려하여 각 500명씩 총 1,000명의 대상자 모집을 계획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노인인구 비율 추세는 어떠한가? 7%를 차지할 만큼 질병부담이 매우 크다(Korea Statistical Office, 2011a). 2000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7.2%이었으나 2018년에는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14.5%, 2026년에는 20.8%에 도달해 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된다(Korea Statistical Office, 2011b). 향후 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고혈압, 당뇨병와 같은 만성질환자의 증가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인천시 만성질환관리사업은 어떤 것에 강점을 두고 있는가? 인천시 만성질환관리사업의 특징은 대상자가 참여의료기관에 방문하는 경우와 의료기관 및 보건소에서 시행되는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경우에 포인트가 쌓여 대상자가 참여의료기관에서 필수검사 등을 받는데 사용하도록 하는 건강포인트제도를 운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교육포인트 비중을 높여 교육 참여를 확대하여 자가관리능력을 향상시키는데에 강점을 두고 있다.
만성질환관리에는 어떤 것들이 포함되어야 하는가? 만성질환관리(Chronic care management)는 예방, 조기발견, 조기치료, 지속치료, 재활을 포함한 일련의 지속적이고 포괄적인 건강관리활동이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만성질환은 근거중심지침(Evidence-based guidelines)에 기반을 둔 만성질환관리모형(Chronic care model)을 통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이미 만성질환관리모형에 근거한 만성질환관리가 전체 질병부담비용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Wagner,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oi, D. Y., Kim, C. S., Sung, E. J., & Kim, Y. S. (2000). The comparison of recognition between non-medicated and medicated group in hypertensive pati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Family Medicine, 21(3), 406-414. 

  2. Fitzgerald, J. T., Funnell, M. M., Hess, G. E., Barr, P. A., Anderson, R. M., Hiss, R. G., & Davis, W. K. (1998).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brief diabetes knowledge test. Diabetes Care, 21(5), 706-710. 

  3. Hong, D. H., Seo, H. J., Kang, K. H., Kim, E. J., Im, J. S., Oh, D. K., & Yim, J. (2008). Impact of registration program after hypertensive or diabetic patient detection through community partnership on compliance and blood pressure or blood sugar control.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33(3), 316-323. 

  4. Jang, H. Y., & Lee, S. Y. (2010). The Effects of education of chronic diseases management for the elderly group in parts of seoul. Korean Academy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3), 157-172. 

  5. Kim, Y. M., Shin, E. Y., & Lee, K. S. (2006). Effects of the case management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hypertensio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6(3), 477-492. 

  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Results of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0). Retrieved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 04_03.do?classType7 

  7. Korea Statistical Office. (2011a). Results of population projections(2010-2020). Retrieved from http://kosis.kr/gen_etl/ start.jsp?orgId101&tblIdDT_1B35001&conn_pathI2&path 

  8. Korea Statistical Office. (2011b). Statistics of death cause. Retrieved from http://kosis.kr/gen_etl/start.jsp?orgId101&tblIdDT_1B34E01 &conn_pathI2&path 

  9. Nine, S. L., Lakies, C. L., Jarrett, H. K., & Davis, B. A. (2003). Community-based chronic disease management program for African Americans. Outcomes Manag, 7(3), 106-12. 

  10. Oh, D. K., Kim, Y. M., Lim, J. Y., & Cheong, W. (2012). Hypertension and diabetes mellitus management effects of community based chromic disease management program.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a Nursing, 19(1), 74-82. 

  11. Oh, D. K., Lee, H. S., Yim, J., Cheong, W., & Youn, M. K. (2012). The Effect of health point system on health-related lifestyle.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8(1), 25-30. 

  12. Song, I. H., Kim, S. A., & Park, W. S. (2012). Effects of a hypertension management program by Seongcheon primary health care post in South Korea: an analysis of changes in the level of knowledge of hypertension in the period from 2004 to 2009. Health Education Research, 27(3), 411-423. 

  13. Viera, A. J., Cohen, L. W., Mitchell, C. M., & Sloane, P. D. (2008). High blood pressure knowledge among primary care patients with known hypertension: A North Carolina Family Medicine Research Network (NC-FM-RN) study. The Journal of the American Board of Family Medicine, 21(4), 300-308. 

  14. Wagner, E. H. (1998). Chronic disease management: What will it take to improve care for chronic illness? Effective Clinic Practice, 1(1), 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