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적 분석을 통한 전세품 청동기의 진위판별 적용 가능성 연구
Applicability for Authenticity of Bronze Artefacts using Scientific Analyses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9 no.4, 2013년, pp.355 - 366  

도미솔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보존과학연구소) ,  정광용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보존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세품인 청동기를 대상으로 ICP-AES, SEM-EDS와 두 종류의 P-XRF (Bench top type, Gun type)를 이용하여 성분분석과 미세조직 관찰을 실시하였다. 또한 전세품 청동기의 성분 함유량을 분석하는 과학적 분석을 이용하여 특이원소의 검출에 따른 청동기의 진위 판별에 대한 적용성 연구를 실시하였다. ICP-AES의 분석 결과 청동기는 3원 합금(Cu-Sn-Pb계)의 청동으로 Ag, As, Co, Fe 등의 미량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특이 원소(Zn 등)는 검출되지 않았다. P-XRF 분석결과 ICP-AES 분석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Cu의 함유량은 10~25% 낮고, Sn 함유량은 10~20% 높게 검출되었다. 이는 탈주석 현상으로 Sn의 함유량이 높은 산화주석($SnO_2$) 화합물이 청동기 표면에 존재하여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SEM-EDS 분석결과 Pb의 편석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학적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청동 소지층과 부식층(표면)의 성분 조성 관계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청동유물은 미세조직 및 성분분석 결과만으로 진위판별에 대한 결과를 적용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매장 환경 및 유물의 보존 상태 등에 따라 부식생성물질이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에 착안하여 부식생성물질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와 고고미술사적인 비교연구를 통하여 진위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verse scientific analyses, including microstructure, ICP-AES, SEM-EDS, and P-XRF(Bench Top type and Gun type), were carried out on 6 bronze artefacts which hand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lso, we attempted to study applicability for authenticity of the bronze artefacts using scientific a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대 청동기의 진위판별 적용성을 위해 다양한 분석방법으로 성분조성의 비교연구와 미세조직을 관찰하여 청동기의 제작방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비파괴분석 및 파괴분석을 이용하여 전세품 청동기의 성분 함유량을 분석하고 청동기시대에 나타나지 않는 특이원소(Zn 등)의 검출에 따른 청동기의 진위판별 적용성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또한 다양한 분석방법으로 청동유물을 분석하여 성분조성의 비교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미세조직을 관찰하여 청동기의 제작 방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비파괴분석 및 파괴분석을 이용하여 전세품 청동기의 성분 함유량을 분석하고 청동기시대에 나타나지 않는 특이원소(Zn 등)의 검출에 따른 청동기의 진위판별 적용성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또한 다양한 분석방법으로 청동유물을 분석하여 성분조성의 비교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미세조직을 관찰하여 청동기의 제작 방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CP-AES 분석결과 5점의 청동기는 무슨 합금인가? 고대 청동기의 ICP-AES 분석결과 5점의 청동기는 모두 3원계 합금(Cu-Sn-Pb)의 청동제품이었다. 청동기의 주성분 함유량은 Cu 64~71%, Sn 8~18%, Pb 4~6% 성분이며 이 3원소를 표준화하여 분포도에 나타내었다(Figure 13).
청동기 유물 표면층에 대한 P-XRF 분석 결과 탈주석현상과 관련하여 ICP-AES 분석결과보다 Sn이 10~20% 높게 검출된 이유는 무엇인가? 유물 표면층에 대한 P-XRF 분석 결과는 탈주석(destannification)현상으로 인해 ICP-AES 분석결과보다 Cu가 10~25% 낮고, Sn은 10~20% 높게 검출되었다. 이는 Sn의 함유량이 높은 산화주석(SnO2) 화합물이 생성되어 청동유물의 표면이 부식층으로 덮이므로 Sn 성분이 높게 나타난다(Yoo, 2009). 또한 Bench top type XRF ①과 Gun type XRF ②를 이용한 청동유물의 표면 분석 결과는 그 함유량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청동기의 파괴 분석으로는 무엇을 실시했는가? 분석용 시편은 파손된 부분에서 소량의 샘플을 채취하였으며 분석방법에 맞는 전처리를 실시한 후 분석하였다. 파괴 분석은 미세조직 관찰 및 ICP-AES, SEM-EDS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청동기 표면의 비파괴분석은 P-XRF 분석으로 진행하였다. P-XRF는 Bench-top type과 Gun type 두 가지 방법을 실시하였고, 분석방법 및 분석위치는 Table 1과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eng, J., 2009, Researches on the Bronze Weapons Found in Korea: compared with the Northeastern Area of China. Ph. D.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2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 N.C., Huh, I.K. and Kang, H.T., 2009, Metallurgical study of bronze bells excavated from the Miruksa (temple) site in Iksan. Conservation Studies, 27, 5-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i, J., Kim, S.C. and Kim, J.B., 1992a, Metallographic Studies of Ancient Korean Bronze Daggrs with a Bell and Predictions of Raw Materials Provenance of those Artefacts by Lead Isotope Ratios. Journal of Prehistory and Ancient History, 3, 189-2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i, J., Do, J.M., Kim, S.C., Kim, S.T., Eom, T.Y. and Kim, J.B., 1992b, Provenance and Microstructures of an Ancient Korean Bronze Dagger. Journal of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5, 191-19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ung, K.Y., Kang, H.T. and Woo, J.W., 2002, Scientific Analysis of Bronze Dagger from Chongwon site. Journal of Hoseo Archaeology, 6&7, 671-6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hung, K.Y., Kang, H.T., Chong, D.C., Yun, Y.H. and Lee, H., 2004, Study on quantitative & trace element analysis of metal objects. The 20th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137-1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hung, K.Y. and Lee, J.H, 2009, A Study of the Microstructure and Provenance Area of Bronze Spoons Excavated from the Ok-dong Site in Andong.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5, 411-4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Hwang, J.J., 2009, The study of chemical component range for major elements in Korean Bronze.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1-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Ju, J.O. and Park, J.S., 2010, Bronze Technology Observed in a Bronze Dagger Excavated from Bongili in Yangboongmyon, Gyeongju.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6, 143-1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ang, H.T., Chung, K.Y., and Ryu, K.J., 2002, Chemical composition and lead isotope ratio of Bronze Sword Excavated from Hwasan-ni site, Seochon. Journal of Hoseo Archaeology, 6&7. 609-6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M.J., Yoon, M.Y. and Hong, D.G., 2009. Authentication Test of Archaeological Materials using Single Grain Regenerative Dose Method.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3, 73-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ee, G.M., 1992,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Korean Bronze artefacts. Korean Bronze Culture, 138-142. (in Korean) 

  13. Park, H.S. and Yoo, H.S., 2009, The Micro-structure and Raw Materials of National Treasure No. 141. Bronze Mirror with Geometric Designs. The Korean Christian Museum at Soongsil University, 90-101. (in Korean) 

  14. Scott, D.A., 1991, Metallography and microstructure of ancient and historic metals. Getty Conservation Institute; J. Paul Getty Museum in association with Archtype Books, 1-155. 

  15. Selwyn, L., 2004, Metal and Corrosion. Canadian Conservation Institute, 1-2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