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바이오틱스 개발을 위한 홍삼 전분을 활용한 유산균 배양
Cultiv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or the Development of Probiotic Products using Red Ginseng Starch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3 no.6, 2013년, pp.818 - 826  

김영수 ((재단법인)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  이환 ((재단법인)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  김도연 ((재단법인)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  김소영 (농촌진흥청 기능성식품과) ,  이완규 (충북대학교 수의학과) ,  이상명 (전북대학교 환경생명자원대학 생명공학부) ,  박종대 ((재단법인)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  손미례 ((재단법인)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of Lactobacillus, discarded red ginseng starch was collected from a factory of red ginseng extract in order to develop the Lactobacillus culture medium.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gensenoside composition of red ginseng starch, the total gensenoside content of st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의 동결 건조 시 이미 알려진 동결 건조 보호제(skim milk)와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홍삼 전분 그리고 동결 건조 보호제와 홍삼 전분을 첨가하였을 때, 동결 건조 후 생균수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Table 5에서는 각각의 조건에서 유산균의 생존율을 시험한 결과, skim milk를 2%와 10%를 첨가하였을 때, L.
  • 본 연구에서는 홍삼 농축액 제조 과정에서 나온 부산물인 홍삼 전분을 활용하여 기존 배지와 차별화된 경제적인 유산균 대량 생산 배지를 개발하고자 유산균을 배양하고 균체 생산을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 사용된 홍삼 전분은 홍삼 농축액 제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불용성 부산물로 현재까지는 폐기물로 인식되어 그 활용이 제한적이었다. 하지만 홍삼 유래의 안전한 물질로 홍삼의 유효 성분인 진세노사이드를 다량 함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각종 유리당 등 탄수화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저렴한 소재로 유산균 배양에 적합한 소재로의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기존에 인삼 또는 홍삼을 이용한 발효 연구는 미생물 발효를 통하여 인삼 또는 홍삼의 유효성분인 진세노사이드의 생물전환에 국한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로바이오틱스란?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사람이나 동물에게 건조세포나 발효산물의 형태로 투여하여 숙주의 장내 균총을 개선하여 좋은 영향을 주는, 단일 혹은 복합 형태의 생균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주로 유산균을 이용한 제품 또는 유산균 자체를 의미한다.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 LAB)은 각종 발효식품의 제조에 전 세계적으로 응용되는 산업적으로 중요한 미생물이며, 장내 부패 억제, 장의 운동을 촉진하여 변비 방지, 면역력 증가, 발암 억제, 비타민 B군의 생산 등 여러 가지 생리적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Ji GE 1994, Doron et al 2005, Muller et al 2009).
식물성 재료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특징은? 최근에는 식물성 재료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장점이 부각되고 있으며, 식물성 유산균은 식물 원료의 발효 식품에서 분리된 유산균을 지칭한다(Kumagai T 2009). 식물성 유산균은 일반 유산균보다 적은 영양소와 천연 항균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상황에서 생육하기 때문에 영양소를 분해, 섭취하는 능력이 뛰어나며, 각종 생리활성 물질의 생산력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Igarashi T 2007, Huang et al 2008).
유산균의 생리적 기능은?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사람이나 동물에게 건조세포나 발효산물의 형태로 투여하여 숙주의 장내 균총을 개선하여 좋은 영향을 주는, 단일 혹은 복합 형태의 생균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주로 유산균을 이용한 제품 또는 유산균 자체를 의미한다.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 LAB)은 각종 발효식품의 제조에 전 세계적으로 응용되는 산업적으로 중요한 미생물이며, 장내 부패 억제, 장의 운동을 촉진하여 변비 방지, 면역력 증가, 발암 억제, 비타민 B군의 생산 등 여러 가지 생리적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Ji GE 1994, Doron et al 2005, Muller et al 2009). 또한 아세트산 및 젖산과 같은 유기산 그리고 박테리오신 같은 항균 물질 등 다양한 대사산물을 생산하여 장내 부패균 및 유해한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저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다양한 방면에서 연구가 진행 중이다(Chae et al 2010, Diep et al 2006, Mathara et al 2008, Park et al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o HY, Zhang J, Yeo SJ, Myung CS, Kim HM, Kim JM, Park JH, Cho JS, Kang JS (2005) Memory enchancing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selected ginsenosides. Arch Pharm Res 28: 335-342. 

  2. Chae DJ, Lee KS, Jang KH (2010)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flour sourdough using mixed lactic acid bacteria and Bifidobacterium longum as starter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743-750. 

  3. Cho EK, Cho HY, Pyun YR (2011) Development of pretreatment and mixed culture processes for plant originated lactic acid to produce a functional lactic acid beverage. Korean J Food & Nutr 24: 117-123. 

  4. Choi JB, Shin YW, Paek NS, Kim YM (2004) Enfluence of herbal extract on lactic acid bacteria growth and cryoprotectants. Korean J Food & Nutr 17: 286-293. 

  5. Choi MO, Kim BJ, Jo SK, Jung HK, Lee JT, Kim HY, Kweon DJ (2013) Anti-allergic activities of Castanea crenata inner shell extracts fermented by Lactobacillus bifermentans. Korean J Food Preserv 20: 583-591. 

  6. Diep DB, Godager L, Brede D, Nes IF (2006) Datami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pediocin-like bacteriocin system from the genome of Pediococcus pentosaceus ATCC 25745. Microbiology 152: 1649-1659. 

  7. Doron S, Snydman DR, Gorbach SL (2005) Lactobacillus GG: Bacteriology and clinical applications. Gastroenterol Clin N Am 34: 483-498. 

  8. Han IJ, Kim MY, Jun SS (2007) Characteristics of dough with red ginseng marc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371-378. 

  9. Han JH, Lee SY (2011) Comparing medical efficacy of Socheongyong-tang with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Socheongyong- tang.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5:246-256. 

  10. Huang CJ, Wang ML, Kuo CY (2008) Studies on the cholesterol removal ability of plant origin lactic acid bacteria. J Taiwan Livestock Res 41: 267-274. 

  11. Hwang SK, Hong JK, Jung KH, Jang BC, Shin JH, Hwang KS, Yoo SK (2008) Process optimization of dextran production by Leuconostoc sp. strain isolated from fermented Kimchi. J Life Sci 18: 1377-1383. 

  12. Igarashi T (2007) Development of beverage and food using plant origin lactic acid bacterium. Bioindustry 24: 32-39. 

  13. JI GE (1994)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intestinal microbial flora in Korean.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2: 453-458. 

  14. Kang DH, Kim HS (2011) Functionality analysis of Korean medicine fermented by Lactobacillus strain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9:259-265. 

  15. Keum YS, Park KK, Lee JM, Chun KS, Park JH, Lee SK, Kwon H, Surh YJ (2000) Antioxidants and anti-tumor promoting activities of the methanol extract of heat-processed ginseng. Cancer Letters 150: 41-48. 

  16. Kim BG, Choi SY, Kim MR, Suh HJ, Park HJ (2010) Changes of ginsenosides in Korean red ginseng(Panax ginseng) ferment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M1. Process Biochem 45: 1319-1324. 

  17. Kim HG, Kim KY, Cha CJ (2007) Screening for ginsengfermenting microorganisms capable of biotransforming ginsenosides. Kor J Microbiol 43: 142-146. 

  18. Kim SE, Lee YH, Park JH, Lee SK (1999) Ginsenoside-Rs3, a new diol-type ginseng saponin, selectively elevates protein levels of p53 and p21 WAF1 leading to induction of apoptosis in SK-HEP-1 cells. Anticancer Research 19: 487- 491. 

  19. Kim WY, Kim JM, Han SB, Lee SK, Kim ND, Park MK, Kim CK, Park JH (2000) Steaming of ginseng at high temperature enhances biological activity. J Nat Prod 63: 1702- 1704. 

  20. Kobayashi Y, Tohyama K, Terashima T (1974) Tolerance of the multiple antibiotic resistant strain, L. casei PSR 3002, to artificial digestive fluids. Jpn J Microbiol 29: 691-697. 

  21. Kumagai T. 2009. Application of plant origin lactic acid bacteria to food. Food Style 21 13: 46-47. 

  22. Mathara JM, Schillinger U, Guigas C, Franz CMAP, Kutima PM, Mbugua S, Shin HK, Holzapfel WH (2008)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sp. from traditional maassai fermented milk products in Kenya. Int J Food Microbiol 126: 57-64. 

  23. Muller DM, Carrasco MS, Tonarelli GG, Simonetta AC (2009) Characterization and purification of a new bacteriocin with a broad inhibitory spectrum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Ip 31 strain isolated from dry-fermented sausage. J Appl Microbiol 106: 2031-2040. 

  24. Ozlem O, fadime K, Ingolf FN (2011) A probiotic as biotherapeutic agents: present knowledge and future prospects. Curr Pharm Des 8: 99-100. 

  25. Park JW, Lee JC, Ann S, Seo DW, Choi WS, Yoo YH, Park SK, Choi JY, Um SH, Ahn SH, Han JW (2011) A fermented ginseng extract, BST204, inhibits proliferation and motility of human colon cancer cells. Biomol Ther 19: 211- 217. 

  26. Park SH, Yang S, Lee JH, Kang M (2013) Selection of phytate- degrad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and reaction properties in brown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627-632. 

  27. Rho SK, Song JS, Park KH (2001) Alcohol fermentabillity of Insam starch and characteristics of Insam wine. Food Eng Prog 5: 43-51. 

  28. Ryu BH, Cho SH, Ha SW, Park KM, Kang KH (1998) Changes of the intestinal microflora and fecal properties by intake of yoghurt added capsulated or uncapsulated bifidobacteria. Kor J Appl Microbial Biotechnol 26: 221-225. 

  29. Wee YJ, Kim HO, Yun JS, Ryu HW (2006) Pilot-scale lactic acid production via batch culturing of Lactobacillus sp. RKY2 using corn steep liquor as a nitrogen source. Food Technol Biotechnol 44:293-2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