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청국장 제조시 마늘의 첨가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the Addition of Garlic in Cheonggukjang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9 no.6, 2013년, pp.661 - 669  

황초롱 ((재)남해마늘연구소) ,  심혜진 ((재)남해마늘연구소) ,  김경민 ((재)남해마늘연구소) ,  조계만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과학부) ,  김정환 (경상대학교 식품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신정혜 ((재)남해마늘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마늘을 이용한 청국장의 제조조건을 최적화 하고자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마늘의 첨가량($X_1$), 마늘 열처리시간($X_2$) 및 청국장 발효시간($X_3$)을 독립변수로 하고, 점질물 생성량($Y_1$), 산도($Y_2$), 아미노태 질소량($Y_3$), ${\gamma}$-GTP($Y_4$) 및 ABTS 라디칼 소거능($Y_5$)을 종속변수로 하여 반응표면분석을 실시하였다. 점질물 생성량의 정상점은 최대점으로 실제변수인 마늘의 첨가량이 6.53%, 열처리 시간 6.81분, 청국장 발효시간 55.18시간에서 13.02%의 최적 값을 보였다. 산도는 청국장의 발효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으며, 최소값인 0.50%를 나타내는 마늘 첨가량의 실제변수는 7.75%, 열처리 시간은 3.42분, 청국장 발효는 58.60시간이었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80.58~158.82 mg% 범위였는데 정상점은 안장점으로 능선분석을 통해 얻어진 아미노태 질소의 최고값은 156.97 mg%였다. 이 때 마늘 첨가량 및 열처리 시간은 각각 6.21% 및 14.85분, 청국장 발효시간은 58.04시간이었다. ${\gamma}$-GTP 활성은 353.66 mU/mL의 최대값을 가질 때, 마늘 첨가량, 마늘 열처리 시간 및 청국장 발효시간이 각각 5.73%, 6.99분, 57.96시간 이었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마늘 첨가량과 청국장 발효시간을 낮추고 마늘의 열처리 시간을 높이는 경우 76.43%의 최고값 얻을 수 있었는데, 이에 따른 실제변수의 마늘의 첨가량과 열처리시간은 각각 3.78% 및 14.28분과 청국장 발효시간은 57.99시간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마늘이 첨가된 청국장 제조를 위해 마늘은 불린 콩 무게 대비 3.78~7.75%로 첨가하되 3.42~14.85분의 범위에서 스팀가열한 후 사용하며, 55~59시간 정도 발효시키는 것이 적합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optimal composition of Cheonggukjang added with garlic. The experiment utilized a central composite design (CCD). The evaluation was carried out by means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hich included 18 experimental points with three independent va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늘의 첨가량, 열처리 시간 및 청국장의 발효시간을 달리하여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청국장을 제조하고, 품질관련 인자를 분석함으로써 마늘이 첨가된 청국장의 최적의 발효조건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국장은 된장이나 고추장에 비해 어떤 성분의 함량이 높게 나타나는가? 청국장은 일반 장류와는 달리 삶은 콩에 Bacillus속 미생물을 접종해 속성 발효한 후 식품에 가미하여 식용하기 때문에 제조기간이 짧으며, 된장이나 고추장에 비해 단백질, 필수아미노산, 비타민 B1, B2 및 나이아신 등의 함량이 높다(Hong JY 등 2008). 또한 콩에서 기인된 isoflavone, phytic acid, saponin, tocopherol 등의 각종 생리활성 물질과 항산화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콜레스테롤 저하, 항고혈압, 항암, 항산화 및 혈전용해 활성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과 관련된 연구 결과가 보고되어 있다(Song JER 등 2004, Min HK 등 2008, Park MK 2011).
청국장에서 콩에서 기인한 각종 생리 활성 물질은 어떤 것이 있는가? 청국장은 일반 장류와는 달리 삶은 콩에 Bacillus속 미생물을 접종해 속성 발효한 후 식품에 가미하여 식용하기 때문에 제조기간이 짧으며, 된장이나 고추장에 비해 단백질, 필수아미노산, 비타민 B1, B2 및 나이아신 등의 함량이 높다(Hong JY 등 2008). 또한 콩에서 기인된 isoflavone, phytic acid, saponin, tocopherol 등의 각종 생리활성 물질과 항산화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콜레스테롤 저하, 항고혈압, 항암, 항산화 및 혈전용해 활성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과 관련된 연구 결과가 보고되어 있다(Song JER 등 2004, Min HK 등 2008, Park MK 2011).
마늘의 단점은? 마늘에 함유된 주요물질인 함황아미노산의 일종인 alliin은 allinase에 의해 분해되어 마늘 특유의 자극성 신미성분인 allicin을 생성하게 되고(Stoll A와 Seebeck E 1951), 이때 생성된 allicin 등의 thiosulfinates 화합물이 항산화, 항암, 항혈전, 콜레스테롤 저하 등의 생리적 기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Nishmura H 등 1988, Kim HJ 등 2010). 그러나 마늘에 존재하는 다량의 유기 황화합물은 주요 생리활성 발현에 관여함과 동시에 강한 향과 매운 맛의 자극성으로 인하여 생으로 일정량 지속적으로 섭취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li M. 1995. Mechanism by which garlic (Allium sativum) inhibits cyclooxygenase activity. Effect of raw versus boiled garlic extract on the synthesis of prostanoids. Prostag Leukotr Ess 53: 397-400 

  2. Ann YG. 2011. Changes in compontents and peptides during fermentation of chunggukjang. Korean J Food Nutr 24: 124-131 

  3. Bordia T, Mohammed N, Thomson M, Ali M. 1996. An evaluation of garlic and onion as antithrombotic agents. Prostag Leukotr Ess 54: 183-186 

  4. Bae HJ, Chun HJ. 2002. Changes in volatile sulfur compounds of garlic under various cooking condition.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365-371 

  5. Choi UK, Ji WD, Chung YG. 1998. Characteristics of chunggugjang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DC-2.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846-851 

  6. Choi YH, Shim YS, Kim CT, Lee C, Shin DB. 2007. Characteristics of thiosulfinats and volatile sulfur compounds from blanched garlic reacted with allinase. Korean J Food Sci Techonl 39: 600-607 

  7. Choe JS, Yoo SM, Kim HI, Kim JS, Chang CM. 1999. Volatile compounds of chungkookjang prepared by different fermentation methods and soybean cultivar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2: 111-115 

  8. Cavallito CJ, Buck JS, Suter CM. 1944. Allicin the antibacterial principle of Allium sativum: 1. Determination of the chemical structure. J Am Chem Soc 66: 1952-1954 

  9. Hong JY, Kim EJ, Shin SR, Kim TW, Lee IJ. 200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ungkookjang containing korean red ginseng and rubus coreanus. Koreoan J Food Preserv 15: 872-877 

  10. Hong SC and Kwon DJ. 2011.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gkookjang added with Deodeok. Korean J Food Preserv 18: 171-177 

  11. Im CM, Kwon SH, Bae MS, Jung KO, Moon SH, Park KY. 2006. Characteristics and increased antimutagenic effect of black soybean (var. Seoritae) chungkukjang. Cancer Prev Res 11: 218-224 

  12. Jang EK, Seo JH, Lee SP. 2008.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aged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443-448 

  13. Jung JB, Choi SK, Jeong DY, Kim YS, Kim SY. 2012. Effects of germination time of soybean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fermented with an isolated bacterial strain.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69-75 

  14. Jung YJ, Woo SM, Kwon JH, Choi MS, Seong JH, Lee JW.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d ginseng Cheonggukjang according to addition methods of red ginse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889-895 

  15. Jo SJ, Oh SM, Jang EK, Jang EK, Hwang Ki, Lee SP. 200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arrot juice fermented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10-216 

  16. Joo HK. 1996. Studies on chemical composition of commercial Chungkookjang and flavor compounds of Chungkookjang by mugwort(Artemisia asiatica) or red paper seed oil. Korean Soybean Digest 13: 44-56 

  17. Kim MB, Oh YJ, Lim SM. 2009.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of garlic from daejeong jeju and major cultivation area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5: 59-66 

  18. Kim JH, Park LY, Lee SH. 2012.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with chinese cabbage. Korean J Food Preserv 19(5): 659-664 

  19. Kim TS, Choi MK, Kim JS, Han JW, Kang MH. 2009. Screening of lignan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ungkukjang fermented with defatted sesame flou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580-1586 

  20. Kim HJ, Han CH, Kim NY, Lee EK, Lee KN, Cho HE, Choi YH, Chong MS. 2010. Effect of garlic extracts with extraction conditions on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y. Korean J Orintal Physiology & Pathology 24: 111-117 

  21. Kang MJ and Shin J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chung containing various level of steamed garlic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865-870 

  22. Kwon OC, Woo KS, Kim TM, Kim DJ, Hong JT, Jeong HS. 2006.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of garlic (Allium sativum L.) on the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331-336] 

  23. Lee BY, Kim DM, Kim KH. 1991. Physico chemical properties of viscous substance extracted from Chungkoo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599-604 

  24. Lee YL, Kim SH, Jung NH, Lim MH. 1992.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viscous substance during the chugkookjang fermentation.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35: 202-209 

  25. Lee YR, Woo KS, Hwang IG, Kim HY, Lee SH, Lee JS, Jeong HS. 2012.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arlic (Allium sativum L.) with different heat and pressure treatm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278-282 

  26. Lee JO, Ha SD, Kim AJ, Yuh CS, Bang IS, Park SH. 2005. Industrial application and physiological functions of Chongkukjang. Food Sci Ind 38: 69-78 

  27. Min HK, Kim HJ, Chang HC. 2008. Growth-inhibitory effect of the extract of porphyran-chungkookjang on cancer cel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826-833 

  28. Nishimura H, Hanny W, Mizutani J. 1988. Volatile flavor components and antithrombotic agent: vinyldithinins from Allium victorialis. J Agric Food Chem 36: 563-569 

  29. Park MK. 2011. Effect of enzymatic hydrolysis by proteases on antioxidant activity of chungkuk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327-333 

  30. Re R, Pellegrini N, Pannala A, Yang M, Rice 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s.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31. Song JER, You HJ, Hwang JS, Lee DS, Kim HB. 2004. Isolation of angiotensin Ι-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 from chungkookjang. Korean J Microbiol 40: 355-358 

  32. Stoll A and Seebeck E. 1951. Chemical investigation on alliin, the specific principle of garlic. Advan Enzymol 11: 377-400 

  33. Shin JH, Kang MJ, Kim RJ, Ryu JH, Kim MJ, Lee SJ, Sung NJ. 2011. Biological activity of browning compounds from processed garlics separated by dialysis membran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357-365 

  34. Shin JH, Choi DJ, Kwen OC.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added steamed garlic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696-702 

  35. Song HS, Kim YM, Lee KT. 2008.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traditional Kochujang added with garlic porridge. J Life Sci 18: 1140-1146 

  36. Shin JH, Kang MJ, Yang SM, Lee SJ, Ryu JH, Kim RJ, sung NJ. 2010.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nal kanjang and garlic added kanjang. J Agric Life Sci 44: 39-48 

  37. Stewart AJ, Bozonnet S, Mullen W, Jenkins GI, Michael EJ, Croaier A. 2000. Qccurrence of flavonols in tomatoes and tomato-based products. J Agric Food Chem 48: 2663-2669 

  38. Youn KC, Kim DH, Kim JO, Park BJ, Yook HS, Cho JM, Byun MW.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hungkookjang fermented by the mixed culture of Bacillus natto and B. licheniform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204-210 

  39. Yoo SM and Chang CM. 1999. Study on the processing adaptability of soybean cultivars for korean traditional Chungkookjang preparation.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2: 91-98 

  40. Zheng Yanfei, Jeong JK, Choi HS, Park KY. 2011. Increased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Chunggukjang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SKm.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694-16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