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듬청각자극을 이용한 후방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ackward Walking with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on Gait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Strok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12, 2013년, pp.6237 - 6245  

현동수 (유성한가족병원 재활치료센터) ,  최종덕 (대전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리듬청각자극을 이용한 후방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21명의 뇌졸중 환자를 무작위로 세 집단으로 나누었고, 실험군I은 전방 보행 훈련 군, 실험군II은 후방 보행 훈련군, 실험군III은 리듬청각자극을 이용한 후방 보행 훈련 군으로 집단마다 7명씩 실험하였다. 실험은 3주간 주 5회 30분씩 실시하였으며 실험 전과 3주간의 실험 후에 각 실험군의 10m 보행 검사,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 기능적 팔 뻗기 검사를 하였고, biodex gait trainer 2를 사용하여 활보장과 보장비대칭 비를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각 군내의 실험 전 후 비교에서 보행속도, 보행대칭성, 균형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변화량을 비교했을 때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보행속도, 보행대칭성과 균형에서는 실험군III, 실험군II, 실험군I 순으로 효과적이였고, 활보장에서는 실험군II와 실험군III이 실험군I보다 효과적이였다. 이 결과를 통하여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보행 운동을 실시할 때 리듬청각자극을 이용한 후방 보행 훈련이 보행속도, 보행대칭성과 균형의 향상에 있어서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backward walking with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on the gait and balance of stroke patients. Twenty-one people were divided randomly into three groups; group I(n=7, forward walking), group II(n=7, backward walking), group III(n=7, backward walking by rhythmic a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부분의 리듬청각자극은 전방 보행이나 트레드밀에서 시행하여 왔으며 후방 보행에 리듬청각자극을 주어 보행훈련의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후방 보행의 단점을 리듬청각자극을 통해 보완하고 리듬청각자극을 이용한 후방 보행 훈련이 임상적으로 적용했을 때 얼마나 효과적인가를 알아보고자 했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중재가 뇌졸중 환자 중재 프로그램 중 하나로 임상적 개발에 기반을 두고, 프로그램 구축의 가능성을 두고자 했다
  • 본 연구는 리듬청각자극을 이용한 후방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속도, 보행 대칭성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1분 동안의 평균 활보장과 좌 · 우 평균 보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후방 보행의 단점을 리듬청각자극을 통해 보완하고 리듬청각자극을 이용한 후방 보행 훈련이 임상적으로 적용했을 때 얼마나 효과적인가를 알아보고자 했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중재가 뇌졸중 환자 중재 프로그램 중 하나로 임상적 개발에 기반을 두고, 프로그램 구축의 가능성을 두고자 했다
  • 후방 보행 훈련 시 초기에 치료사가 환자에게 안전하게 후방 보행을 가르치기 위해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은 뇌혈관 질환에 의해 중추신경계가 갑작스럽게 기능이 소실하는 것으로 기능 소실이 24시간 이상 지속되고 중추신경계의 영구적인 문제를 나타낼 수도 있으며[1],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사람들에게 장애와 기능 제한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이다[2]. 뇌졸중 이후 근육약화, 근육 긴장의 변화, 비정상적 움직임 패턴이 나타나고 걷기, 계단 오르기, 자기 관리와 같은 기능적 활동 수행에 제한을 가지게 된다[3].
뇌졸증 이후 뇌졸중 환자의 신체에 나타나는 부작용 현상에는 무엇이 있는가? 뇌졸중은 뇌혈관 질환에 의해 중추신경계가 갑작스럽게 기능이 소실하는 것으로 기능 소실이 24시간 이상 지속되고 중추신경계의 영구적인 문제를 나타낼 수도 있으며[1],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사람들에게 장애와 기능 제한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이다[2]. 뇌졸중 이후 근육약화, 근육 긴장의 변화, 비정상적 움직임 패턴이 나타나고 걷기, 계단 오르기, 자기 관리와 같은 기능적 활동 수행에 제한을 가지게 된다[3]. 이와 같이 뇌졸중 이후에 활동에 대한 영향을 받고 있고, 환자의 80%에서 보행 능력이 감소된다[4,5].
보행 훈련의 형태인 리듬청각자극의 특징은 무엇인가? 최근 보행 훈련의 형태인 리듬청각자극은 운동체계에 리듬믹한 감각 신호를 사용 하는 것으로 안정된 시간 내에 청각자극과 운동 반응을 동조화 하고, 보행 패턴을 안정감 있게 만들어 보행 능력을 향상 시킨다[15]. 선행 연구에서는 청각리듬을 사용한 보행 훈련이 파킨슨 환자, 다발성 경화증 환자, 외상성 뇌손상 환자와 뇌졸중 환자에게 분속수, 보행속도, 활보장에서 효과가 있다고 하였고[16-19], 뇌졸중 환자에게 리듬청각자극이 보행의 대칭성에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었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alache, A., & Aboderin, I., "Stroke: the global burden", Health policy and planning, Vol. 10, No. 1, pp. 1-21, 1995. DOI: http://dx.doi.org/10.1093/heapol/10.1.1 

  2. de Vries, S., & Mulder, T., "Motor imagery and stroke rehabilitation: a critical discussion",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 39, No. 1, pp. 5-13, 2007. DOI: http://dx.doi.org/10.2340/16501977-0020 

  3. Sharp, S. A., & Brouwer, B. J.,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of the hemiparetic knee: effects on function and spasticit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78, No. 11, pp. 1231-1236, 1997. DOI: http://dx.doi.org/10.1016/S0003-9993(97)90337-3 

  4. Friedman, P. J., "Gait recovery after hemiplegic stroke", Disability & Rehabilitation, Vol. 12, No. 3, pp. 119-122, 1990. DOI: http://dx.doi.org/10.3109/03790799009166265 

  5. Jorgensen, H. S., Nakayama, H., Raaschou, H. O., & Olsen, T. S., "Recovery of walking function in stroke patients: the Copenhagen Stroke Stud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76, No. 1, pp. 27-32, 1995. DOI: http://dx.doi.org/10.1016/S0003-9993(95)80038-7 

  6. Bohannon, R. W., Morton, M. G., & Wikholm, J. B., "Importance of four variables of walking to patients with stroke",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 14, No. 3, pp. 246-250, 1991. DOI: http://dx.doi.org/10.1097/00004356-199109000-00010 

  7. Hsu, A. L., Tang, P. F., & Jan, M. H., "Analysis of impairments influencing gait velocity and asymmetry of hemiplegic patients after mild to moderate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84, No. 8, pp. 1185-1193, 2003. DOI: http://dx.doi.org/10.1016/S0003-9993(03)00030-3 

  8. Jonsdottir, J., & Cattaneo, D.,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ynamic gait index in persons with chronic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88, No. 11, pp. 1410-1415, 2007. DOI: http://dx.doi.org/10.1016/j.apmr.2007.08.109 

  9. Michael, K. M., Allen, J. K., & Macko, R. F., "Reduced ambulatory activity after stroke: the role of balance, gait, and cardiovascular fitnes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86, No. 8, pp. 1552-1556, 2005. DOI: http://dx.doi.org/10.1016/j.apmr.2004.12.026 

  10. Bohannon, R. W., Andrews, A. W., & Smith, M. B., "Rehabilitation goals of patients with hemiplegia",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 11, No. 2, pp. 181-184, 1988. DOI: http://dx.doi.org/10.1097/00004356-198806000-00012 

  11. Thomas, M. A., & Fast, A., "One step forward and two steps back: The dangers of walking backwards in therapy",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Vol. 79, No. 5, pp. 459-461, 2000. DOI: http://dx.doi.org/10.1097/00002060-200009000-00011 

  12. Threlkeld, A. J., Horn, T. S., Wojtowicz, G., Rooney, J. G., & Shapiro, R., "Kinematics, ground reaction force, and muscle balance produced by backward running.", The Journal of orthopa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 11, No. 2, p. 56, 1989. 

  13. Yang, Y. R., Yen, J. G., Wang, R. Y., Yen, L. L., & Lieu, F. K., "Gait outcomes after additional backward walking training in patients with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ical Rehabilitation, Vol. 19, No. 3, pp. 264-273, 2005. DOI: http://dx.doi.org/10.1191/0269215505cr860oa 

  14. Takami, A., & Wakayama, S., "Effects of partial body weight support while training acute stroke Patients to walk backwards on a treadmill-a controlled clinical trial using randomized allocation",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Vol. 22, No. 2, pp. 177-187, 2010. DOI: http://dx.doi.org/10.1589/jpts.22.177 

  15. Thaut, M. H., Leins, A. K., Rice, R. R., Argstatter, H., Kenyon, G. P., McIntosh, G. C., Bolay, H. V., & Fetter, M.,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improves gait more than NDT/Bobath training in near-ambulatory patients early poststroke: A single-blind, randomized trial", Neurorehabilitation & Neural Repair, Vol. 21, No. 5, pp. 455-459, 2007. DOI: http://dx.doi.org/10.1177/1545968307300523 

  16. Thaut, M. H., McIntosh, G. C., & Rice, R. R., "Rhythmic facilitation of gait training in hemiparetic stroke rehabilitation", Journal of the Neurological Sciences, Vol. 151, No. 2, pp. 207-212, 1997. DOI: http://dx.doi.org/10.1016/S0022-510X(97)00146-9 

  17. Conklyn, D., Stough, D., Novak, E., Paczak, S., Chemali, K., & Bethoux, F., "A home-based walking program using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improves gait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multiple sclerosis: a pilot study", Neurorehabilitation & Neural Repair, Vol. 24, No. 9, pp. 835-842, 2010. DOI: http://dx.doi.org/10.1177/1545968310372139 

  18. Hurt, C. P., Rice, R. R., McIntosh, G. C., & Thaut, M. H.,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in gait training for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Journal of music therapy, Vol. 35, No. 4, p. 228, 1998. 

  19. Suteerawattananon, M., Morris, G. S., Etnyre, B. R., Jankovic, J., & Protas, E. J., "Effects of visual and auditory cues on gait in individuals with Parkinson's disease", Journal of the Neurological Sciences, Vol. 219, No. 1, pp. 63-69, 2004. DOI: http://dx.doi.org/10.1016/j.jns.2003.12.007 

  20. Kurz, M. J., Wilson, T. W., & Arpin, D. J., "Stride-time variability and sensorimotor cortical activation during walking", NeuroImage, Vol. 59, No. 2, pp. 1602-1607, 2012. DOI: http://dx.doi.org/10.1016/j.neuroimage.2011.08.084 

  21. C. Y., Kim, I. M., Park, & D. W., Oh, "Comparison of the effect of treadmill gait training and overground gait training on gait function in stroke patients", Korea Journal of Neural Rehabilitation, Vol. 1, No. 1, pp. 13-20, 2011. 

  22. Davies, P. M., Right in the middle: selective trunk activity in the treatment of adult hemiplegia, pp. 224-238, Springer Verlag., 1990. 

  23. Eifert-Mangine, M., Minning, S., Desai, H., Papania, N., Mangine, R. E., & Holloway, J.,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biodex gait trainer", The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Vol. 35, No. 1, PO186, 2005 

  24. Dean, C. M., Richards, C. L., & Malouin, F., "Task-related circuit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locomotor tasks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81, No. 4, pp. 409-417, 2000. DOI: http://dx.doi.org/10.1053/mr.2000.3839 

  25. Podsiadlo, D., &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 39, No. 2, p. 142, 1991. 

  26. Behrman, A. L., Light, K. E., Flynn, S. M., & Thigpen, M. T., "Is the functional reach test useful for identifying falls risk among individuals with Parkinson's diseas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83, No. 4, pp. 538-542, 2002. DOI: http://dx.doi.org/10.1053/apmr.2002.30934 

  27. S. H., Cho, & S. G., Kim, "The effect of depending on variations of speed in backward walking on lower extremities muscl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5 pp. 2199-2205, 2012.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2.13.5.2199 

  28. S. H., Lee, K. J., Lee, G. H., Ha, T. S., In, & C. H., Song, "The effects of thythmic auditory stimulation on the gait symmetry in the chron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2, No. 5 pp. 2187-2196, 2011.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1.12.5.21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