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청소년에서 공수병 예방접종 및 교상 후 조치 현황: 최근 5년간 국립중앙의료원에서의 경험
Five Year Experience of Preexposure and Postexposure Rabies Prophylaxis in Korean Children at the National Medical Center 원문보기

소아감염 = Korean journal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v.20 no.1, 2013년, pp.9 - 16  

노진철 (국립중앙의료원 소아청소년과) ,  박향미 (국립중앙의료원 소아청소년과) ,  박종현 (국립중앙의료원 소아청소년과) ,  원연경 (국립중앙의료원 소아청소년과) ,  이창휴 (국립중앙의료원 소아청소년과) ,  김재윤 (국립중앙의료원 소아청소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본 연구는 국립중앙의료원 단일기관에서 경험한 공수병 예방접종 및 교상 후 조치 현황에 대하여 기술하고 최근의 국외 및 국내 공수병 예방조치 지침과 비교하여 적절한 교상 후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방 법 : 2006년 1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공수병 예방접종 및 교상 후 조치를 위해 국립중앙의료원에 내원한 만 18세 이하 41명을 대상으로 하여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나이, 성별, 상처부위, 물린 동물 종류, 물린 지역, 발생일로부터 내원일까지의 기간, 공수병 예방접종 및 면역글로불린 접종 실시 여부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연구기간 중 공수병 예방접종 및 교상 후 조치를 위해 본원에 방문한 만 18세 이하 소아는 41명이었고 교상 전 예방접종을 위해 내원한 소아 11명, 교상 후 예방조치를 위해 내원한 소아 30명이었다. 연령분포를 보면 6세 이후(83.3%)가 많았다. 물린 동물은 개에 의해 가장 많이 발생하여 전체 교상환자 30명 중 27명(90%)을 차지했다. 물린 부위는 다리(9명, 30%), 손(8명, 26.7%)에 많이 물렸다. 교상부위가 미파악된 경우는 전체 교상환자 30명 중 7명(23.3%)이었다. 전체 교상환자 중에서 동물에 대한 광견병 백신 접종을 받았는지 안 받았는지를 알 수 있는 경우는 30명중 10명이었고 이중 4명이 광견병 백신을 접종받은 동물에 의해 교상을 당하였다. 동물의 광견병 백신접종 여부에 따라 교상 후 치료형태를 나누어 보면 광견병 백신을 접종 받은 동물에 의한 교상환자 4명 중 1명(25%)이 상처소독 등의 1차적인 응급조치만 행해졌고 나머지 3명(75%)은 교상 후 조치(교상 후 조치 완료)를 받았다. 반면에 야생동물을 포함하여 광견병 백신접종을 받지 않았거나 백신접종 이력이 불명확한 동물에 의한 교상환자 26명중 9명(34.6%)이 응급조치만 하였으며 나머지 17명(65.4%)은 교상 후 조치 미완료 또는 교상 후 조치를 완료하였다. 결 론 : 이러한 결과는 야생동물을 포함하여 광견병 백신접종을 받지 않았거나 광견병 백신접종 이력이 불명확한 동물에 의한 교상환자에게 교상 후 조치를 실시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적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앞으로 국내에서 공수병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먼저 공수병 예방 및 관리 지침에 따른 교상 후 조치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며 교상환자, 해당동물 및 교상지역에 관한 정보를 정확히 기록해야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reexposure prophylaxis and postexposure prophylaxis of rabies that the National Medical Center (NMC) handled and to check whether appropriate measure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cent domestic and overseas guidelines after animal bites. Methods : Thi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국립중앙의료원에서 경험한 공수병 교상 전 및 교상 후 조치 현황을 파악하고 예방조치가 국내 및 국외 지침과 비교해 적절하게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 목적 : 본 연구는 국립중앙의료원 단일기관에서 경험한 공수병 예방접종 및 교상 후 조치 현황에 대하여 기술하고 최근의 국외 및 국내 공수병 예방조치 지침과 비교하여 적절한 교상 후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람에게 공수병 바이러스가 들어오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공수병(rabies)은 공수병 바이러스(rabies virus)에 의해 발병하는 대표적인 인수공통감염병(zoonotic diseases)이며 사람의 질병은 공수병이라고 부르며 동물의 질병은 광견병이라 칭한다. 사람은 대부분 광견병에 걸린 동물에 물리거나 할퀸 상처를 통해 공수병 바이러스가 체내로 침입하여 감염되는데 사망률이 매우 높은 중추신경계질환 이다1).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의 발표에 따르면 150개국 이상에서 공수병이 발생하고 있고 연간 55,000명이 사망(40%는 만 15세 이하)하며 사망자의 56%가 아시아에서, 44%는 아프리카에서 발생 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실제로는 훨씬 많은 사람들이 사망할 것으로 예상된다2).
공수병의 전구 증상은 무엇입니까? 전구증상으로 발열, 오한, 병감, 피로, 불면증, 식욕부진, 두통, 불안 증상이 있을 수 있고 물린 부위의 통증, 가려움, 감각이상이 생길 수 있다. 공수병에는 2가지의 임상적 형태, 즉 encephalitic form (furious)과 paralytic form (dumb)이 있는데 encephalitic rabies은 공수병의 80%정도에서 나타나고 섬망, 불안, 흥분, 자율신경계 이상증상(과도한 침흘림, 땀 등)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약 50%-80%의 환자에서 공수증(hydrophobia)이 발생한다.
공수병 바이러스는 무엇입니까? 공수병 바이러스는 negative stranded RNA virus이며 Rhabdoviridae과 Lyssavirus 속에 속하는 탄환모양의 바이러스이고 포유동물에 있어 급성 뇌염(acute encephalitis)을 일으켜 사망률이 거의 100%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4). 교상 후에 타액 속에 있는 바이러스는 교상 부위의 근육과 피하조직에 침전되어 근육에서 증식한 다음 신경근 연결부에 분포하고 있는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에 결합하여 말초신경내로 침입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Park JS, Han MG. General features and post-exposure prophylaxis of rabies. Infect Chemother 2010;42:6-11. 

  2. WHO Expert consultation on Rabies. WHO Technical report Series 931. WHO, Geneva, Switzerland, 2005 [available at http://www.who.int/rabies/trs931 %2006 05.pdf] 

  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ases of animal biting occurred in rabies risk regions in 2008 and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rabies. Public Health Weekly Rep 2009;14:217-20. 

  4. Johnson N, Cunningham AF, Fooks AR. The immune response to rabies virus infection and vaccination. Vaccine 2010;28:3896-901. 

  5. Jackson AC. Rabies. Neurol Clin 2008;26:717-26. 

  6. Jackson AC, Phelan CC, Rossiter JP. Infection of Bergmann glia in the cerebellum of a skunk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street rabies virus. Can J Vet Res 2000;64:226-8. 

  7. Fooks AR, Johnson N, Freuling CM, Wakeley PR, Banyard AC, et al. Emerging technologies for the detection of rabies virus: challenges and hopes in the 21st century. PLoS Negl Trop Dis 2009;3:e530. 

  8. Susilawathi NM, Darwinata AE, Dwija IB, Budayanti NS, Wirasandhi GA, Subrata K, et al. Epidemiological and clinical features of human rabies cases in Bali 2008- 2010, BMC Infectious Diseases 2012;12:81. 

  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uman rabies prevention and control.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5-65. 

  10. Jackson AC. Update on rabies. Res Rep Trop Med 2011;2:31-43. 

  11. Kim CH, Lee CG, Yoon HC, Nam HM, Park CK, Lee JC, et al. Rabies, an emerging disease in Korea. J Vet Med B Infect Dis Vet Public Health 2006;53:111-5. 

  12. Yang DK, Kim SY, Oh YI, Lee JA, Cho SD, Lee KW, et al.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rabies in South Korea from January 2004 to March 2011. J Bacteriol Virology 2011;41:165-71. 

  13. Han MG. Animal bite cases in high-risk region of rabies, 2010. Public Health Weakly Rep 2011;4:481-5. 

  14. Jackson AC, Warrell MJ, Rupprecht CE, Ertl HC, Dietzschold B, O'Reilly M, et al. Management of rabies in humans. Clin Infect Dis 2003;36:60-3. 

  15. Wilde H, Hemachudha T, Jackson AC. Viewpoint: Management of human rabies. Trans R Soc Trop Med Hyg 2008;102:979-82. 

  16.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02. Current WHO guide for rabies pre- and post-exposure treatment in humans. WHO, Geneva (www.who.int/entity/rabies/en/ WHO_guide_rabies_pre_post_exp_treat_humans.pdf accessed on 21 August 2012). 

  17. Dodet B, Asian Rabies Expert Bureau. An important date in rabies history. Vaccine 2007;25:8647-50. 

  18. Warrell MJ. Current rabies vaccines and prophylaxis schedules: preventing rabies before and after exposure. Travel Med Infect Dis 2012;10:1-15. 

  19.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Rabies Vaccination. In: Lee HJ, ed. Immunization Guideline. 7th ed. Seoul: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12:224-30. 

  20.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Use of a reduced (4-Dose) vaccine schedule for postexposure prophylaxis to prevent human rabies, 2010: recommendations of the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 (ACIP). Morb Mortal Wkly Rep 2010;59(RR-2):1-9. 

  21. Gautret P, Parola P. Rabies vaccination for international travelers. Vaccine 2012;30:126-33. 

  22. Stradya C, Andreolettib L, Baumarda S, Servettaz A, Jaussauda R, Stradya A. Immunogenicity and booster efficacy of pre-exposure rabies vaccination. Trans R Soc Trop Med Hyg 2009;103:1159-64. 

  23. Yang DK, Yoon SS, Lee KK, Byun JW, Bae YC, Oh YI, et al. Rabies immune status in the stray and companion dogs in Korea. Korean J Vet Res 2010;50:13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