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11년까지 2년 동안 천수만 수질환경의 시공간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16개 정점에서 수층(표층과 저층)별 격월별로 년 6회 수온, 염분, 부유물질, 화학적산소요구량, 용존산소, 영양염류, 엽록소 a 에 대해 조사한 결과, 표층수와 저층수 간에는 아질산질소, 질산질소 및 용존무기질소을 제외한 모든 조사항목에서 표 저층 간의 차이가 컸었다. 공간적 분포특성은 전조사 항목에서 정점 간 차이가 적었으나, 주성분 분석결과 표층에서는 부남호 영향을 받는 정점 1 과 중간역인 정점 2~11 및 입구쪽인 정점 12~16로 구분되어지고, 저층에서는 표층과 마찬가지로 정점1과 죽도 북측연안의 정점 2~7 및 정점 8~16의 세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격월별로는 저층의 부유물질을 제외한 전조사 항목에서 유의성이 입증되었으며, 정점별로 차이가 있어 내측은 격월별 변화가 큰 상태이었고 입구측으로 갈수록 변화폭이 줄어드는 경향이었다. 수질의 시간적 변동은 표층과 저층에서 세 그룹으로 구분되어지나 경향은 차이가 있었으며 대부분의 조사월에서 영양염류가 낮은 상태이었다. 생태기반 해수수질 기준은 II등급(좋음) 수준이며, 격월별로는 6월과 8월은 III등급(보통), 10월과 12월은 II등급(좋음), 2월과 4월은 I등급(매우좋음)으로 구분되어 경인연안, 아산연안, 목포연안 및 군산연안과 마찬가지로 육수 유입의 원인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were investigated in the Cheonsu Bay of Yellow Sea, Korea from 2010 to 2011.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16 stations and physicochemical parameters were analyzed including water temperature, salinity, suspended solids (SS), chemical oxygen dem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부영양화는 생태계에 유기물질의 유입 비율이 증가하는 것이며, 세계 여러 지역에서 연안역의 부영양화는 악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Nixon, 1995). 본 해역의 수질환경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으로서 본 연구는 각종 양식어업이 성행하고 있으며 수산자원의 산란 서식장으로 중요한 천수만에 대해 어장환경 모니터링의 일환으로 2010년 2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2년간 실시한 일반 해양환경성분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로서 천수만에 대한 시공간적인 환경변동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천수만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해양환경관리 및 보전정책수립의 환경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수만의 지리적 특성은 무엇인가? 천수만은 한반도 서해안에 위치하여 충청남도 보령, 홍성, 서산, 태안군의 육지와 안면도, 효자도, 원산도 등의 도서로 둘러싸인 반폐쇄성 내만으로서 만 입구의 폭은 약 5 km이고만의 폭은 죽도의 등서를 기준으로 약 9 km이며 만의 길이는 약 35 km로서 수면적은 380 km2이었으나 방조제 건설 등으로 인하여 179 km2로 감소하였고, 수심은 10~25 m로 대조시의 조차는 8 m에 이른다(Park et al., 2000; Lee et al.
수질변동의 요인을 구명하기 위해 무엇을 하였는가? 수질변동의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격월별 및 정점별 수질항목간 상관분석(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을 통하여 a=0.05 유의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상기의 분석은 PC SAS를 이용하였다(Lee et al., 2003; STI, 2005).
천수만의 면적변화는 어떻게 되는가? 1978년 11월 22일 이 지역 248.8 km2를 수산자원보전 지역으로 고시하였다. 그러나 1980년부터 1984년까지의 서산 AB지구 간척공사로 1986년 5월 10일 27.24 가 감소된 221.56 km2를 보전지역으로 변경고지 되는 등 감소되어 2010년 12월 9일에 146.915 km2로 변경하였다. 본 해역은 수산자원학적으로 중요한 해역이나 근래에 들어서 하절기에 저서 생물의 폐사 현상과 적조 현상이 발생하는 추세에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Choi, J. D. and J. G. Kim(2002), Bacter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 of Sea Water and Sediments in South Western Part of Jinhae Bay, Korea,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35, No. 6, pp. 621-626. 

  2. Chung, H. M., M. W. Kim, K. H. Lee and S. J. Kim(1989), Numerical Analysis of Bacterial Community in Cheonsu bay, The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Vol. 27, No. 3, pp. 265-271. 

  3. Fock, H. O.(2003), Changes in the seasonal cycles of inorganic nutrients in the coastal zone of the southeastern North Sea from 1960 to 1997: effects of eutrophication and sensitivity to meteoclimatic factors,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46, pp. 1434-1449. 

  4. Gentilhomme, V. and F. Lizon(1998), Seasonal cycle of nitrogen and phytoplankton biomass in a well-mixed coastal ecosystem (Eastern English Channel), Hydrobiologia, Vol. 361, pp. 191-199. 

  5. Gong, Y.(1971), A Study on the South Korean Coastal Front, The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6, No. 1, pp. 25-36. 

  6. Kim, J. G. and Y. S. Kim(2002), Application of Ecosystem Model for Eutrophication Control in Coastal Sea of Saemankeum Area -1.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Nutrients Released from Sediments,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35, No. 4, pp. 348-355. 

  7. Lee, J. W., C. Park, D. B. Lee and S. W. Lee(2012), Variations in Plankton Assemblage in a Semi-Closed Chunsu Bay, Korea,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praphy, Vol. 17, No. 2, pp. 95-111. 

  8. Lee, S. H., H. S. Hoang, S. H. Lee and J. R. Kim(2003), WIN SAS V8, Kyowoosa, Korea, p. 414. 

  9. Lee, T. W.(1989), Seasonal Fluctuation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Demersal Fishes in Cheonsu Bay of the Yellow Sea, Korea,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22, No. 1, pp. 1-8. 

  10. Lee, T. W.(1996), Change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Chonsu Bay 1. Demersal Fish, J. Korean Fish. Soc, Vol. 29, No. 1, pp. 71-83. 

  11. Lee, T. W.(1998), Change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Chonsu Bay 3. Pelagic Fish, J. Korean Fish. Soc. Vol. 31, No. 5, pp. 654-664. 

  12. Lee, T. W. and K. J. Seok(1984), Seasonal Fluctua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Cheonsu Bay Using Trap Net Catches, The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19, No. 2, pp. 217-227. 

  13. MLTM(2008), A Guidebook for the Seawater, Sediment and Marine Biota Analyses in Ocean Environment, MLTM Directive No. 2008-268, p. 454. 

  14. MLTM(2010), A Guidebook for the Seawater, Sediment and Marine Biota Analyses in Ocean Environment, MLTM Directive No. 2010-491, p. 495. 

  15. Moon, C. H., C. Park and S. Y. Lee(1993), Nutrients and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Asan Bay,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26, No. 2, pp.173-181. 

  16. Nam, H. J., S. Heo, S. Y. Park, U. K. Hwang, J. S. Park and H. K. Lee(2012),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the Garorim Bay,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al & Safety, Vol. 18, No. 2, pp. 101-114. 

  17. Nixon, S. W.(1995), Coastal marine eutrophication: a definition, social causes, and future concerns. Ophelia, Vol. 41, pp. 199-219. 

  18. Oh, H. Y.(1991), A study on the Annual Changes of Water Quality in Chonsu Bay-After Reclamation of Sosan A and B area, Master Thesis, Han-Yang University, p. 49. 

  19. Park, G. S. and S. Y. Park(2000), Long-term trends and temporal heterogeneity of water quality in tidally mixed estuarine waters.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40, No. 17, pp. 1201-1209. 

  20. Park, H. S., H. S. Lim and J. S. Hong(2000), Spatio- and temporal patterns of benthic environment and macrobenthos community on subtidal soft-bottom in Chonsu Bay, Korea, J. Korean Fish. Soc., Vol. 33, No. 3, pp. 262-271. 

  21. Park, S. Y., H. C. Kim, P. J. Kim, G. S. Park, J. P. Kim, J. Y. Ko, S. B. Jeon, S. M. Lee and J. S. Park(2009b), Long-term Variation and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the Garolim Coastal Areas of Yellow Sea,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al & Safety, Vol. 15, No. 4, pp. 315-328. 

  22. Park, S. Y., G. S. Park, J. P. Kim, P. J. Kim, J. P. Kim, J. H. Park and S. Y. Kim(2006), Long-term Changes and Variational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the Cheonsu Bay of Yellow Sea, Korea,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 15, No. 5, pp. 447-459. 

  23. Park, S. Y., G. S. Park, K. J. Seok, H. J. Oh, Y. S. Lee and J. P. Kim (1999), Spatio tempor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and Eutrophication in the Kyunggi Bay of Yellow Sea, Korea, Bull. Nat'1. Fish. Res. Dev. Inst. Korea, Vol. 56, pp. 189-204. 

  24. Park, S. Y., H. C. Kim, P. J. Kim, G. S. Park and J. S. Park(2007), Long-term Variation and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the Asan Coastal Areas of Yellow Sea, Korea,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 16, No. 12, pp. 1411-1424. 

  25. Park, S. Y., O. I. Choi, J. N. Kwon, K. A. Jeon, J. Y. Jo, H. C. Kim, P. J. Kim and J. S. Park(2009a), Long-term Variation and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the Gunsan Coastal Areas of Yellow Sea,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al & Safety, Vol. 15, No. 4, pp. 297-313. 

  26. Park, S. Y., S. S. Kim, P. J. Kim, E. S. Cho, B. M. Kim, S. B. Jeon and S. J. Jang(2011), Long-term Variation and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the Yeoja Bay of South Sea,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al & Safety, Vol. 17, No. 3, pp. 203-218. 

  27. Park, S. Y., S. S. Kim, P. J. Kim, E. S. Cho, S. Y. Kim, Y. S. Choi, B. M. Kim and D. U. Kim(2010), Long-term Variation and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the Mokpo Coastal Areas of Yellow Sea,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al & Safety, Vol. 16, No. 4, pp. 321-337. 

  28. Park, Y. C.(1988), Biochemical Study of Nitrogen Regeneration by Zooplankton in the Kyungki Bay, Yellow Sea, Inha University, Incheon, pp. 19-40. 

  29. Redfield, A. C., B. H. Ketchum, F. A. Richards(1963), The influence of organisms on the composition of seawater, pp. 26-77. In: The sea Vol. 2 (ed. Hill, M. N.). Interscience, New York. 

  30. Ryu, S. O. and J. H. Chang(2005), Characteristics of Tidal Beach and Shoreline Changes in Chonsu Bay, West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ol. 26, No.6, pp. 584-596. 

  31. Shim, J. H. and H. G. Yeo(1988),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Phytoplankton in Chonsu Bay, The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23, No. 3, pp. 130-145. 

  32. Shim, J. H. and K. H. Yun(1990), Seasonal Variation and Production of Zooplankton in Chonsu Bay, Korea, The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25, No. 4, pp. 229-239. 

  33. Shim, J. H. and W. H. Lee(1979), On Phytoplankton of the Cheonsu Bay, West Coast, The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14, No. 1, pp. 6-14. 

  34. Shim, J. H. and Y. K. Shin(1989), Biomass of Primary Producer in the Chonsu Bay-Relationships between Phytoplankton Carbon, Cell Number and Chlorophyll, The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24, No. 4, pp. 194-205. 

  35. Shin, Y. K., J. H. Shin, J. S. Jo and Y. C. Park(1990), Relative Significance of Nanoplankton in Chonsu Bay: Species Composition, Abundance, Chlorophyll and Primary Productivity, The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25, No. 4, pp. 217-228. 

  36. So, J. K., K. T. Jung and J.W. Chac(1998), Numerical Modeling of Changes in Tides and Tidal Currents Caused by Embankment at Chonsu Ba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ol. 10, No. 4, pp. 151-164. 

  37. Song, Y. H., M. S. Choi and Y. W. Ahn(2011), Trace Metals in Chun-su Bay Sediments,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praphy, Vol. 14, No. 4, pp. 169-179. 

  38. STI(2005), Data Analysis using the SAS, STI Directive No. 2005-02-05, p. 328. 

  39. Wafar, M. V. M., P. Le Corre and J. L. Birrien(1983), Nutrients and primary production in permanently well-mixed temperate coastal waters. Estuar. Coast. Shelf Sic., Vol. 17, pp. 431-446. 

  40. Yang, J. S., K. H. Kim and Y. T. Kim(2003), Distribution of Nitrogen Components in Seawater Overlying the Gomso Tidal Flat,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praphy, Vol. 8, No. 3, pp. 251-261. 

  41. Yeo, H. G. and H. Kang(1998),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Community Waters of Inchon, J.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Vol. 7, No. 3, pp. 321-32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