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국 농경지 토양 중 농약 잔류량 모니터링 및 연차별 변화
Long-term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Arable Soils in Korea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7 no.4, 2013년, pp.283 - 292  

박병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이병무 (국립한경대학교) ,  김찬섭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박경훈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박상원 (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 ,  권혜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김진효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최근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임성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초록

작물재배지 토양에서 농약잔류량의 연차별 변동량을 파악하기 위해 1999년부터 2006년까지 8년간 4년 1주기로 전국의 논, 시설재배지, 밭, 과수원 순으로 농경지 토양에 대하여 동일지점과 동일시기에 농약잔류분포와 변동 경향을 조사하였다. 논토양에 대한 농약잔류는 1999년도에 butachlor 등 14종 농약이 최고 0.25 mg $kg^{-1}$ 수준까지 검출되었고, 검출 빈도는 0~21.7%로 butachlor가 가장 높았다. 2003년에 논토양의 경우 7성분이 검출되어 0~36.0% 검출빈도를 나타냈고, 그 중 isoprothiolane과 oxadiazinon이 36.0과 33.3%로 가장 높은 검출 빈도를 나타냈다. 시설재배지에 대한 농약잔류는 2000년에 57종 농약성분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빈도는 0~65.3%로 토양살충제인 endosulfan과 살균제인 procymidone이 65.3과 50.0%로 높게 잔류되었다. 2004년에는 19종의 농약성분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빈도는 0~21.3%로 2000년에 비해 상당히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특히, endosulfan과 procymidone의 검출빈도는 각각 21.3과 9.3%로 2000년에 비해 낮게 검출되었다. 밭토양에 대한 농약잔류는 2001년도에 25종 농약이 최고 2.24 mg $kg^{-1}$까지 검출되었고, 검출빈도는 0~53.5%이었으며 endosulfan과 pendimethalin이 각각 53.5과 18.2%로 높게 검출되었다. 2005년에는 2001년과 같이 검출된 성분의 수는 동일하였으나 endosulfan 성분의 검출빈도가 70.0%로 높게 나타났다. 2002년 과수원토양에 대한 농약잔류는 26종 농약이 검출되었고 endosulfan 성분이 최고 1.43 mg $kg^{-1}$ 수준까지 검출되었으며 검출빈도는 45.3%이었다. 2006년은 20종 농약성분이 검출되어 2002년보다 검출빈도가 낮았다. Endosulfan 성분은 2002년에 비해 5.3%로 낮게 검출되어 잔류분포가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eries of monitoring studie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residue level of pesticides in different native soils from 1999 to 2006. The nation-wide collection of soil samples from paddy, greenhouse, upland and orchard, were analyzed by GLC (ECD or NPD) and GC/M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조사는 환경농업육성법 제 11조에 따라 우리나라 농경지 토양 중 농약잔류 실태를 파악하고 농업환경보존과 안전한 농산물 생산의 기초자료를 위해 전국 주요 논토양(1999, 2003), 시설재배지토양(2000, 2004), 밭토양(2001, 2005), 과수원토양(2002, 2006)을 대상으로 등록되어 사용되고 있는 약제는 물론 토양잔류 가능성이 큰 성분을 대상으로 농약잔류량의 변동 추이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99년부터 2006년까지 논토양에 대한 농약잔류량 조사에서 농약의 종류의 수가 가장 많았던 연도의 검출 빈도가 가장 높았던 농약은? 25 mg $kg^{-1}$ 수준까지 검출되었고, 검출 빈도는 0~21.7%로 butachlor가 가장 높았다. 2003년에 논토양의 경우 7성분이 검출되어 0~36.
2000년 시설재배지에 대한 농약잔류량 조사에서 검출된 농약성분의 수는? 3%로 가장 높은 검출 빈도를 나타냈다. 시설재배지에 대한 농약잔류는 2000년에 57종 농약성분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빈도는 0~65.3%로 토양살충제인 endosulfan과 살균제인 procymidone이 65.
농약잔류량의 연차별 변동량 파악을 위해 어떻게 조사하였는가? 작물재배지 토양에서 농약잔류량의 연차별 변동량을 파악하기 위해 1999년부터 2006년까지 8년간 4년 1주기로 전국의 논, 시설재배지, 밭, 과수원 순으로 농경지 토양에 대하여 동일지점과 동일시기에 농약잔류분포와 변동 경향을 조사하였다. 논토양에 대한 농약잔류는 1999년도에 butachlor 등 14종 농약이 최고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hen Y. L. and T. C. Wu (1978) Degradation of herbicide butachlor by soil microes. J. Pesticide Sci. 3:411-417. 

  2. Deuel, L. E., F. T. Turner, K. W. Brow and J. D. Price (1978) Persistence and factors affecting dissipation of molinate under flooded rice culture. J. Environ. Qual. 7:373-377. 

  3. Imai, Y. and S. Kuwatsuka (1984) Uptake, translocation, and metabolic fate of the herbicide molinate in plants.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9:79-90. 

  4. Kim, C. S., B. M. Lee, K..H. Park, B. J. Park, J. E. Park and Y. D. Lee (2010)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Pesticide Residues in Soils by Dichloromethane Partition - Adsorption Chromatography - GC-ECD/NPD Analytical Methods,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4(4):361-370. 

  5. Lee, H. K., Y. D. Lee, Y. S. Park and Y. H. Shin (1983) A Survey for Pesticide Residues in Major Rivers of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2):83-89. 

  6. Lynton W. Baker, Donald L. Fitzell. 1996. Ambient air concentration of pesticides in califonia. Environ. Sci. Technol., 30:1365-1368. 

  7. Nicholls, P. H. (1988) Factors influencing entry of pesticides into soil water. Pestic. Sci. 22:123-137. 

  8. Park, B. J., C. S. Kim, K. H. Park, H. J. Park, G. J Im, J. H. Choi, J. H. Shim and G. H. Ryu (2006) Distribution and Mobility of Herbicide 14C-Molinate in a Rice-Paddy-Soil Lysimeter.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0(3):172-182. 

  9. Park, B. J., H. J. Park, B. M. Lee, Y. B. Ihm, J. H. Choi and G. H. Ryu (2005) Persistence and degradation of herbicide molinate in paddy-soil environment,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9(1):60-69. 

  10. Park, B. J. and J. H. Lee (2011) Pesticide Residue Monitoring and Environmental Exposure in Paddy Field Soils and Greenhouse Soils,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5:134-139. 

  11. Park, C. K. and Y. S. Ma (1982)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Soil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1(1):1-13. 

  12. Suh, Y. T., R. D. Park and J. H. Sim (1982) Levels of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the Cultivating Soils in the Suburbs of Gwangju - City , Jeollanam-Do.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1(2):83-8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