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솔껍질깍지벌레에 대한 7종류 한약재 추출물의 살충활성
Insecticidal Activity of 7 Herbal Extracts against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cus thunbergianae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7 no.4, 2013년, pp.411 - 418  

송진선 (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이채민 (경북대학교 생태환경대학 생태과학과) ,  이상명 (경북대학교 생태환경대학 생태과학과) ,  김동수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최용화 (경북대학교 생태환경대학 생태환경시스템학부) ,  이동운 (경북대학교 생태환경대학 생태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솔껍질깍지벌레(Matsucoccus thunbergianae)는 우리나라 곰솔림의 주요 문제해충의 하나이다. 온수 추출한 7종류의 한약재 추출물(창출: Atractylodes lancea, 정향: Eugenia caryophyllata, 금은화: Lonicera japonica, 멀구슬: Melia azedarach, 사군자: Quisqualis indica, 고삼: Sophora flavescens, 포공영: Taraxacum mongolicum) 10배액을 이용하여 스프레이법으로 실내와 야외에서 솔껍질깍지벌레에 대한 살충활성을 조사하였다. 솔껍질깍지벌레의 발육단계에 따라 한약재 추출물의 효과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후약충에 대해서는 사군자의 보정사충율이 95.7%로 가장 높았으며 수컷 번데기에 대해서는 창출처리에서 51.3%로 가장 높았다. 암컷 성충에 대해서는 사군자와 창출 처리의 보정사충율이 가장 높았으나 다른 발육 단계에 비하여 40.0%의 낮은 효과를 보였다. 야외처리 시에는 사군자 처리가 솔껍질깍지벌레에 살충효과가 우수한 fenitrothion 50%EC와 유사한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사군자는 솔껍질깍지벌레의 환경친화적 방제인자로 활용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cus thunbergianae is one of the most serious insect pest in Japanese black pine, Pinus thunbergii forest in Korea. Insecticidal activity of 10 folds hot water extracts from 7 herbal plants (Atractylodes lancea, Eugenia caryophyllata, Lonicera japonica, Melia azed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솔껍질깍지벌레에 대한 환경친화적이면서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화학농약 대체물질을 선발하기 위하여 살충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한약재를 이용하여 실내와 야외실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솔껍질깍지벌레가 산림에 피해를 주는 과정은? 솔껍질깍지벌레는 여름철에 하면을 하고, 겨울철인 12월부터 다음해 2월까지 후약충이 가해를 하는데 가는 실모양의 구침을 수피에 꽂고, 수액을 흡즙하여 피해를 준다. 솔껍질깍지벌레의 피해를 받은 곰솔은 인피부에 갈색반점이 발생되며 해충의 밀도가 높은 경우 극심한 수세약화를 일으키는데, 수관 하부 가지의 잎부터 갈색으로 변하고 점차 진전 되면 이러한 피해목은 수액이동의 차단으로 연륜 성장이 감소하고, 단위면적당 세포수가 감소하여 가지 또는 나무전체가 고사한다(Park and Park, 1985; Park, 1994).
해충 방제효과가 있는 물질들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식물유래 물질은 약제저항성 발달의 가능성이 적고, 인축 및 생태계에 부작용이 적으며 화학농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안전성이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해충 방제효과가 있는 물질들은 주로 기피 및 섭식 저해 작용, 성장 및 발육 저해 작용, 불임작용, 신경마비 작용 등이 있으며 생장억제제로서 사용되어지고 있고, terpenoid계, alkaloid계, flavonoid계, saponin계, phenol계 등의 물질들을 다량 포함하고 있다(Huff, 1980; Schmutterer, 1988; Koul, 2005).
식물유래 해충방제 물질은 어떤 장점이 있는가? 식물유래 물질은 약제저항성 발달의 가능성이 적고, 인축 및 생태계에 부작용이 적으며 화학농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안전성이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해충 방제효과가 있는 물질들은 주로 기피 및 섭식 저해 작용, 성장 및 발육 저해 작용, 불임작용, 신경마비 작용 등이 있으며 생장억제제로서 사용되어지고 있고, terpenoid계, alkaloid계, flavonoid계, saponin계, phenol계 등의 물질들을 다량 포함하고 있다(Huff, 1980; Schmutterer, 1988; Kou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nalytical Software (2003) Statistix 8 user's manual. Tallahassee, FL. pp. 369. 

  2. Chang, C. L., I. K. Cho and Q. X. Li (2009) Insecticidal activity of basil oil, trans-anethole, estragole, and linalool to adult fruit flies of Ceratitis capitata, Bactrocera dorsalis, and Bactrocera cucurbitae. J. Econ. Entomol. 102:203-209. 

  3. Chapman, R. F. (1998) The insects: structure and fun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4. Choi, D. S., D. I. Kim, S. J. Ko, B. R. Kang, K. S. Lee, J. D. Park and K. J. Choi (2012) Occurrence ecology of Ricania sp. (Hemiptera: Ricaniidae) and selec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for control. Kor. J. Appl. Entomol. 51:141-148. 

  5. Chun, J. C., S. E. Kim, J. C. Kim and K. Y. Cho (1999) Identification of natural insecticidal compound in medicinal plants against diamondback moth. Kor. J. Pesticide Sci. 3: 13-19. 

  6. Copping, L. G. and S. O. Duke (2007) Natural products that have been used commercially as crop protection agents. Pest Manag. Sci. 63:524-554. 

  7. Foldi, I. (2004) The Matsucoccidae in the mediterranean basin with a world list of species (Hemiptera: Sternorrhyncha: Coccoidea). Ann. Soc. entomol. Fr. 40:145-168. 

  8. Ha, P. J., T. S., Kim, S. H. Lee, H. Y. Choo, S. H. Choi, Y. S. Kim and D. W. Lee (2010) Effect of neem and mustard oils on entomopathogenic nematodes and silkworm. Kor. J. Pesticide Sci. 1:54-64. 

  9. Huff, R. K. (1980) The synthesis of 3-(2,2-dichloro vinyl)-1-methylcyclopropane-1, 2-dicarboxylic acid. Pestici. Sci. 11: 141-147. 

  10. KCPA (2012) User's manual of pesticides.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11. Kim, J. B. (2005) Pathogen, insect and weed control effects of secondary metabolites from plants. J. Korean Soc. Appl. Chem. 48:1-15. 

  12. Kim, K. C. and H. B. Lee (1998) Natural enemies of the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cus thunbergianae) in the black pine forests. Korean J. Appl. Entomol. 37:73-80. 

  13. Kim, K. C. and K. I. Oh (1992) Bionomics, host range and analysis of damage aspects on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cus thunbergianae (Homoptera: Cocoidea), in the coastal area of southwest Korea. Korean J. Appl. Entomol. 31:386-395. 

  14. Kim, T. S. and D. W. Lee (2013) Insecticidal activity of herbal extracts on Myzus persicae. Kor. J. Soil Zool. 17:19-23. 

  15.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KFRI) (2007) Prompt reports of forest science. 07-18. Seoul. Korea. 

  16. Koul, O. (2005) Insect antifeedants. CRC press. Boca Raton, USA. 

  17. Koul, O. and S. Wahab (2004) Neem: today and in the new millennium.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Netherlands. 

  18. Lee, B. Y., and Y. J. Chung (1997) Insect pests of trees and shrubs in Korea. Seongandang Publshing Co. Seoul, Korea. 

  19. Lee, D. W., Y. Hong, Y. H. Jung, S. H. Choi, H. Y. Choi and J. S. Yun (2010) Occurrence of earthworm and effect of plant extracts on earthworm in golf courses. Kor. Turfgrass Sci. 24:1-8. 

  20. Lee, J. S., E. H. Ham, H. Y. Choo, S. J. Lee and D. W. Lee (2011) Acaricidal efficacy of herbal extracts against Tetranychus uriticae (Acarina: Tetranychidae). J. Agricul. Life Sci. 45:151-162. 

  21. Lee, S. G., J. D. Park and Y. J. Ahn (2000) Effectiveness of neem extracts and carvacrol against Thecodiplosis japonensis and Matsucoccus thunbergianae under field conditions. Pest Manag. Sci. 56:706-710. 

  22. Lee, S. M., D. S. Kim, C. S. Kim, H. Y. Choo and D. W. Lee (2008) Possibility of simultaneous control of pine wilt disease and Thecodiplpsis japonensis and or Matsucoccus thunbergianae on black pine (Pinus thunbergii) by abamectin and emamectin benzoate. Kor. J. Pesticide Sci. 4: 363-367. 

  23. Lim, E. G., D. S. Kim, S. M. Lee, K. S. Choi, D. W. Lee, Y. J. Chung and C. G. Park (2013) Effect of fenitrothion on different life stages of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cus thunbergianae. J. Asia-Pacific Entomol. 16:55-59. 

  24. Mendel, Z. and U. Rosenberg (1988) Trials to control Matsucoccus josephi (Homoptera: Margarodidae) with fenoxycarb. J. Econ. Entomol. 81:1143-1147. 

  25. Nagappan, R. (2012) Evaluation of aqueous and ethanol extract of bioactive medicinal plant, Cassia didymobotrya (Fresenius) Irwin & Barneby against immature stages of filarial vector, Culex quinquefasciatus Say (Diptera: Culicidae). Asian Pacific J. Tropical Biomedicine. 2:707-711. 

  26. Park, C. S and N. C. Park (1985) Life history and summer diapause of the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cus n. sp., in Korea. Res. Rep. For. Res. Inst. Korea 32:11-16. 

  27. Park, S. C. (1991) Geographical distribution, biology, and research for the control of Matsucoccus pine bast scales (Homoptera: Cocoidea: Margarodidae). Jour. Korean For. Soc. 80:326-349. 

  28. Park, S. C. (1994) Within distribution of Matsucoccus thunbergianae on Pinus thunbergiana. Korean J. Appl. Entomol. 33:114-121. 

  29. Prakash, A. and J. Rao (1997) Botanical pesticides in agriculture. CRC press. USA. 

  30. Sahu, J., P. K. Patel and B. Dubey (2012) Quisqualis indica Linn: A review of its medicinal properties. Int. J. Pharm. Phytopharmacol. Res. 1:313-321. 

  31. Schmutterer, H. (1988) Natural pesticides from the neem tree. Proc. 1st Int. Neem Conf. pp. 33-2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