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 종류에 따른 유산균의 생물학적 및 기능적 특성
Biolog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n Different Kimchi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 2013년, pp.89 - 95  

고강희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  유문려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현희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  은걸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인철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갓김치, 배추김치, 열무김치, 깍두기로부터 348종의 유산균을 분리하여 각 김치 종류에 따른 유산균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열무김치의 유산균은 다른 3종의 김치에 비해 간균+단간균:구균의 비가 5.6:1로 구균의 함량이 적었다. Leuconostoc 속으로 추정되는 구균의 함량은 4종의 김치가 모두 유사하였으나 Lactobacillus 속으로 추정되는 간균과 단간균의 함량은 깍두기에서 60.7%로 높게 나타났다. 다른 김치에 비해 배추김치 유래 유산균 중 18.7%가 plasmid가 없었으나 plasmid를 지닌 유산균 중에는 열무김치 유래 유산균에 평균 $4.1{\pm}0.5$개의 plasmid bands가 나타났다. 세포 외 다당(EPS)을 5 mg/mL 이상 생산하는 유산균은 무를 주재료로 한 깍두기와 열무김치에 각각 11.1%, 10.9%로 갓김치와 배추김치보다 많았지만 배추김치 유래 유산균이 $8.4{\pm}2.0mg/mL$의 EPS를 생산해 다른 김치 유래 유산균들보다 1 mg이상 높았다. 갓김치에는 V.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균력을 지닌 유산균이 많은 반면 열무김치, 배추김치, 깍두기에서 Bacillus 속, L. monocytogenes,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해 항균력을 지닌 유산균이 갓김치보다 2배 이상으로 나타났다. 열무김치와 깍두기 유래 유산균 중 43.3%, 45.5%가 내산성을 지녔으며, 특히 깍두기의 유산균 중 36.3%가 내담즙성을 나타내 다른 김치보다 많았다. Caco-2 세포에 대한 장내부착능을 지닌 유산균은 18.6%의 비율로 갓김치에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에서 볼 때, 김치에 함유된 유산균은 종이 한정적임에도 불구하고 김치 종류에 따라 각 김치에 함유된 유산균의 생물학적 특징에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내산성, 내담즙성, 장내부착능을 지닌 유산균이 김치에 따라 차이가 나타남으로써 본 연구의 결과가 프로바이오틱 기능성을 지닌 유산균을 선별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olog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LAB) were investigated in mustard stem/leaf kimchi (MK), cabbage kimchi (CK), young radish kimchi (YRK), and cubed radish kimchi (CRK). LAB of young radish kimchi were mainly composed of bacilli in contrast to the other kimchi. 89.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 결과가 배추김치를 위주로 유산균의 분포도 및 기능성에 대해 확인하였으므로 김치의 종류에 따른 유산균의 생리적 활성에 대한 연구보고가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고 장시간 숙성시켜도 맛을 유지하는 배추를 주재료로 하는 배추김치, 무를 주재료로 하는 깍두기와 열무김치, 기타 채소 중 갓김치로부터 유산균을 분리하여 각 김치 종류에 따른 유산균의 생물학적 및 기능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까지 알려진 김치의 유익한 효과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그 외 Weissella 속, Pediococcus 속 등이 있지만, 김치 제조방법이나 장소 등 주변 환경에 따라 이들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5-7). 현재까지 알려진 김치의 유익한 효과는 식욕 촉진, 비만 예방, 변비 및 대장암 예방, 콜레스테롤 감소, 항산화효과, 항암효과 및 면역증강 효과, 고지혈증 억제 등으로 김치의 주 발효원인 유산균의 기능성과 유사하다(8).
유산균의 프로바이오틱 기능성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유산균은 발효식품의 주된 미생물로 특히 오랫동안 발효유제품의 스타터로 이용되어 왔다. 유산균은 정장 작용, 면역 조절, 항암 및 항돌연변이 효과, 콜레스테롤 저하, 항알레르기 효과, 유당불내증 완화 등의 프로바이오틱 기능성이 알려지면서 산업적 이용분야가 식품에서 의약, 화장품 및 사료 분야까지 확대되었다(1). 이러한 유산균을 획득할 수 있는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 발효식품으로 장류, 젓갈, 김치 등을 들 수 있다.
김치란? 김치는 배추, 무, 오이, 열무, 파 등과 같은 채소류를 소금에 절인 후, 고추, 양파, 마늘 등의 다양한 부재료를 첨가하여 발효숙성 시킨 산 발효식품으로(2), 열처리를 하지 않은 상태의 재료들을 이용해 원재료들이 지니고 있는 생리활성과 발효 미생물인 유산균의 프로바이오틱 기능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것이 특징인 한국의 전통 발효식품이다(3). 주재료별 김치 및 절임류 분류에 따르면 한국에는 151종이 존재하며, 배추 25종, 무 62종, 기타 채소 64종, 해조류 5종, 동물성 재료 21종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Sybesma W, Hugenholtz J, de Vos WM, Smid EJ. 2006. Safe use of genetically modified lactic acid bacteria in food, bridging the gap between consumers, green groups, and industry. Electron J Biotechnol 9: 424-448. 

  2. Lee CH, Ahn BS. 1995. Literature review on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 foods. I. History of Kimchi making. Korean J Dietary Culture 10: 311-319. 

  3. Lee H, Yoon H, Ji Y, Kim H, Park H, Lee J, Shin H, Holzapfel W. 2011. Functional properties of Lactobacillus strains isolated from kimchi. Int J Food Microbiol 145: 155-161. 

  4. Jo JS, Hwang SY. 1988. Standardization of Kimchi and related products (2). Korean J Dietary Culture 3: 301-307. 

  5. Han HU, Lim CR, Park HK. 1990. Determination of microbial community as an indicator of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26-32. 

  6. Kim M, Chun J. 2005.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kimchi, a Korean fermented vegetable food, as revealed by 16S rRNA gene analysis. Int J Food Microbiol 103: 91-96. 

  7. Lee JS, Heo GY, Lee JW, Oh YJ, Park JA, Park YH, Pyun YR, Ahn JS. 2005. Analysis of kimchi microflora using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Int J Food Microbiol 102: 143-150. 

  8. Lee MK, Rhee KK, Kim JK, Kim SM, Jeong JW, Jang DJ. 2007. A survey of research papers on Korean Kimchi and R&D trends. Korean J Food Culture 22: 104-114. 

  9. Lee JS, Chun CO, Hector M, Kim SB, Kim HJ, Park BK, Joo YJ, Lee HJ, Park CS, Ahn JS, Park YH, Mheen TI. 1997. Identification of Leuconostoc strains isolated from Kimchi using carbon-source utilization patterns. J Microbiol 35: 10-14. 

  10. Rogosa M, Mitchell JA, Wiseman RF. 1951. A selective medium for the isolation and enumeration of oral and fecal lactobacilli. J Bacteriol 62: 132-133. 

  11. Smitinont T, Tansakul C, Tanasupawat S, Keeratipibul S, Navarini L, Bosco M, Cescutti P. 1999. Exopolysaccharide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from traditional Thai fermented foods;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exopolysaccharide characterization. Int J Food Microbiol 51:105-111. 

  12. Mayr-Harting A, Hedges AJ, Berkeley RCW. 1972. Methods for studying bacteriocins. In Methods in Microbiology. Bergen DW, Norris JR, eds. Academic Press, New York, NY, USA. p 315-422. 

  13. Pinto M, Robine-Leon S, Apay M, Kedinger M, Triadou N, Dussaulx E, Lacroix B, Simon-Assmann P, Haffen K, Fogh J, Zwelbaum A. 1983. Enterocyte-like differentiation and polarization of the human colon carcinoma cell line Caco-2 in culture. Biol Cell 47: 323-330. 

  14. Kimoto J, Kurisaki J, Tsuji NM, Ohmomo S, Okamoto T. 1999. Lactococci as probiotic strains: adhesion to human enterocyte-like Caco-2 cells and tolerance to low pH and bile. Lett Appl Microbiol 29: 313-316. 

  15. Bogovic MB, Naat M, Zoric M. 2003. Adhesion of two Lactobacillus gasseri probiotic strains on Caco-2 cells. Food Technol Biotechnol 41: 83-88. 

  16. Blum S, Reniero R, Schiffrin EJ, Crittenden R, Mattila-Sandholm T, Ouwehand AC, Salminen S, von Wright A, Saarela M, Saxelin M, Collins K, Morelli L. 1999. Adhesion studies for probiotics: need for validation and refinement. Trends Food Sci Technol 10: 405-410. 

  17. Choi IK, Jung SH, Kim BJ, Park AY, Kim J, Han HU. 2003. Novel Leuconostoc citreum starter culture system for the fermentation of kimchi, a fermented cabbage product. Antonie Van Leeuwenhoek 84: 247-253. 

  18. Lee MK, Park WS, Kang KH. 1996. Selective media for isolation and enumer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754-768. 

  19. Soomro AH, Masud T. 2007. Protein pattern and plasmid profile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dahi, a traditional fermented milk product of Pakistan. Food Technol Biotechnol 45: 447-453. 

  20. Yoon SS, Kim C. 2001. Development of host-vector systems for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9: 1-11. 

  21. Veljovic K, Terzic-Vidojevic A, Vukasinovic M, Strahinic I, Begovic J, Lozo J, Ostojic M, Topisirovic L. 2007. Preliminary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Zlatar cheese. J Appl Microbiol 103: 2142-2152. 

  22. Ricci G, Borgo F, Fortina MG. 2006. Plasmids from Lactobacilus helveticus: distribution and diversity among natural isolates. Lett Appl Microbiol 42: 245-258. 

  23. Ruas-Madiedo P, Moreno JA, Salazar N, Delgado S, Mayo B, Margolles A, de los Reyes-Gavilan CG. 2007. Screening of exopolysaccharide producing Lactobacillus and Bifidobacterium strains isolated from the human intestinal microbiota. Appl Environ Microbiol 73: 4385-4388. 

  24. Montersino S, Prieto A, MuNoz R, de Las Rivas B. 2008. Evaluation of exopolysaccharide production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strains isolated from wine. J Food Sci 73:M196-M199. 

  25. Van der Meulen R, Grosu-Tudor S, Mozzi F, Vaningelgem F, Zamfir M, de Valdez GF, De Vuyst L. 2007. Screening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s from dairy and cereal products for exopolysaccharide production and genes involved. Int J Food Microbiol 118: 250-258. 

  26. Bauer R, Bekker JP, Wyk Nv, du Toit C, Dicks LM, Kossmann J. 2009. Exopolysaccharide production by lactose-hydrolyzing bacteria isolated from traditionally fermented milk. Int J Food Microbiol 131: 260-264. 

  27. Mozzi F, Vaningelgem F, Hebert EM, Van der Meulen R, Moreno MRF, Font de Valdez G, De Vuyst L. 2006. Diversity oif heteropolysaccharide producing lactic acid bacerium strains and their biopolymers. Appl Environ Microbiol 72:4431-4435. 

  28. Galle S, Schwab C, Arendt E, Ganzle M. 2010. Exopolysaccharide- forming Weissella strains as starter cultures for sorghum and wheat sourdoughs. J Agric Food Chem 58:5834-5841. 

  29. Patricia RM, Hugenholtz J, Zoon P. 2002. An overview of the functionality of exopolysaccharides produced by lactic acid bacteria. Int Dairy J 12: 163-171. 

  30. Kaur IP, Chopra K, Saini A. 2002. Probiotics; potential pharmaceutical applications. Eur J Pharm Sci 15: 1-9. 

  31. Galvez A, Abriouel H, Lopez RL, Ben Omar N. 2007. Bacteriocin-based strategies for food biopreservation. Int J Food Microbiol 120: 51-70. 

  32. Guo XH, Kim JM, Nam HM, Park SY, Kim JM. 2010. Screen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swine origins for multistrain probiotics based on in vitro functional properties. Anaerobe 16: 321-326. 

  33. Jacobsen CN, Nielsen VR, Hayford AE, Moller PL, Michaelsen KF, PErregaard A, Sandstrom B, Tvede M, Jakobsen M. 1999. Screening of probiotic activities of fortyseven strains of Lactobacillus spp. by in vitro techniques and evaluation of the colonization ability of five selected strains in human. Appl Environ Microbiol 65: 4949-4956. 

  34. Ahn DK, Han TW, Shin HY, Jin IN, Ghim SY. 2003. Divers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1:191-196. 

  35. Galeano B, Korff E, Nicholson WL. 2003. Inactivation of vegetative cells, but not spores, of Bacillus anthracis, B. cereus, and B. subtilis on stainless steel surfaces coated with an antimicrobial silver- and zinc-containing zeolite formulation. Appl Environ Microbiol 69: 4329-4331. 

  36. Kang CH, Chung KO, Ha DM. 2002. Inhibitory effect on the growth of intestinal pathogenic bacteria by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480-486. 

  37. Ouwehand AC, Kirjavainen PV, Shortt C. Salminen S. 1999. Probiotics; mechanisms and established effects. Int Dairy J 9: 43-52. 

  38. Koll P, Mandar R, Smidt I, Hutt P, Truusalu K, Mikelsaar RH, Shchepetova J, Krogh-Andersen K, Marcotte H, Hammarstrom L, Mikelsaar M. 2010. Screening and evaluation of human intestinal lactobacilli for the development of novel gastrointestinal probiotics. Curr Microbiol 61: 560-566. 

  39. Nur YZ, Aslim B. 2010. Assessment of potential probioticand starter properties of Pediococcus spp. isolated from Turkish-type fermented sausages (sucuk). J Microbiol Biotechnol 20: 161-168. 

  40. Delgado S, O'Sullivan E, Fitzgerald G, Mayo B. 2007. Subtractive screening for probiotic properties of Lactobacillus species from the human gastrointestinal tract in the search for new probiotics. J Food Sci 72: M310-M315. 

  41. Todorov SD, Botes M, Guigas C, Schillinger U, Wiid I, Wachsman MB, Holzapfel WH. 2007. Boza, a natural source of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J Appl Microbiol 104: 465-477. 

  42. Zago M, Fornasari ME, Carminati D, Burns P, Suarez V, Vinderola G, Reinheimer J, Giraffa G. 2011. Characterization and probiotic potential of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s isolated from cheeses. Food Microbiol 28: 1033-1040. 

  43. Tuomola EM, Salminen SJ. 1998. Adhesion of some probiotic and dairy Lactobacillus strains to Caco-2 cell cultures. Int J Food Microbiol 41: 45-51. 

  44. Buck BL, Altermann E, Svingerud T, Kaenhammer TR. 2005. Functional analysis of putative adhesion factors in Lactobacillus acidophilus NCFM. Appl Environ Microbiol 71: 8344-835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