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름철 제주 서부해역의 저염분수로 인한 음속변화와 음파채널 형성
Acoustic Channel Formation and Sound Speed Variation by Low-salinity Water in the Western Sea of Jeju during Summer 원문보기

한국음향학회지=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v.32 no.1, 2013년, pp.1 - 13  

김주호 (제주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과) ,  복태훈 (제주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과) ,  팽동국 (제주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과) ,  방익찬 (제주대학교 지구해양과학과) ,  이종길 (안동대학교 기계교육과)

초록

일반적으로 해양에서는 염분이 크게 변하지 않기 때문에 염분변화로 인한 음속변화는 무시할 수 있다. 그러나 제주 서부 해역에서는 매년 여름 저염분수의 영향으로 염분이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표층 음속의 변화가 발생한다. 해양자료센터의 자료를 이용하여 제주 서부해역 세 정점에서의 30년(1980~2009) 자료 중 28 psu 이하의 저염분수가 발생한 해와 그렇지 않은 해의 수직분포를 각각 평균하여 음속분포를 구한 후에 수온과 염분에 의한 음속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저염분수 환경에서 염분에 의한 음속 변화는 표층에서 -5.36 m/s, 수심 10 m에서 -1.35 m/s 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층 음속 감소로 인해 수심 약 5 m까지의 음속 수직 분포가 양(+)의 기울기를 갖게 되어 표층 염분채널이 형성되었으며 벨홉(Bellhop)모델을 이용한 음파전달 모의실험을 통해 이를 확인하였다. 30년간 표층채널 발생 동향을 분석한 결과 혼합층에서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정수채널은 9회, 저염분에 의해 발생하는 염분 채널은 5회로 나타났으며 염분 채널이 발생한 경우는 정수 채널에 비해 음선 임계각이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2010년 8월 1일 제주 서부해역에 발생하였던 저염분수의 공간적 분포를 측정한 자료에서도 일부 정점에서 염분채널이 형성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linity does not generally affect sound speed because it shows very small variations in the ocean. However, low salinity water appears in the Western Sea of Jeju Island every summer so that sound speed and sound propagation can change near sea surface. We calculated Sound Speed Profile (SSP) us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아직 저염분수로 인한 음속의 정량적 변화와 그로 인한 음파전달변화에 대해 구체적으로 연구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첫째로 제주 서부해역에서 저염분수로 인한 평균적인 음속변화와 그에 따른 음파채널 발생 여부를 살펴보았으며, 둘째로 음파채널의 발생 현황 및 분석을 중점적으로 기술하였다.
  • 앞 절에서의 결과를 분석해 보기 위해 일반 염분 분포와 저염분 분포 환경 각각의 경우에 대해 온도와 염분이 음속에 기여한 정도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Medwin의 공식[16]을 몇 가지 항으로 나누어 다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3596°E이다. 이 측정자료를 이용하여, 당시에 발생한 저염분수의 공간분포와 그에 따른 음속 및 음파전달이 어떠했는지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가설 설정

  • [17] 수심 및 음속분포는 Fig. 4와 같고 사질 성분으로 구성된 해저면의 음속과 밀도는 각각 1650 m/s, 1900 kg/m3로 가정하였다.
  • [19,20] 저염분수에 의한 염분 변화는 주로 표층에서 일어나므로 음원은 표층부근인 수심 3 m에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각 환경에 대하여 음선 경로와 전달손실을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30년간 표층채널 발생 동향을 분석한 결과 혼합층에서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정수채널은? 또한 표층 음속 감소로 인해 수심 약 5 m까지의 음속 수직 분포가 양(+)의 기울기를 갖게 되어 표층 염분채널이 형성되었으며 벨홉(Bellhop)모델을 이용한 음파전달 모의실험을 통해 이를 확인하였다. 30년간 표층채널 발생 동향을 분석한 결과 혼합층에서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정수채널은 9회, 저염분에 의해 발생하는 염분 채널은 5회로 나타났으며 염분 채널이 발생한 경우는 정수 채널에 비해 음선 임계각이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2010년 8월 1일 제주 서부해역에 발생하였던 저염분수의 공간적 분포를 측정한 자료에서도 일부 정점에서 염분채널이 형성되었다.
저염분수란? 일반적으로 저염분수란 염분이 30 psu(psu: practical salinity unit) 이하인 해수를 말한다.[7] 이는 김 등[8]이 지난 1975년부터 10년간 제주도 주변 8개 정선에서 저염분수가 발생하지 않는 동계(2, 4, 12월)의 표층(0, 10 m)에서 조사한 염분 범위가 32.
해양자료센터의 자료를 이용하여 제주 서부해역 세 정점에서의 30년(1980~2009) 자료 중 28 psu 이하의 저염분수가 발생한 해와 그렇지 않은 해의 수직분포를 각각 평균하여 음속분포를 구한 후에 수온과 염분에 의한 음속 변화를 분석 결과는? 해양자료센터의 자료를 이용하여 제주 서부해역 세 정점에서의 30년(1980~2009) 자료 중 28 psu 이하의 저염분수가 발생한 해와 그렇지 않은 해의 수직분포를 각각 평균하여 음속분포를 구한 후에 수온과 염분에 의한 음속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저염분수 환경에서 염분에 의한 음속 변화는 표층에서 -5.36 m/s, 수심 10 m에서 -1.35 m/s 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층 음속 감소로 인해 수심 약 5 m까지의 음속 수직 분포가 양(+)의 기울기를 갖게 되어 표층 염분채널이 형성되었으며 벨홉(Bellhop)모델을 이용한 음파전달 모의실험을 통해 이를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T. U. Bhaskar, D. Swain, and M. Ravichandran, "Seasonal variability of sonic layer depth in the central arabian sea," Ocean Science Journal 43, 147-152 (2008). 

  2. T. Delcroix and M. McPhaden, "Interannual sea surface salinity and temperature changes in the western Pacific warm pool during 1992-2000," J. Geophys. Res. Oceans. 107, 8002 (2002). 

  3. T. Delcroix and R. Murtugudde, "Sea surface salinity changes in the East China Sea during 1997-2001 : influence of the yangtze river," Geophys. Res. ceans. 107, 8008 (2002). 

  4. B. Choi and J. Wilkin, "The effect of wind on the dispersal of the Hudson River plume," J. Phys. Oceanogr 24, 1878-1896 (2007). 

  5. H. K. Rho, K. H. Chung, "Basic studies pm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coast of jeju island" (in Korean), bull. Mar. Resour. Res. Inst. 4, 1-5 (1980). 

  6. C. J. Kang, "A Study on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water masse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in Korean), Bull. NFRDA 12, 107-121 (1974). 

  7. K. H. Oh, Y. G. Park, D. I. Lim, H. S. Jung and J. S. Shin,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bserved at the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in Korean), J. Mar. Env. Eng. Soc. Kor. 9, 2006. 

  8. I. O. Kim, H. K. Rho, "A study on china coastal water appeared in the neighboring seas of cheju island" (in Korean), Bull. Kor. Fish. Soc. 27, 515-528 (1994). 

  9. R.C. Beardsley, R. Limeburner, D. Hu, K. Le, G.A. Cannon and D. J. Pasinski, "Structure of the changjiang river plume in the east china sea during june 1980," SSCS, 1, 265-284 (1983) 

  10. H. Yu, D. Zheng and J. Jiang, "Basic hydr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d area," SSCS, 1, 270-279 (1983) 

  11. H. J. Lie "Sructure and eastward extenstion of the Changjiang River plume in the East china Sea," J. Geophys. Res. 108, 3077 (2003). 

  12. K. H. Hyun and I. C. Pang, "Abnormally low salinity waters around cheju island in summer" (in Korean), Bull. Mar. Res. Inst. Cheju Nat. Univ. 2, 69-78 (1998). 

  13. S. S. Kim, W. J. Go, Y. J. Jo, P. Y. Lee and K. A. Jeon, "Low salinity anomaly and nutrient distribution at surface water of the south sea of koear during 1996 summer" (in Korean) J. Kor. Soc. Oceanogr. 3, 165-169 (1998). 

  14. S. E. Dosso and N. R. Chapman, "Acoustic propagation in a shallow sound channel in the northeast pacific ocean," J. Acoust. Soc. Am. 75, 413-418 (1984). 

  15. N. P. Bulgakov, Yu. V. Artamonov, P. D. Lomakin and V. N. Cheremin, "Acoustic properties of surface water masses in the tropical Atlantic and their seasonal variability," Sov. J. Phys. Oceanogr. 3, 141-147 (1992). 

  16. H. Medwin, "Speed of sound in water: a simple equation for realistic parameters," J. Acoust. Soc. Am. 58, 1318-1319 (1975). 

  17. M. B. Porter, The BELLHOP manual and user's guide: PRELIMINARY DRAFT, http://oalib.hlsresearch.com/Rays/index.html (2010). 

  18. L. M. Brekhovskikh and Y. P. Lysanov, Fundamentals of Ocean Acoustics, 3rd ed. (Springer-Verlag, New York, 2003). 

  19. J. S. Youn, T. J. Kim, "Geochemical composition and provenance of surface sediments in the western part of jeju island, korea" (in Korean), JKESS, 29, 328-340 (2008). 

  20. E. L. Hamilton, "Geoacoustic modeling of the sea floor," J. Acoust. Soc. Am.68, 1313-1340 (1980). 

  21. R. J. Urick, Principles of Underwater Sound, 3rd ed. (McGrew-Hill, New York, 1983). 

  22. Korea Oceanographic Data Center, http://kodc.nfrdi.re.kr/ 

  23. F. N. Fritsch and R. E. Carlson, "Monotone piecewise cubic interpolation," SIAM J. Numer. Anal. 17, 238-246 (19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