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려 아청운수라 질손의 형태와 의미 규명 및 고증 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Shape, Characteristic, and Investigated Design of Goryeo-Achungunsura-Jisun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3 no.1, 2013년, pp.135 - 146  

최정 (원광대학교 생활과학대학 패션디자인산업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possible shape of Goryeo-Achungunsura-jisun(高麗鴉靑雲袖羅質孫) through the details regarding its color, fabric, and pattern in the $13-14^{th}$ century writings and costume relics. Goryeo-Achungunsura-jisun was the summer dress coat th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당시의 아청염색이 비단염색과 흉배의 바탕직으로 쓰였다면, 고려아청운수라 질손에서는 소매 문양이 아청색이었을 가능성과 옷감인 라(羅)를 모두 아청으로 물들였을 가능성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고려의 아청색 운문라 유물은 현재 찾기 어려우므로, 해당시기의 운문직물을 관찰하여 가능한 재료를 추정하려고 한다.
  • 본 연구는 고려아청운수라질손(高麗鴉靑雲袖羅質孫)을 중심으로 13-14세기 무렵의 우수한 고려(高麗)의 직물 및 염색과 원(元)의 남성용 궁중복식의 조합과 의미를 고찰하고, 해당 의복의 시각적인 특징을 추측하기 위한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관련 선행연구 및 질손의 참고자료가 될 수 있는 원의 복식유물을 관찰하고, 「박통사」, 「노걸대」 등의 고문헌 자료와 고려불복장 직물, 조선 초기의 「조선왕족실록」 등을 통해 고려의 라(羅), 아청, 운수(雲袖)의 형태를 연구하여 고려아청운수라 질손에 가장 가까운 고증자료를 도출하려고 한다.
  • 본 연구의 결과물은 중세 고려와 몽골의 정치관계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던 고려아청운수라 질손의 특징을 추정하여 고증 디자인 한 것으로, 연구의 실용성을 더하기 위해 도판 형태로 제시되었다. 현존 실물자료는 부족하나 연구대상으로 매우 중요한 고려와 원의 복식 및 의료(衣料)는 후속연구에서도 지속적으로 다루기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관련 선행연구 및 질손의 참고자료가 될 수 있는 원의 복식유물을 관찰하고, 「박통사」, 「노걸대」 등의 고문헌 자료와 고려불복장 직물, 조선 초기의 「조선왕족실록」 등을 통해 고려의 라(羅), 아청, 운수(雲袖)의 형태를 연구하여 고려아청운수라 질손에 가장 가까운 고증자료를 도출하려고 한다. 연구결과가 실물 제작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추정 가능한 고려아청운수라질손의 도판과 특징을 제시하기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시의 몽골식 남성 예복의 특징은 무엇입니까? 고려아청운수라 질손은 현존유물과 형태에 대한 기록이 없으나, 질손의 특성 및 당시의 몽골식 남성 예복으로 추정가능한 스타일 및 디자인은 크게 몽골복식의 기본형인 좁은 교임포(交衽袍), 철릭형 델, 반소매의 답호와 델의 조합형으로 나뉘어진다. 대칸의 것보다는 소박하지만 전성기의 원 황실의 연회에 어울리는 고려의 고급의료를 사용한 것으로, 모두 고려의 라 직물과 아청염색을 바탕으로 하고 원 제국에서 쓰던 운견 또는 흉배장식을 가미하며, 소매부분에 아청색 계열의 구름문양을 넣는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설정할 수 있다.
고려아청운수라는 무엇입니까? 고려아청운수라질손은 「원사(元史)」 지(志) 78 여복(與服) 1에 백관(百官)의 여름용 질손으로 명시되었고, 질손은 몽골의 황실행사에 착용된 연회복이었다. 따라서 대규모 제국을 건설한 원의 관리들의 연회복 재료였던 ‘고려아청운수라’는 상당히 우수한 고려의 의료(衣料)였다는 추정이 가능하다. 이 질손은 고려직물의 우수성과 몽골의 정치전략을 나타내는 의복으로서 연구가치를 지닌다.
원은 제도 및 문화적측면에서 어떻게 번영하기 시작하였습니까? 원은 국초에는 모든 관복을 몽골 풍속대로 따르다가 중국에 관심이 많았던 쿠빌라이가 중국제도를 도입했고10), 각국의 선진문물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번영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원에서도 연회복의 색을 맞춰 입던 이전의 몽골식 관습을 이어갔을 만큼, 질손은 “몽골 고위층의 정치적 드레스 코드(Dress code)로서, 몽골의 정치문화에서 여러 국가와 민족의 대칸에 대한 충성과 화합의 의미를 지닌 의복”11)이었던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김미자 (2004), 집사 에 나타난 흉배(胸背)에 관한 연구, 복식, 54(1), pp. 159-168. 

  2. 최규순, 포명신 (2006), 원대 질손복(質孫服) 중 "모자(毛子)"에 관한 고찰, 복식, 56(2), pp. 125-133. 

  3. 박윤미 (2008), 수국사 불복장 섬유류에 관한 고찰, 강좌 미술사, 31, pp. 177-203. 

  4. 김선경, 조효숙 (2005), 불복장 직물의 구조특성 및 연대규명, 복식, 55(8), pp. 73-84. 

  5. 이곡 (2007), 국역 가정집 2, 이상현 역,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177. 

  6. 宋濂 (1975), (斷句本) 二十五史: 元史二, 新文豊出版公司編, 臺北: 新文豊出版公司, p. 934. 

  7. Giovanni de Plano Carpini (1983), 出使蒙古記, 道森編, 呂浦 역, 中國社會科學出版社, p. 60. 

  8. Thomas T. Allsen (1997), Commodity and exchange in the Mongol empire-A cultural history of Islamic textil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1-22. 

  9. Marco Polo (2000),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김호동 역, 서울: 사계절출판사, p. 253. 

  10. "靑莊館全書: 제23권, 편서잡고 3, 송사전 몽고열전(蒙古列傳)", 자료검색일 2012. 3. 11,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url/itkcdb/text/nod eViewIframe.jsp%3FbizNameMK%26finId002%26gunchaIdav026%26muncheId01%26seojiIdkc_mk_j002 

  11. Thomas T. Allsen, (1997), Commodity and exchange in the Mongol empire-A cultural history of Islamic textil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21. 

  12. 金宗瑞(2004 a), 신편 고려사졀요 中, 민족문화추진회 역, 서울: 신서원, p. 729. 

  13. Marco Polo, (2000),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김호동 역, 서울: 사계절출판사, p. 112. 

  14. 최규순, 포명신 (2006), 원대 질손복(質孫服) 중 "모자(毛子)"에 관한 고찰 ,p. 129. 

  15. 최해율 (2008), 유목민의 꽃-몽골여자복식의 흐름, 서울: 민속원, p. 92. 

  16. 박원길, 김기선, 최형원 (2006), 몽골비사의 종합적 연구, 서울: 민속원, pp. 301-302. 

  17. "몽골의 여전사 쿠툴룬(Khutulun)", 자료검색일 2012. 4. 15, http://blog.naver.com/donmany0203?RedirectLog& logNo30129674623 

  18. 金琳, 丁勇, 李一平 (2005), Fascinating Arts Observesd by Marco Polo(馬可?波羅筆下的時?藝術), 黃金?絲綢?靑花瓷, 趙豊, 金琳 主編, 香港: 藝紗堂, p. 12. 

  19. "元世祖出獵圖 (Kublai Khan on a Hunting Trip)", 검색일 2012. 7. 15, http://www.npm.gov.tw/npmwebadmin.jsp?doindex 

  20. 趙豊, 金琳 主編, 香港: 藝紗堂, p. 54. 

  21. 張文芳, 王大方(2005), 走進元上都, 內蒙骨: 內蒙古大學出版社, p. 134. 

  22. 金宗瑞(2004 a), 신편 고려사졀요 中, 민족문화추진회 역, 서울: 신서원, p. 548. 

  23. 金宗瑞(2004 b), 신편 고려사졀요 下, 민족문화추진회 역, 서울: 신서원, p. 224. 

  24. 邊暹 (2012), 譯註 朴通事諺解, 王霞, 柳在元, 崔宰榮 역주, 서울: 學古房, p. 167.) 

  25. 崔世珍(2004), 정광 역주 및 해제, 原本노걸대, 파주: 김영사, pp. 58-61. 

  26. 崔世珍(2004), 정광 역주 및 해제, 原本노걸대, 파주: 김영사, pp. 286-294. 

  27. 邊暹 (2012), 譯註朴通事諺解, 王霞, 柳在元, 崔宰榮역주, 서울: 學古房, pp. 276-277. 

  28. "靑莊館全書: 제 60권, 앙엽기 7(?葉記 七), 화가(?家)에게 소용되는 그림물감", 자료검색일 2012. 3. 11,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url/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MK&seojiIdkc_mk_j002&gunchaIdav060&muncheId01&finId021& NodeId&setid663701&Pos15&TotalCount19&searchUrlok 

  29. 崔世珍 (2004), 정광 역주 및 해제, 原本노걸대, 파주: 김영사, pp. 294. 

  30. 崔世珍 (2004), 정광 역주 및 해제, 原本노걸대, 파주: 김영사, pp. 357-360. 

  31. 崔世珍 (2004), 정광 역주 및 해제, 原本노걸대, 파주: 김영사, pp. 289.. 

  32. "靑莊館全書: 제 58권, 앙엽기 5(?葉記 五), 청자지(靑磁紙)", 자료검색일 2012. 3. 11,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url/itkcdb/text/nodeV iewIframe.jspbizNameMK&seojiIdkc_mk_j002&gunchaIdav058&muncheId01&finId023&NodeId&setid664534&Pos0&TotalCount2&searchUrlok 

  33. C.Жавхлан (2006), ЧЦНГЦС ХААНААС ДЭЭД УЗ Ц?Н ?В?Г ДЭЭДСЦ?Н МОНГОЛ ХУВЦАС, ула анбаатар: хэвлэннийтлэх/хувьлах/олшруулах ыг хуулиар хориглоно, p. 49. 

  34. 徐光冀 主編 (2011), 中國出土壁畵全集 7-?西 下, 北京: 科學出版社, p. 465. 

  35. 邊暹 (2012), 譯註 朴通事諺解, 王霞, 柳在元, 崔宰榮 역주, 서울: 學古房, p. 62 

  36. 崔世珍 (2004), 정광 역주 및 해제, 原本노걸대, 파주: 김영사, pp. 286-289. 

  37. 김선경, 조효숙 (2005), 불복장 직물의 구조특성 및 연대규명, 복식, 55(8), p. 78. 

  38. 심연옥 (2004), 至心歸命禮-불복장 직물 문양집, 충남: 수덕사 근역성보관, p. 44. 

  39. 경기도박물관 (2008), 경기도박물관 출토복식 명품전, 경기: 경기도박물관, p. 98. 

  40. 趙豊, 金琳 主編, 香港: 藝紗堂, p. 51. 

  41. 최규순, 포명신, (2006), 원대 질손복(質孫服) 중 "모자(毛子)"에 관한 고찰, 복식, 56(2),p. 129. 

  42. 徐兢(2005), 고려도경 - 중국 송나라 사신의 눈에 비친 고려 풍경, 조동원 외 공역, 서울: 황소자리, pp. 294-296. 

  43. 金宗瑞(2004 a),신편 고려사졀요 中, 민족문화추진회 역, 서울: 신서원,pp. 254-255. 

  44. 金宗瑞(2004 a),신편 고려사졀요 中, 민족문화추진회 역, 서울: 신서원, pp. 686-687. 

  45. 심연옥, (2004), 至心歸命禮-불복장 직물 문양집, 충남: 수덕사 근역성보관, pp. 32-34. 

  46. "국역조선왕조실록: 세조실록, 세조 5년 기묘, 4월 16일(정묘), 이조 참판 조석문 등에게 야인과 교통한내용을 알리는 주본을 받들고 가게 하다." 자료검색일 2012. 3. 1, http:// www.koreaa2z.com/sil99/index.html 

  47. "국역조선왕조실록: 세조실록, 세조 6년 경진, 3월 10일(정해), 양정에게 유상동합, 마구음파 등을 회유할 것을 명하다." 자료검색일 2012. 3. 1, http://www.ko reaa2z.com/sil99/ index.html 

  48. 김미자, (2004), 집사 에 나타난 흉배(胸背)에 관한 연구, 복식, 54(1), pp. 164-1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