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안해안국립공원 모항 암반조간대 웅덩이의 어류 종조성과 수직분포
Species Composition and Vertical Distribution Pattern of Fish in Rock Tidal Pools at Mohang, Taeanhae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25 no.4, 2013년, pp.227 - 233  

최윤 (군산대학교 해양생물공학과) ,  이흥헌 (군산대학교 해양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태안반도 모항항의 암반조간대 조수웅덩이에서 2010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어류를 채집하여 고도에 따른 종조성분포를 분석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3목 8과 14속 16종이었으며, 이 가운데 망둑어과의 점망둑(Chaenogobius annularis)이 34.6%로 우점하였고, 아우점종으로는 그물베도라치(Chaenogobius annularis)가 22.0%, 조피볼락 (Chaenogobius annularis)이 6.9%, 두줄망둑 (Chaenogobius annularis)이 6.8%순이었다. 그물베도라치는 고도에 관계없이 주거종으로 출현하였으며, 점망둑은 상부조간대에서 가장 우점하였고, 모든 조사 시기에 채집되었다. 주거종의 개체수는 일시주거종과 기회방문종보다 높았으며, 생체량은 주거종이 61.4%로 가장 높았으며, 일시주거종이 14.2%, 기회방문종이 24.4%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pecei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by altitude of fish in the rock tide pools in Taean were determined using montly samples collected in the 9 tide pools from January to December 2010. Among 16 species collected, a forktongue goby Chaenogobius annularis was dominant accounting for 34.6% in the to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암반조간대와 모래조간대가 고르게 잘 발달된 태안해안국립공원 내에서 암반조간대 조수웅덩이의 고도에 따른 어류분포에 대해서 연구된 바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항항의 암반조간대에 형성된 조수웅덩이로부터 어류를 채집하여, 조수웅덩이에서 채집되는 어류의 고도에 따른 수직분포와 이 해역의 조간대에 출현하는 어류의 분포특성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반조간대 조수웅덩이의 어류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조수웅덩이에 사는 생물은 노출시간 동안 몸을 보호하기 위해 조수웅덩이를 은신처로 이용한다(Metaxas and Scheibling, 1993). 암반조간대 조수웅덩이의 어류는 머무는 시간에 따라서 Resident fish (주거종)와 Transient fish (일시주거종), 그리고 Occasional visitors (기회방문종)으로 구분 된다(Gibson and Yoshiyama, 1999; Barreiros et al., 2004).
조간대의 특징은 무엇인가? 조간대는 인접한 육상으로부터 유기물이 공급되며, 간조 때에 조간대 생물의 생산이 소비되지 않고 보존될 뿐만 아니라, 포식자가 적은 생태적 유리함 때문에 일부 어류는 조간대를 성육장으로 이용하여 높은 생물량을 유지한다(최, 2010). 또한 암반조간대에 서식하는 생물은 물리적, 생물학적 요인들이 급변하는 환경에 노출되기도 한다.
본 연구의 조사지역 조하대에 서식하는 해조류는 무엇인가? 본 조사지역의 북쪽은 모항항과 방파제가 위치해 있고 안쪽은 굽은 초승달 모양의 만을 이룬다. 바닥은 전체적으로 바위와 자갈로 이루어져 바위와 자갈을 선호하는 어종들이 주로 서식하고, 조하대에는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톳(Hizikia fusiformis), 갈파래류(Ulva sp.) 등의 해조류가 서식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김익수.최 윤.이충렬.이용주.김병직.김지현. 2005.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615 pp. 

  2. 노형수.육관수.황학빈.이태원. 2009. 태안 해빈 천해 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화. 바다, 14: 145-154. 

  3. 임환철.최 윤. 2000. 서해 태안연안의 어류상. 한국어류학회지, 12: 215-222. 

  4. 최기홍. 2010. 새만금 방조제 외측 조간대의 어류상. 군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pp. 

  5. 최 윤.장준호. 2007. 서해 태안해안국립공원 조간대의 어류상.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5: 297-302. 

  6. 황학빈.이태원. 2011. 이각망에 채집된 2008년 태안 연안 어류종조성. 한국수산학회지, 44: 173-178. 

  7. Barreiros, J.P., A. Bertoncini, L. Machado, M. Hostim-Silva and R. Serrao-Santos. 2004. Diversity and seasonal changes in the ichthyofauna of rocky tidal pools from Praia Vermelha and Sao Roque, Santa Catarina. Brazilian Archives of Biology and Technology, 47: 291-229. 

  8. Gibson, R.N. and R.M. Yoshiyama. 1999. Intertidal fish communities. In: Horn, M.H., K.L.M. Martin and M.A. Chotkowski (eds.), Intertidal Fishes: Life in Two Worlds, Academic press, London, pp. 264-296. 

  9. Griffiths, S.P. 2003. Rockpool ichthyofaunas of temperate Australia: species composition, residency and biogeographic patterns.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58: 173-186. 

  10. Kim, B.J. 2011. First Record of Icelinus japonicus (Scorpaeniformes: Cottidae) from Korea. Korean J. Ichthyol., 23: 305-309. 

  11. Masuda, H., K. Amaoka, C. Araga, T. Uyeno and T. Yoshino. 1988. The Fishes of the Japanese Archipelage. Tokyo Univ. Press., 437 pp. pls. 1-370. 

  12. Metaxas, A. and R.E. Scheibling. 1993. Community structure and organization of tidepools.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98: 187-198. 

  13. Muto, F., Y. Choi and M. Yabe. 2002. Porocottus leptosomus sp. nov., from the west coast of Korea, Yellow sea (Scorpaeniformes: Cottidae). Japan. J. Ichthyol., 49: 229-233. 

  14. Nakabo, T. (ed.) 2002. Fishes of Japan with pictorial keys to the species, English edition. Tokai Univ. Press, 1749 pp. 

  15.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117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