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흉부둔상환자에서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환자의 임상적 분석
Clinical Analysis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VAP) in Blunt-chest-trauma 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JTI, v.26 no.4, 2013년, pp.291 - 296  

오중환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박일환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변천성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배금석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일반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Prolonged ventilation leads to a higher incidence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VAP), resulting in weaning failure and increased medical cos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linical results and prognostic factors of VAP in patients with blunt chest trauma. Methods: From 2007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3)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은 환자의 사망률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중환자실 체류를 더 길게 하고 입원 기간을 연장시켜 의료비의 상승을 초래한다.(4) 본 연구에서는 흉부외상환자에서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의 임상결과와 예후인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 American Thoracic Society 지침에 의하면 병의 중증도, 위험요소의 존재유무, 인공호흡기관련 폐렴이 나타나는 시점에 기반을 두고 결정하여야 한다.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이 나타나는 시점은 셋으로 나누었는데 첫째 조기 둘째 위험성이 없는 후기, 셋째 위험성이 있는 후기이며 위험성은 호흡기 사용기간, 호흡기 사용 전에 항생제 사용여부 등이다. 진단이 되면 가능한 한 빨리 항생제를 투여하여야 한다.
  • 진단된 환자의 치료 원칙은 조기에 고용량으로 미생물학적인 환경에 기반하여 항생제 투여를 개별화하였다.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이 발생하지 않은 32명(VAP 음성군)과 발생한 68명(VAP 양성군)을 두 군으로 나누어 내원당시 성별, 나이 , Injury severity score, 동반 손상 유무, 쇼크유무, 흉부방사선 사진 소견, 수혈여부, 발열, 만성폐질환 여부, 기관삽관여부, 기관절개술 유무, 인공호흡기 사용기간, 중환자실 입원기간, 병실입원기간, 합병증, 균 배양 검사 등을 조사하였다. 두 군 비교는 SPSS window 18.
  • (16) Tejerina 등(8)의 보고에 의하면 임상증상이나 방사선 소견에 의하여 진단된 군과 부검에 의해 진단된 군을 비교한 결과 두 군 사이에 상관성이 떨어져 임상적 진단의 부정확성을 밝혔고 세균검사의 중요성을 첨부하였다. 저자들은 정확한 진단을 위하여 기관지 내시경과 BAL (Brochoalveolar lavage), PSB (Protected specimen brush) 등을 이용하였고 내시경을 이용하지 않는 분비물 검사법도 병행하였다.(17) 내시경 검사는 기관지 내부를 직접 볼 수 있으며 분비물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방사선 소견상 뚜렷한 부위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도분비물이 중력에 의하여 침착하는 부위 즉 우측 하엽의 후방부위에서 분비물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
  • 인공호흡 관련 폐렴의 진단은 발열, 기관지 분비물증가, 백혈구 증가와 같은 임상증상과 흉부전산단층 촬영에서 폐실질 침투 소견, 세균학적인 검사소견 등이 나타나면 VAP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라고 진단하였다. 진단된 환자의 치료 원칙은 조기에 고용량으로 미생물학적인 환경에 기반하여 항생제 투여를 개별화하였다.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이 발생하지 않은 32명(VAP 음성군)과 발생한 68명(VAP 양성군)을 두 군으로 나누어 내원당시 성별, 나이 , Injury severity score, 동반 손상 유무, 쇼크유무, 흉부방사선 사진 소견, 수혈여부, 발열, 만성폐질환 여부, 기관삽관여부, 기관절개술 유무, 인공호흡기 사용기간, 중환자실 입원기간, 병실입원기간, 합병증, 균 배양 검사 등을 조사하였다.

대상 데이터

  • 2008년부터 4년간 본원 응급실을 통하여 내원한 흉부외상환자 중 흉부외과로 입원하여 응급 및 외과계 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을 48시간이상 받은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인공호흡 관련 폐렴의 진단은 발열, 기관지 분비물증가, 백혈구 증가와 같은 임상증상과 흉부전산단층 촬영에서 폐실질 침투 소견, 세균학적인 검사소견 등이 나타나면 VAP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라고 진단하였다.

데이터처리

  •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이 발생하지 않은 32명(VAP 음성군)과 발생한 68명(VAP 양성군)을 두 군으로 나누어 내원당시 성별, 나이 , Injury severity score, 동반 손상 유무, 쇼크유무, 흉부방사선 사진 소견, 수혈여부, 발열, 만성폐질환 여부, 기관삽관여부, 기관절개술 유무, 인공호흡기 사용기간, 중환자실 입원기간, 병실입원기간, 합병증, 균 배양 검사 등을 조사하였다. 두 군 비교는 SPSS window 18.0을 이용하여 범주형 자료는 카이제곱과 t-검정을 하였고, 연속형자료는 Mann-Whitney U test를 하였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은 기도 내 삽관이나 기관 절개를 통하여 인공호흡기를 장착한지 48시간 이상 경과 후에 발생하는 폐렴을 지칭하며 하부 호흡기와 폐실질 내로 병원균이 침입하여 발생한다. 기도 내 삽관은 기관조직을 손상시켜 미생물이 하부기도와 폐실질 내로 쉽게 침투하여 구강 및 위 내용물이 하부기도로 들어가기 쉬워진다.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이란?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은 기도 내 삽관이나 기관 절개를 통하여 인공호흡기를 장착한지 48시간 이상 경과 후에 발생하는 폐렴을 지칭하며 하부 호흡기와 폐실질 내로 병원균이 침입하여 발생한다. 기도 내 삽관은 기관조직을 손상시켜 미생물이 하부기도와 폐실질 내로 쉽게 침투하여 구강 및 위 내용물이 하부기도로 들어가기 쉬워진다.
인공호흡을 받고 있는 환자에게 일어나지 않는 방어기전은? 정상적인 성인에서는 해부학적 기도 방어장벽, 기침반사, 점액, 점액 섬모 청결작용, 면역기능 등이 관여하여 폐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5) 그러나 인공호흡을 받고 있는 환자에서는 이러한 방어기전이 방해를 받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astre J, Fagon JY.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2; 165: 867-903. 

  2. Richards MJ, Edwards JR, Culver DH, Gaynes RP. Nosocomial infections in medical intensive care units in the United States. National Nosocomial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Crit Care Med 1999; 27: 887-92. 

  3. Jeong HJ, Hyun SY, Kim JJ, Kim JH, Lim YS, Cho JS, et al. Ventilator asociated pneumonia in patients with pulmonary contusion. Korean J Crit Care Med 2010; 25: 224-9. 

  4. Han KN, Choi SH, Kim YC, Lee KH, Lee SE, Jeong KY, et al. Evaluation of lung injury score as a prognostic factor of critical care management in multiple trauma patients with chest injury. J Korean Soc Traumatol 2011; 24: 105-10. 

  5. Lillehoj ER, Kim KC. Airway mucus: its components and function. Arch Pharm Res 2002; 25: 770-80. 

  6. Croce MA, Fabian TC, Waddle-Smith L, Maxwell RA. Identification of early predictors for post-traumatic pneumonia. Am Surg 2001; 67: 105-10. 

  7. Croce MA, Tolley EA, Fabian TC. A formula for prediction of posttraumatic pneumonia based on early anatomic and physiologic parameters. J Trauma 2003; 54: 724-9; discussion 9-30. 

  8. Tejerina E, Esteban A, Fernandez-Segoviano P, Frutos-Vivar F, Aramburu J, Ballesteros D, et al. Accuracy of clinical definitions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comparison with autopsy findings. J Crit Care 2009; 25: 62-8. 

  9. Medford AR, Husain SA, Turki HM, Millar AB. Diagnosis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J Crit Care 2009; 24: 473 e1- 6. 

  10. Rello J, Diaz E, Roque M, Valles J. Risk factors for developing pneumonia within 48 hours of intubation.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9; 159: 1742-6. 

  11. Walkey AJ, Reardon CC, Sulis CA, Nace RN, Joyce-Brady M. Epidemiology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a long-term acute care hospital.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009; 30: 319-24. 

  12. Fagon JY, Chastre J, Hance AJ, Guiguet M, Trouillet JL, Domart Y, et al. Detection of nosocomial lung infection in ventilated patients. Use of a protected specimen brush and quantitative culture techniques in 147 patients. Am Rev Respir Dis 1988; 138: 110-6. 

  13. Pugin J, Auckenthaler R, Mili N, Janssens JP, Lew PD, Suter PM. Diagnosis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by bacteriologic analysis of bronchoscopic and nonbronchoscopic "blind"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Am Rev Respir Dis 1991; 143: 1121-9. 

  14. Koenig SM, Truwit JD.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diagnosis, treatment, and prevention. Clin Microbiol Rev 2006; 19: 637-57. 

  15. Bouhemad B, Liu ZH, Arbelot C, Zhang M, Ferarri F, Le- Guen M, et al. Ultrasound assessment of antibiotic-induced pulmonary reaeration in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Crit Care Med 2010; 38: 84-92. 

  16. Lefcoe MS, Fox GA, Leasa DJ, Sparrow RK, McCormack DG. Accuracy of portable chest radiography in the critical care setting. Diagnosis of pneumonia based on quantitative cultures obtained from protected brush catheter. Chest 1994; 105: 885-7. 

  17. Bonten MJ, Bergmans DC, Stobberingh EE, van der Geest S, De Leeuw PW, van Tiel FH, et al. Implementation of bronchoscopic techniques in the diagnosis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to reduce antibiotic use.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7; 156: 1820-4. 

  18. Zaccard CR, Schell RF, Spiegel CA. Efficacy of bilateral bronchoalveolar lavage for diagnosis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J Clin Microbiol 2009; 47: 2918-24. 

  19. Brown DL, Hungness ES, Campbell RS, Luchette FA.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the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J Trauma 2001; 51: 1207-16. 

  20. Wood AY, Davit AJ, 2nd, Ciraulo DL, Arp NW, Richart CM, Maxwell RA, et al. A prospective assessment of diagnostic efficacy of blind protective bronchial brushings compared to bronchoscope-assisted lavage, bronchoscope-directed brushings, and blind endotracheal aspirates in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J Trauma 2003; 55: 825-34. 

  21. Fujitani S, Yu VL. Diagnosis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focus on nonbronchoscopic techniques (nonbronchoscopic bronchoalveolar lavage, including mini-BAL, blinded protected specimen brush, and blinded bronchial sampling) and endotracheal aspirates. J Intensive Care Med 2006; 21: 17-21. 

  22. Alvarez-Lerma F. Modification of empiric antibiotic treatment in patients with pneumonia acquired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Acquired Pneumonia Study Group. Intensive Care Med 1996; 22: 387-94. 

  23. Meduri GU, Mauldin GL, Wunderink RG, Leeper KV, Jr., Jones CB, Tolley E, et al. Causes of fever and pulmonary densities in patients with clinical manifestations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Chest 1994; 106: 221-35. 

  24. Fink JB, Krause SA, Barrett L, Schaaff D, Alex CG. Extending ventilator circuit change interval beyond 2 days reduces the likelihood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Chest 1998; 113: 405-11. 

  25. Kollef MH, Shapiro SD, Fraser VJ, Silver P, Murphy DM, Trovillion E, et al. Mechanical ventilation with or without 7- day circuit chang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n Intern Med 1995; 123: 168-74. 

  26. Guidelines for preventing health-care-associated pneumonia, 2003 recommendations of the CDC and the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Respir Care 2004; 49: 926-39. 

  27. Rello J, Lorente C, Bodi M, Diaz E, Ricart M, Kollef MH. Why do physicians not follow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preventing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a survey based on the opinions of an international panel of intensivists. Chest 2002; 122: 656-61. 

  28. Lepelletier D, Roquilly A, Demeure dit latte D, Mahe PJ, Loutrel O, Champin P, et al.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risk factors and pathogens associated with early-onset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surgical-ICU head-trauma patients. J Neurosurg Anesthesiol 2010; 22: 32-7. 

  29. Ryu JH, Yeom SR, Jeong JW, Min MK, Park MR, Kim YI, et al. Correlation between pulmonary contusion and myocardial contusion in patients with multiple injuries. J Korean Soc Traumatol 2011; 24: 31-6. 

  30. Rello J, Paiva JA, Baraibar J, Barcenilla F, Bodi M, Castander D, et al.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the Development of Consensus o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Chest 2001; 120: 955-70. 

  31. Magret M, Amaya-Villar R, Garnacho J, et al.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trauma patients is associated with lower mortality: results from EU-VAP study. J Trauma 2010; 69: 849-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