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수역이 존재하는 섬진강의 어류군집 특성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y in the Seomjin River and Brackish A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1 no.4, 2013년, pp.402 - 410  

백승호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윤주덕 (공주대학교 생물자원센터) ,  김정희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이혜진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최기룡 (울산대학교 생명과학부) ,  장민호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하구둑이 설치되지 않은 섬진강의 어류군집 특성을 파악하고자 섬진강 본류 구간을 16지점으로 구분하여 2010년부터 2012년까지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7과 54종의 어류가 채집되었고 잉어과에 속하는 어류가 우점적으로 분포하였으며 피라미(Zacco platypus; Relative abundance, RA: 47.8%)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총 17종의 한국고유종(31.5%)이 채집되었으며 이는 한반도 담수어의 고유화 빈도인 22.5~25.9%와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다. 외래종의 상대풍부도(1.1%)는 낮게 나타났으나 문헌연구를 통한 비교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2002, 0.0%; 2009, 0.4%). 군집 분석 결과 해수의 영향을 받는 하류의 세 지점(St.1~St.3)은 다양도 및 균등도가 높게 나타났고, 반면 순수 담수역에 위치한 St.4~St.16에서는 피라미가 우점적으로 출현하여 전반적으로 우점도가 높게 나타났다. 섬진강에서 해수어, 주연어, 경제성 어종 및 다양도 지수가 낙동강, 영산강, 금강과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섬진강의 풍부한 어족자원과 안정된 어류 군집을 유지하기 위해 보존될 가치가 있으며, 이를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o identify ichthyofauna of the Seomjin River, which has no barrage at estuary, and to estimate effect of estuary barrage, fish sampling was conducted at 16 study sites in mainstream of the Seomjin River from 2010 to 2012. A total of 54 species classified into 17 families were coll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섬진강의 최하류에서부터 중∙상류 수역까지 전반적인 본류 구간에 대해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대규모 강 중, 유일하게 하구둑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섬진강 하구와 섬진강 중∙하류 구간의 어류군집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고, 국내 4대강 중 영산강과 낙동강, 금강 하구의 어류상과 섬진강 하구의 어류군집 특성을 비교하여 하구둑이 어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간접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섬진강의 최하류에서부터 중∙상류 수역까지 전반적인 본류 구간에 대해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대규모 강 중, 유일하게 하구둑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섬진강 하구와 섬진강 중∙하류 구간의 어류군집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고, 국내 4대강 중 영산강과 낙동강, 금강 하구의 어류상과 섬진강 하구의 어류군집 특성을 비교하여 하구둑이 어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간접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댐이나 보, 하구둑과 같은 하천을 횡으로 구분하는 구조물의 건설이 가진 위험성은? 2007). 예를 들어 댐이나 보, 하구둑과 같은 하천을 횡으로 구분하는 구조물의 건설은 하천의 호소화 및 수질 악화(Connell et al. 1981) 등 어류의 서식환경, 어류의 이동 등(Lucas et al. 2009), 지역 어류 군집에 상당한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Barry 1990; Mallen-Cooper and Harris 1990).
어류는 무엇인가? 어류는 하천생태계 내 최종 소비자로(Moyle and Cech 2000), 다른 생물종들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해당 지역의 생물 다양성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어류는 여러 가지 환경요인에 영향을 받으며, 특히 인위적인 교란에 따른 물리적 환경 변화가 가장 큰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Matthews and Robison 1988; Matthews et al.
하천에서 인위적인 교란에 따른 물리적 환경 변화의 예로 무엇이 있나? 2007). 예를 들어 댐이나 보, 하구둑과 같은 하천을 횡으로 구분하는 구조물의 건설은 하천의 호소화 및 수질 악화(Connell et al. 1981) 등 어류의 서식환경, 어류의 이동 등(Lucas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rry WM. 1990. Fishways for Queensland coastal streams: an urgent review. International Symposium on Fishways. Gifu. 

  2. Buisson L, L Blanc and G Grenouillet. 2007. Modeling stream fish species distribution in a river network: the relative effects of temperature versus physical factors. Ecol. Freshw. Fish. 17:144-157. 

  3. Choi Jk, HK Byeon, YS Kwon and YS Park. 2008.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of fish community in the Cheonggye Stream after the rehabilitation project. Korean J. Limnol. 41:374-381. 

  4. Choi JW and KG An. 2008. Characteristics of fish compositions and longitudinal distribution in Yeongsan River watershed. Korean J. Limnol. 41:301-310. 

  5. Choi Y, JH Kim and JY Park. 2008. Marine fishes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Seoul. 

  6. Connell DW, BM Bycroft, GJ Miller and P Lather. 1981. Effects of a barrage on flushing and water quality in the Fitzroy River estuary, Queensland. Aust. J. Mar. Fresh. Res. 32:57-63. 

  7. Huh MK, SJ Yoon and WH Joo. 2012. Community structure and species diversity of fish across spatial scales in the lower reach of Seomjin River. Korean J. Environ. Biol. 21:1361-1369. 

  8. Hwang Sh, KG Park, Jh Shin and SK Lee. 2007. Relationship between the groundwater resistivity and NaCl equivalent salinity in western and southern coastal areas, Korea. Mulli-Tamsa. 10:361-368. 

  9. Jang MH, GI Cho and GJ Joo. 2001. Fish fauna of the main channel in the Nakdong River. Korean J. Limnol. 34:223-238. 

  10. Jang SH, HS Ryu and JH Lee. 2009.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in the mid-upper region of the Seomjin River. Korean J. Limnol. 42:394-403. 

  11. Jang SH, HS Ryu and JH Lee. 2010. A Study on the stock assessment and management implications of the Korean aucha perch (Coreoperca herzi) in Freshwater: (1) Estimation of popul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reoperca herzi in the mid-upper system of the Seomjin River. Korean J. Limnol. 43:82-90. 

  12. Kim IS. 1995. The conservation and status of threatened freshwater fishes in Korea. pp.31-50. In Proceedings of Ichthyofauna and Characteristics of Freshwater Ecosystems in Korea (Lee HJ and IS Kim eds.). The Ecological Society of Korea and the Korean Society of Ichthyology. Seoul. 

  13. Kim IS and JY Park. 2002.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Seoul. 

  14. Kim IS and MH Ko. 2005. Ecology of Iksookimia longicorpa (Cobitidae) in the seomjin river, Korea. Korean J. Ichthyol. 17:112-122. 

  15. Kim JH, HW Cho, WD Han and WO Lee. 1993. The change of fish communites by the change of ecosystem in the Posong River. Korean J. Environ. Biol. 11:154-160. 

  16. Kim SH, CH Youn and HS Joo. 2002. Freshwater fish fauna in the Seomjin River, Gokseong-gun,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0:152-157. 

  17. Lucas MC, HB Damian, MH Jang, K Ha and JEG Masters. 2009. Availability of and access to critical habitats in regulated rivers: effects of low-head barriers on threatened lampreys. Freshwater Biol. 54:621-634. 

  18. Mallen-Cooper M and J Harris. 1990. Fishways in mainland South-Eastern Australia. pp.221-230. In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Fishways. Gifu. 

  19. Margalef D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36-71. 

  20. Matthews WJ and HW Robison. 1988. The distribution of the fishes of Arkansas: a multivariate analysis. Copeia 1988:358-374. 

  21. Matthews WJ, DJ Hough and HW Robison. 1992. Similarities in fish distribution and water quality patterns in streams of Arkansas: congruence of multivariate analysis. Copeia 1992:296-305. 

  22. Moyle PB and JJ Cech. 2000. Fishes: an introduction to ichthyology. Prentice Hall Inc. New Jersey. 

  23. Nelson JS. 2006.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New York. 

  24. Pielou EC. 1969. Shannon's formula as a measure of specific diversity: Its use and misuse. Am. Nat. 100:463-465. 

  25.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 Sons. New York. 

  26. Plumstead EE. 1990. Changes in ichthyofaunal diversity and abundance within the Mbashe Estuary, Transkei, following construction of a river barrage. S. Afr. J. Mar. Sci. 9:399-407. 

  27.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688. 

  28. Thiel R, A Sepulveda, R Kafemann and W Nellen. 1995. Environmental factors as forces structuring the fish community of the Elbe Estuary. J. Fish Biol. 46:47-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